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inheritance tax인 게시물 표시

[필독]부동산 거래, 서류 준비부터 발급처까지 한 번에 정리

부동산 매매나 임대차 거래를 진행하다 보면,  막상 계약 단계에서 “어떤 서류가 필요하죠?” 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서류를 제때 준비하지 못하면 계약 일정이 미뤄지고, 때로는 거래가 무산되는 경우도 있죠. 오늘은 매도인, 매수인, 임대인, 임차인 각각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그리고 이 서류들을 온라인·오프라인 어디서 발급할 수 있는지 를 현재 기준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또한, 각 서류가 왜 필요한지?   법률적 근거와 실무 팁까지 함께 담았으니, 저장해두셨다가 거래 때 꼭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목차 보기 (클릭하여 펼치기) | 매도인 필수 서류 | 매수인 필수 서류 | 임대인 필수 서류 | 임차인 필수 서류 | 서류 필요 이유 & 법률 근거 | Q&A | 핵심 요약 박스 | 법률 체크 | 마무리 | 매도인 필수 서류 서류명 발급처 (온라인) 발급처 (오프라인) 왜 필요한가? 등기사항증명서 (등기부등본)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관할 등기소 소유권·근저당·가압류 등 권리관계 확인 인감증명서 (매도용) 온라인 발급 불가 주민센터 매도 의사 확인, 위·변조 방지 ※ 본인서명사실확인서로 대체 가능 주민등록초본 정부24 주민센터 주소 변동·이전 이력 확인 토지대장 / 건축물대장 정부24 시·군·구청, 주민센터 대지권 여부, 건물 구조·면적 확인 부동산거래계약신고필증 (공인중개사 거래 시) 별도 발급 불필요 ...

상속세 18억 공제 시대 개막! 신고 절차·서류·전문가 조언까지 한눈에

이미지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인트로 | 상속세, 신고는 왜 중요할까? | 상속세 신고서 작성 순서 | 필수 제출서류와 해당시 제출서류 | 어디에 제출해야 할까? | 상속세 신고 기한 | 전자신고 방법 (홈택스) | 상속세 납부 방법 | 신고·납부 지연 시 불이익 | 사전 증여재산 합산 확인 방법 | 전문가 분석: 상속세 18억 공제 개편의 의미 | Q&A: 자주 묻는 질문 | 요약 박스 – 핵심만 콕! | 마무리 & 독자에게 한마디 🇺🇸 English | Introduction: Why inheritance tax filing matters | Step-by-step filing order | Required & conditional documents | Where to submit | Filing deadlines | E-filing via Hometax | Payment methods | Penalties for late filing/payment | Checking prior gifts | Expert analysis: 1.8B KRW deduction reform | Q&A: Common questions | Summary box – Key takeaways | Closing & message to readers | Intro | 상속세, 신고는 왜 중요할까? 부모님의 평생 모은 재산을 물려받는 순간, 기쁨과 동시에 커다란 걱정이 함께 찾아옵니다.  바로 상속세 신고 문제...

상속세 공제 10억 → 18억 상향,상속세 공제 확대 추진안

이미지
| 인트로 | Introduction 상속세는 애초에 상위 1% 부자들을 겨냥한 세금 으로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제도 도입 당시와 달리, 지금은 중산층까지 세금을 내야 하는 구조 로 변해버렸습니다.   그 이유는 1997년 이후 무려 28년간 상속세 공제한도가 동결 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사이 수도권 집값은 크게 오르며, 이제는 평범한 가정도 집 한 채만 있어도 상속세 대상이 되는 현실에 직면했습니다. 이런 배경 속에서 2025년 9월 11일, 이재명 대통령은 상속세 공제 한도를 18억 원까지 확대 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세금 때문에 집을 팔고 떠나야 하는 것은 잔인하다” 는 발언처럼, 이번 개편은 제도가 현실을 얼마나 따라잡을 수 있을지 보여주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평생 모은 재산을 세금이라는 굴레 없이 자녀에게 물려주고 싶어 하고, 자녀는 그 자산을 불필요한 세금 부담 없이 온전히 받기를 원합니다.   오늘은 이 개편안의 주요 내용과 실제 영향, 그리고 향후 적용 시점까지 정확하게 살펴보겠습니다. 🇺🇸 English Inheritance tax was originally introduced to target the wealthiest 1% . But today, it has effectively become a middle-class tax . Why? Because the exemption limit has remained frozen for 28 years since 1997 , while housing pri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soared. As a result, even ordinary families owning a single apartment can now face i...

상속받은 집, 땅 팔았더니 세금 폭탄?

이미지
부모님께 상속받은 주택이나 농지를 팔았더니 1억 원 넘는 세금 이 날아왔다고요? 이런 상황은 피할 수 있습니다. 다만 ‘비과세 요건’ 과 ‘자경 조건’ 을 정확히 알아야 해요. Many face unexpected taxes after selling inherited homes or land—don't let it happen to you. | 1. 상속주택 비과세, 누구나 해당되는 게 아니다 Not Every Inherited Home is Exempt from Tax 사례: A씨는 본인 주택(A)을 2017년에 취득하고, 2020년 부친 사망 후 주택(C)을 상속받았습니다. 이후 A주택을 2024년 양도했지만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에 실패 했죠. 👉 이유는 상속주택 중 '선순위 1채'만 비과세 요건에 포함되기 때문 이에요. Only one inherited home qualifies as “main inherited home” for exemption. 📌 선순위 상속주택 판단 기준 / Main Inherited Home Criteria - 소유기간이 가장 길거나 - 거주기간이 가장 긴 주택 - 피상속인의 최종 거주지 - 거주 이력이 없으면 기준시가가 가장 높은 주택 Only the “most representative” house is tax-exempt. | 2. 농지, 자경하지 않으면 감면 못 받는다 No Self-Farming, No Tax Relief on Inherited Farmland 농지를 상속받아도 직접 농사를 짓지 않으면 자경농지 감면 을 받을 수 없습니다. Simply inheriting farmland doesn’t grant tax relief—self-farming is essential. 조건 / Condition 요건 / Requirement 일반 자경 / General Case 8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