부동산 전자계약, 어렵지 않아요! 중개사가 알려주는 A to Z

📊 이 글 포함 누적 30,000뷰 돌파! 여러분의 관심 덕분에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 앞으로도 실전형 꿀정보로 보답드릴게요! 👉 즐겨찾기 추가 하고 계속 업데이트 받아보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유도 큰 힘이 됩니다 🙏) 요즘 부동산 계약은 전자계약 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전자계약’ 이라는 말만 들어도 왠지 모르게 복잡하고 부담스럽게 느껴지지는 않으셨나요? 특히,  연세 있으신 분들 은 "나는 못 해요", "휴대폰 잘 몰라요" 하시며 거부감을 보이시곤 합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휴대폰과 신분증만 들고 오시면 저희가 다 도와드립니다. 계약 내용을 하나하나 설명해 드리고, 마지막에 버튼 한 번만 누르시면 끝! 전자계약이라고 해서 꼭 비대면으로만 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실제 실무에서는 지금도 중개사무실에 모여서 대면으로 계약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만약 매수인이 젊은 분 이라면, 혜택은 매수인이 보고, 매도인은 번거로움만 감당하는 구조인 만큼, 매도인께 불편함 없도록 책임지고 도와드리는 마음 씀이  꼭 필요합니다. | Is E-Contracting Too Complicated? These days, real estate contracts are often completed through electronic systems . But just hearing the word “e-contract” can make some people, especially older clients , feel uneasy. No worries—just bring your mobile phone and ID, and we’ll guide...

월세 받으면 무조건 신고해야 하나요? 부부 각자 집 있을 때 주의할 점(1편)

  1. 오늘의 요약 & 핵심 결론
  2. 월세 소득, 신고해야 하나요?
  3. 부부 각자 1주택일 때 과세 여부
  4. 과세 방식 – 종합과세 vs. 분리과세
  5. Q&A 자주 묻는 질문
  6. 팩트체크 박스

요즘 아파트 한 채쯤은 부모님이 증여해주거나, 결혼 전에 미리 장만한 경우도 많죠.
그래서인지 월세 수입이 생겨도 "설마 나까지 신고 대상일까?" 하고 넘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부부가 각자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면?

월세 얼마 안 되는데 신고 안 해도 괜찮지 않을까요?
아니요! 그게 바로 과세의 사각지대가 될 수 있습니다.

국세청은 2025년부터 주택 임대소득에 대한 정밀 분석을 강화하고 있고,
부부 명의, 보증금 구조, 고가주택 여부에 따라 과세 여부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어요.

👉 이번 글에서는 ‘나는 과연 월세 신고 대상일까?’를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 기준 정리부터

 ✅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선택 기준까지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드립니다.

💡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 불필요한 세금 걱정을 줄이고
✔ 정당한 절세 전략도 찾을 수 있을 거예요.

월세 소득, 무조건 신고하세요! 안내 포스터

| English Version

These days, it's not uncommon for couples to each own a home—whether inherited from parents or purchased before marriage.
So when rental income starts coming in, many think, "Do I really need to report this?"

But here's the thing... What if both spouses each own a property?
Even if the rent seems small, skipping the report can put you in a tax gray zone.

As of 2025, the Korean tax authority has enhanced its review of rental income from residential properties.
Depending on ownership structure, property value, and lease type, the filing duty may vary completely.

👉 In this article, we’ll help you clearly determine “Do I need to report my rent income?”
✅ We'll explain the key rules, ✅ Show when to choose between general or separate taxation, all in plain and easy-to-understand language.

💡 Read through to the end and you’ll gain ✔ peace of mind about your tax status, and ✔ discover smart strategies to reduce tax legally.

| 1. 월세 소득, 신고 대상인지 체크하기

아파트를 월세로 주고 있다면, 과연 소득세 신고를 해야 할까요?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은 보유 주택 수주택 가격입니다.
단 한 채만 있더라도 시가가 9억 원을 넘거나, 부부가 각자 집을 한 채씩 보유한 경우라면
신고 대상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 1주택 (시가 9억 원 이하)는 월세가 있어도 과세 제외
  • ✅ 2주택 이상 보유자는 월세 전액 신고 대상
  • ✅ 부부가 각자 1채씩 보유해도 ‘1가구 2주택’으로 간주되어 과세됨
  • ✅ 공동명의라면 지분 비율에 따라 나눠 신고

아래 표를 참고하여, 본인이 신고 대상인지 빠르게 점검해보세요 👇

구분 과세 여부 비고
1주택 (9억 이하) ❌ 비과세 월세 있어도 신고 의무 없음
1주택 (9억 초과) ✅ 과세 가능 과세 여부는 국세청 판단 기준에 따름
2주택 이상 ✅ 과세 월세 수입 전액 과세
부부 각자 1채 ✅ 과세 1가구 2주택으로 간주

| 용어 해설: 시가 9억 이하란?

✔️ 월세 신고에서 “시가 9억 원 이하”라는 기준, 시세 말고 아래 기준을 따릅니다!

  • 🏠 시가란?
    → 일반적으로는 집이 실제로 거래되는 가격(시세)을 말하지만, 세금 계산에서는 다른 기준을 씁니다.
  • 📊 세법에서 말하는 “시가 9억 이하”는?
    공시가격 × 1.5배로 계산한 금액이 9억 원 이하인지 보는 거예요.
    예: 공시가격이 6억이면 → 6억 × 1.5 = 9억 → 비과세 기준 통과!
  • ⚖️ 기준시가랑은 다른가요?
    → 네! 기준시가는 보통 양도소득세 계산할 때 쓰는 가격이고, 월세 신고와는 별개예요.

💡 결론: 실거래가나 시세가 아닌, “공시가격 × 1.5”로 9억 이하인지 따져야 월세 신고 비과세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요.

| 1. Do I need to report my rental income?

If you’re renting out an apartment, are you required to file tax on that income?
The key factors are how many homes you own and their market value.

Even with just one home, if its market price exceeds 900 million KRW, or if both spouses own separate homes,
you may be required to report your rent income.

  • ✅ 1 home (under KRW 900M): Exempt, no report required
  • ✅ 2+ homes: Rental income must be reported
  • ✅ Spouses each own a home: Counted as “2-home household” → report needed
  • ✅ Joint ownership: Report is split based on ownership ratio

Check this table to quickly find out whether you’re required to file 👇

Case Taxable? Notes
1 home (under 900M KRW) ❌ No Exempt even with rent income
1 home (over 900M KRW) ✅ Maybe Subject to tax authority review
2+ homes ✅ Yes All rental income taxable
Spouses own 1 home each ✅ Yes Considered 2-home household

| 2. 과세 방식 – 종합과세 vs 분리과세, 세율은?

월세 소득은 연간 총액이 2,000만 원 이하인지 초과하는지에 따라
신고 방식이 달라집니다. 선택 가능한 세율과 절세 전략도 여기서 갈립니다.

  • ✅ 연 2,000만 원 이하: 종합과세 또는 분리과세 중 선택 가능
  • ✅ 연 2,000만 원 초과: 무조건 종합과세 대상

📌 선택 기준 요약표

연간 월세 소득 신고 방식 세율
2,000만 원 이하 종합과세 또는 분리과세 종합과세: 6%~45% 누진세
분리과세: 14% 단일세율
2,000만 원 초과 종합과세만 가능 6%~45% 누진세

✅ 종합과세란?

다른 소득(근로, 사업, 이자 등)과 합산해 신고하는 방식입니다.
누진세율이 적용되어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최대 45%)이 적용됩니다.

✅ 분리과세란?

월세 소득만 따로 떼어 14% 세율로 과세받는 방식입니다.
다른 소득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소득이 높은 사람은 절세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필요경비와 기본공제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2. Taxation Method – General vs Separate Tax

How your rent income is taxed depends on whether your total annual rental income is below or above KRW 20 million.

📌 If it’s under 20 million, you can choose either general or separate taxation.
📌 If it’s over 20 million, you must go with general taxation.

Annual Rent Income Filing Type Tax Rate
≤ KRW 20 million Choose: General or Separate General: 6%–45% progressive
Separate: flat 14%
> KRW 20 million General only 6%–45% progressive

General Taxation: Rental income is combined with your other income like salary or business income. The more you earn, the higher the tax bracket you fall into (up to 45%).

Separate Taxation: Your rent income is taxed separately at a flat 14%. This is often advantageous if you have high total income from other sources.

| Q&A 자주 묻는 질문

Q1. 9억 원 이하 1주택이면 월세 신고 안 해도 되나요?
✅ 네, 시가 9억 원 이하의 1주택자라면 비과세 대상입니다. 전세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가 없고, 월세도 없을 경우엔 신고 의무도 없습니다.
| What if I own only one home under 900 million KRW?

✅ If you own a single house valued under 900 million KRW and earn no rental income (like monthly rent), you're exempt from rent income reporting duty.

Q2. 부부가 각각 집을 가지고 있으면 1주택자 아닌가요?
❌ 아닙니다. 세법상 부부는 1세대로 보며, 각각 주택을 보유한 경우 2주택자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어느 한쪽에서 월세를 받는다면 과세 대상입니다.
| If spouses each own a house, are they still 1-home owners?

❌ No. The couple is considered a single household for tax purposes. If both own homes, they are treated as 2-home owners. Rent income becomes taxable in this case.

Q3. 월세 소득이 1년에 300만 원인데 신고해야 하나요?
✅ 네, 2주택 이상 보유 시 금액에 상관없이 월세 소득 전액 신고 대상입니다. 다만 연간 2천만 원 이하이면 종합과세 또는 분리과세 선택이 가능합니다.
| I earned only 3 million KRW a year in rent. Still report it?

✅ Yes. If you own two or more houses, any rent income must be reported regardless of the amount. You can choose between general or separate taxation if it’s under 20 million KRW annually.

Q4. 과세 기준 ‘9억 원 이하’는 어떤 기준 시가인가요?
📌 국세청 해석 기준으로는 ‘공시가격 × 1.5배’로 환산한 금액이 9억 원 이하일 경우를 말합니다. 정확한 판단은 공시가격 확인 후 계산해야 하며, 시세가 아닌 공시지가 기반입니다.
| What does "under 900M KRW market value" actually mean?

📌 It means the official appraised value (공시가격) multiplied by 1.5. If that figure is under 900M KRW, your house qualifies for tax exemption.

| 팩트체크 박스

  • ‘9억 이하 1주택은 비과세’ → 시세가 아니라 공시가격 × 1.5배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 "Under 900M KRW exemption" means the official appraised value × 1.5, not market price.
  • ‘부부가 따로 집을 가지고 있으면 1주택자’ → 아님! 세법상 2주택자로 간주됩니다.
    ✔️ Spouses each owning a house = 2-home household under Korean tax law.
  • ‘2주택이어도 시가 9억 이하이면 비과세’ → 아님! 집값과 무관하게 과세 대상입니다.
    ✔️ Owning 2+ homes = you must report rental income, regardless of market value.
  • ‘월세 소득이 적으면 신고 안 해도 된다’ → 아님! 2주택 이상이면 금액과 무관하게 신고 필요.
    ✔️ You must report all rental income if you own 2+ homes, regardless of the amount.
  •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에서만 가능하다’ → 세무서 방문해서도 신고할 수 있어요.
    ✔️ You can file via National Tax Service (Hometax) or by visiting your local tax office.

| 오늘의 정리 & 다음 편 예고

아파트 월세 소득, 그냥 넘기면 안 된다는 거
오늘 글을 통해 조금은 더 명확해지셨죠? 😊

✔ 1주택이라도 9억 원 초과라면 신고 대상일 수 있고,
부부가 각자 주택을 보유한 경우엔 ‘1가구 2주택’으로 과세되며,
✔ 연간 월세 소득이 2,000만 원 이하
앞으로 월세 수입이 생길 가능성이 있거나 이미 받고 있다면,
꼭 오늘의 내용을 기준으로 신고 대상 여부를 먼저 체크해보세요.

다음 편에서는 실제로 신고를 어떻게 하면 되는지,
홈택스에서 어떤 경로로 입력하는지,
필요경비는 어디까지 공제받을 수 있는지까지 하나하나 친절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오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에도 함께 나눠주세요 🍯 공유와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더 알차고 든든한 시리즈로 곧 다시 찾아올게요.

| Wrap-up & What’s Next

Now you’ve got a clearer picture of when rent income must be reported 😊

✔ Even a single home may be taxable if worth over KRW 900M
✔ If spouses each own a home, it’s treated as a 2-home household for tax purposes
✔ Income under KRW 20M/year doesn’t mean automatic exemption!

If you’re already renting out or plan to in the future,
start by checking whether you need to file—it’s the smartest first step.

In the next post, we’ll walk you through:

  • ✅ How to report rent income on Hometax
  • ✅ What documents and inputs are needed
  • ✅ What expenses can be deducted to save tax

Don’t miss it—sharing is caring! 🍯
Your support helps keep this info coming 🙏

🐝 오늘도 부지런히 돈 정보 모으는 중이에요!

Money-hunting Busy Bee, always buzzing for smart money tips! 📊🍯

※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
법률 및 세무 관련 사항은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This post is for general informational purposes only. Please consult with a qualified professional for legal and tax matter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