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전입신고인 게시물 표시

단기 임대차 계약서, 분쟁을 막아줄 특약 한 줄!(3)

이미지
전세 만기가 끝났는데도 사정상 잠깐 더 살아야 해서  보증금 없이 월세만 내는 단기 계약 을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런데 막상 주소를 옮기려 했더니 “전입신고는 안 돼요” 라는 답이 돌아오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런 현실적인 고민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도록  보증금 없는 단기 계약에 꼭 필요한 특약 부터 주소 사용·전입신고 제한을 명확히 쓰는 방법 까지 단계별로 정리해 드릴게요! Ever been offered a short-term lease with  no deposit —only to hear you can’t officially move your address? Let’s walk through essential clauses for no-deposit short-term leases, plus clear rules on address use and Jeonip Sin-Go. | 1. 보증금 없는 계약, 왜 위험할까요? 월세 연체 / 미납 위험 Risk of unpaid or late rent 무단 퇴거·설비 파손 시 담보 부족 No deposit means no collateral for damage or early move-out 계약 종료 후 집 비우지 않을 가능성 Tenant may refuse to vacate at the end of the lease | 2. 보증금 없는 계약에 꼭 넣어야 할 특약 아래 ➀~➂ 조항을 계약서에 반드시 명시하세요. ➀ 월세 연체 시 즉시 계약 해지   Immediate termination if rent is overdue ➁ 무단 퇴거·파손 시 손해배상 책임  Tenant liable for damages or unauthorize...

세대분리 전입이란?부모님 댁에 잠시 전입… 대출과 무주택 자격 괜찮을까?

이미지
요즘 집을 사면서 전세 퇴거 후 중간 거주지 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아파트 매수 후 입주 전까지 단기임대에 거주 해야 하는 경우, 전입신고가 불가능한 곳도 많아 고민이 많으시죠. 이럴 땐 부모님 댁 주소로 잠시 전입신고 를 해두는 방법이 떠오르지만, 과연 무주택 세대주 자격 유지 에 문제가 없을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모님 집 주소로 전입신고하면서도 무주택 자격을 유지할 수 있는 '세대분리 전입' 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Many homebuyers face a transitional period after moving out of a rental before moving into their new home. Often, they stay in a short-term rental where address registration is not allowed —a common issue in Korea. In such cases, temporarily registering your address at your parents’ home may seem like a good option. But will this affect your first-time buyer (no-homeowner) status ? This post explains how separate household registration works and how you can still qualify for mortgage loans and housing benefits while staying at a family member's address. ✔️ 세대분리 전입이란? What is Separate Household Registration? 같은 주소(예: 부모님 집)로 전입하면서도, ‘다른 세대주’로 등록하는 방법 입니다. It means registering the same address as a...

전입신고 + 확정일자, 전세사기 막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4)

이미지
몇 천만 원, 많게는 억 단위의 전세보증금. 계약서에 사인하는 것만으로는 완벽한 보호가 되지 않습니다 . We're talking tens or even hundreds of millions of won in deposit money — but a signature alone won't fully protect it. 확정일자 는 이런 소중한 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법적으로 꼭 필요한 안전장치 예요. A Confirmed Date is a simple yet powerful legal safeguard for protecting your deposit from future claims. 오늘은 확정일자가 왜 중요하고 , 어떻게 받는지 초보자도 알기 쉽게 안내해드릴게요. Let’s break down what a Confirmed Date is, why it matters, and how to make sure you’re fully protected — even if you’re new to this. 전세계약을 맺었다면 ‘확정일자’ 를 꼭 받아야 내 보증금을 지킬 수 있어요. If you’ve signed a lease, getting a Confirmed Date is essential to protect your deposit. 확정일자란? / What is a Confirmed Date? 확정일자는 계약서에 날짜 도장을 찍어주는 제도 로, 보증금에 우선변제권 을 부여합니다. A Confirmed Date is an official date stamp on your contract, giving you priority for deposit repayment . [real tips] 확정일자는 전입신고와 함께 해야 완전한 법적 보호가 ...

확정일자? 등기부등본? 신혼부부를 위한 전세·월세 실전 가이드(4)

이미지
전세든 월세든, 보증금이 걸린 계약 이라면 사인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항목들 이 있어요. Whether it’s Jeonse or Wolse, rental contracts involve big money. There are things you must check before putting pen to paper. 등기부등본, 확정일자, 전입신고… 하나라도 놓치면 보증금을 잃을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A missing registry check or unregistered move-in could cost you your deposit—seriously. 오늘은 전·월세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신혼부부라면 더더욱 필수입니다 📝 This post shares a must-check list before any rental agreement. Especially important if you're newlyweds renting your first home  전세·월세 계약, 쓰기 전에 꼭 확인하세요! Before You Sign: What to Check in Jeonse & Wolse Contracts "계약서에 도장 찍기 전에, 이건 꼭 확인하셨나요?" “Before you sign, have you checked everything on the list?” 확정일자, 등기부등본, 전입신고… 놓치면 보증금 위험 이 생길 수도 있어요. Miss one step and your deposit might be at risk. 계약 전 필수 체크리스트 📝 📜 등기부등본 확인 : 집주인 실명, 근저당 여부 Land Registry: Ve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