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오피스텔인 게시물 표시

부동산 전자계약, 어렵지 않아요! 중개사가 알려주는 A to Z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목차 Step 1 . 앱 설치 및 시작 Step 2 . 계약서 작성 전 Step 3 . 계약서 선택 Step 4 . 본인 인증 정보 확인 Step 5 . 본인 인증 시작 Step 6 . 약관 동의 Step 7 . 통신사 선택 및 정보 입력 Step 8 . 인증번호 입력 Step 9 . 신분증 촬영 Step 10 . 계약서 내용 확인 Step 11 . 전자서명 Step 12 . 계약 완료 마무리하며 🇺🇸 English Table of Contents Step 1 . Install the App and Get Started Step 2 . Before Creating the Contract Step 3 . Select the Contract Step 4 . Verify Identity Information Step 5 . Start Identity Verification Step 6 . Agree to Terms Step 7 . Select Carrier and Enter Info Step 8 . Enter Verification Code Step 9 . Capture Your ID Step 10 . Review Contract Details Step 11 . Electronic Signature Step 12 . Completion and Finalization Final Thoughts | 전자계약,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요즘 부동산 계약은 전자계약 으로 진행...

업무용이라 괜찮다고요? 오피스텔 때문에 세금 폭탄 맞은 이유

이미지
| 공부상 비주거용이면 괜찮다? 큰 착각입니다 “오피스텔은 주택이 아니니까, 1세대 1주택 비과세는 받을 수 있겠지?” 실제로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시고 세무서에 비과세로 신고 합니다. 하지만 국세청은 공부상 용도보다 ‘실제 사용 용도’ 를 더 중요하게 봅니다. 실제로 거주했다면? 세입자가 취사하고, 침대를 놓고 살았다면? 그 순간부터 국세청은 “주택” 으로 봅니다. 실제 사례에서도 업무용 오피스텔이라 생각하고 비과세 신고한 납세자 가 양도소득세 1억 2천만 원을 추징당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바로 그 사례를 통해, 오피스텔이 왜 주택으로 간주되는지, 어떻게 세무조사에 걸리는지 를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간단히 넘어갈 문제 아닙니다. 지금 확인해보세요. | Think it’s not a house? The tax office might disagree. “It’s an officetel, not a house. I should be exempt from capital gains tax, right?” Many people think this way—and end up making a costly mistake. What matters isn’t the legal category on paper, but how the property was actually used . If someone lived there, cooked, slept, and used it like a home? Then it’s a house. One real-life taxpayer filed for exemption assuming his officetel was non-residential, only to be hit with a ₩120 million tax bill. In this post, we’ll walk through that case—and show why the ...

오피스텔, 주거용인가 업무용인가? 세금 기준 총정리

이미지
오피스텔을 주거용으로 쓸지, 업무용으로 쓸지는 세금과 법적 분류 에 큰 영향을 줍니다. *Whether an officetel is used for living or business significantly affects taxation and legal treatment.*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련 법령·세금·판례·입증 방법 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We’ll cover key laws, tax implications, real cases, and how to prove business use.* | 법적으로 주거용 vs 업무용 판단 기준 Legal Criteria for Residential vs Commercial Use 오피스텔은 등기상 ‘업무시설’로 분류되더라도, 실제로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면 세법상 ‘주거용’ 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Even if registered as a commercial building, officetels can be considered residential for tax purposes based on actual usage. 세법과 법률은 단순히 건물의 이름이나 용도 구분이 아닌, 실제 사용 방식 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Legal and tax interpretation is based on how the property is actually used, not just its official designation. 📌 관련 법령 (Relevant Tax Laws) 부가가치세법 제26조: 주거용 임대는 부가세 면제, 업무용은 과세 대상 Value-Added Tax Act Article 26: Residential lease is VAT-exempt, commercial lease is taxable. 소득세법 시행령 제167조: 주거용이면 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