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블로거스팟인 게시물 표시

부동산 전자계약, 어렵지 않아요! 중개사가 알려주는 A to Z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목차 Step 1 . 앱 설치 및 시작 Step 2 . 계약서 작성 전 Step 3 . 계약서 선택 Step 4 . 본인 인증 정보 확인 Step 5 . 본인 인증 시작 Step 6 . 약관 동의 Step 7 . 통신사 선택 및 정보 입력 Step 8 . 인증번호 입력 Step 9 . 신분증 촬영 Step 10 . 계약서 내용 확인 Step 11 . 전자서명 Step 12 . 계약 완료 마무리하며 🇺🇸 English Table of Contents Step 1 . Install the App and Get Started Step 2 . Before Creating the Contract Step 3 . Select the Contract Step 4 . Verify Identity Information Step 5 . Start Identity Verification Step 6 . Agree to Terms Step 7 . Select Carrier and Enter Info Step 8 . Enter Verification Code Step 9 . Capture Your ID Step 10 . Review Contract Details Step 11 . Electronic Signature Step 12 . Completion and Finalization Final Thoughts | 전자계약,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요즘 부동산 계약은 전자계약 으로 진행...

같은 조건인데, 왜 내 금리는 더 높을까? 은행별 금리의 숨은 차이

이미지
| Intro | 왜 은행별 금리 비교가 중요한가 요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눈에 띄게 출렁이고 있습니다. 같은 시기, 같은 조건 으로 대출을 신청하더라도 은행마다 금리가 최대 0.5~0.8%p 까지 차이가 나죠. 특히 KB·신한·하나·우리·NH 농협 등 5대은행의 혼합형(고정+변동)·변동형·고정형 상품 구조는 각각의 금리 산정 기준이 달라, 단순히 ‘이자율이 낮은 곳’을 고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은행이 제시하는 금리 체계와 상품 구조를 비교 분석 하고, 실제 우대금리 적용 조건과 실질 금리(체감 금리) 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글 말미에는 전문가 코멘트를 통해 금리 선택 시 반드시 알아야 할 포인트 도 정리해드릴게요.  그럼, 본격적으로 은행별 주담대 금리 비교를 시작해볼까요? | Introduction | Why comparing bank loan rates matters These days, mortgage loan rates fluctuate noticeably in Korea. Even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rates can vary by 0.5–0.8%p among banks. Major lenders such as KB, Shinhan, Hana, Woori, and NH Nonghyup offer mixed (fixed + variable), variable, and fully fixed loan types— each with its own calculation method and benchmark rate. Therefore, simply choosing the bank with the lowest headline rate isn’t enough. In this post, ...

부동산 매매 시 부가가치세, 이것만 알면 끝! (토지·주택·상가별 핵심 정리)

이미지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부동산 매매 시 부가가치세 기본 개념 ① 부가세 발생의 3가지 기본 원칙 ② 토지와 건물을 함께 매매할 때의 계산 예시 ③ 주거용 건물에도 부가세가 붙는 예외 상황 ④ 업무용 건물의 부가세 생략 방법: 포괄양수도 매수자 주의사항 및 협상 포인트 핵심 요약 및 마무리 🇺🇸 English Basic Concept of VAT on Real Estate Sales ① Three Core Principles of VAT Application ② Example: When Land and Buildings Are Sold Together ③ Exceptional Cases: When VAT Applies to Residential Property ④ How to Avoid VAT on Commercial Property: Comprehensive Business Transfer Buyer’s Checklist and Negotiation Tips Summary and Closing 💡 부가가치세란? 부가가치세(VAT) 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 때, 거래 과정에서 새로 더해진 ‘가치’에 붙는 세금 이에요.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1만 원짜리 원단을 사서 옷을 만들어 2만 원에 팔았다면, 새로 만들어낸 ‘가치’는 1만 원이죠. 이 추가된 가치에 세금을 붙이는 게 바로 부가가치세예요. 쉽게 말해, “물건이 만들어지거나 팔릴 때마다 더해진 가치에 붙는 세금” 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최종적으로는 소비자가 부담하고, 사업자가 대신 납부하는 구조 예요. 💡 What is VAT (Value-Added Tax)? VAT...

보증금 폭탄 주의! 경매에서 놓치기 쉬운 우선변제권 1회성 원칙

이미지
| Intro · 보증금을 지키는 첫걸음 경매는 조금만 놓쳐도 큰돈이 오가는 민감한 투자입니다.  많은 분들이 “ 전입신고만 하면 안전하다 ”고 생각하시지만, 그건 절반만 맞는 말이에요.  확정일자 가 함께 있어야 비로소 보증금을 지킬 우선변제권 의 힘이 제대로 생깁니다.  특히 경매에서는 ‘우선변제권 1회성 원칙’ 때문에 한 번 사용하면 다음 절차에서는 우선변제권을 사용할 수 없어요.  그래서 오늘은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같은 날 챙기는 습관 이 왜 중요한지, 실제 사례를 통해 쉽고 명확하게 풀어드립니다. 핵심 요약 전입신고 = 대항력(새 집주인에게도 “나 여기 살아요”를 주장) 확정일자 = 우선변제권(경매 시 보증금을 앞서 배당받을 권리) 둘 다 있어야 경매에서도 보증금을 지킬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전입신고·확정일자 점검 순서 부터 등기부 확인 포인트 , 그리고 경매에서 흔히 놓치는 함정 까지 한 번에 정리하실 수 있어요.  금쪽같은 보증금, 꼭 지켜내봅시다. | Intro (English) In real-estate auctions, a small miss can cost a fortune. Many believe “ moving-in report alone is enough ,” but that’s only half true. You also need a date-certain (Hwakjeong-ilja) to fully activate your priority repayment right . Because of the auction’s “one-time rule” , if you miss your first chance, you may not be protected in later rounds. This article explains why you should obtain the m...

아파트 소방시설 변천사 총정리 | 완강기 설치 의무부터 대피공간까지

이미지
| Intro · 왜 아파트 소방시설은 시대별로 달라졌을까? “ 완강기는 몇 층까지 설치되어 있나요 ?”  “ 대피공간 은 예전에는 없었는데, 언제부터 의무 가 되었나요?” 아파트 중개·관리 업무를 하다 보면 한 번쯤 받게 되는 질문입니다.  우리나라 아파트 소방시설은 대형 화재가 발생할 때마다 법과 기준이 강화되어 왔고, 그 과정에서 완강기·스프링클러·대피공간(경량칸막이, 발코니 대피공간, 피난안전구역, 피난용 승강기) 등의 도입·의무화 범위가 해마다 달라졌습니다. 1970~80년대에는 건물 내부 소화전·소화기 중심의 최소 설비가 일반적이었고, 발코니 완강기 가 ‘마지막 수단’처럼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고층 아파트가 급증하면서 한두 개의 완강기로는 많은 인원을 동시에 대피시키기 어렵다는 한계가 드러났고, 2000년대 들어 발코니 대피공간, 경량칸막이, 피난안전구역, 피난용 승강기 같은 ‘체계적 피난’이 법제에 본격 반영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글에서 다룰 핵심 1) 완강기 설치 의무 는 몇 층까지인가? 2) 대피공간 제도 는 언제부터 생겼고, 어떤 형태로 발전했는가? 3) 건축년도별로 달라진 아파트 소방시설 변천사 한눈에 보기 아래에서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고, 실무에서 자주 묻는 층수 기준 과 도입 시점 은 표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Intro · Why did apartment fire-safety rules change over time? “Up to which floor are descender devices (escape descent devices) mandatory?” “Older apartments had no refuge spaces ; when did they beco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