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오피스텔 주거용 계약인 게시물 표시

[필독]부동산 거래, 서류 준비부터 발급처까지 한 번에 정리

부동산 매매나 임대차 거래를 진행하다 보면,  막상 계약 단계에서 “어떤 서류가 필요하죠?” 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서류를 제때 준비하지 못하면 계약 일정이 미뤄지고, 때로는 거래가 무산되는 경우도 있죠. 오늘은 매도인, 매수인, 임대인, 임차인 각각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그리고 이 서류들을 온라인·오프라인 어디서 발급할 수 있는지 를 현재 기준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또한, 각 서류가 왜 필요한지?   법률적 근거와 실무 팁까지 함께 담았으니, 저장해두셨다가 거래 때 꼭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목차 보기 (클릭하여 펼치기) | 매도인 필수 서류 | 매수인 필수 서류 | 임대인 필수 서류 | 임차인 필수 서류 | 서류 필요 이유 & 법률 근거 | Q&A | 핵심 요약 박스 | 법률 체크 | 마무리 | 매도인 필수 서류 서류명 발급처 (온라인) 발급처 (오프라인) 왜 필요한가? 등기사항증명서 (등기부등본)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관할 등기소 소유권·근저당·가압류 등 권리관계 확인 인감증명서 (매도용) 온라인 발급 불가 주민센터 매도 의사 확인, 위·변조 방지 ※ 본인서명사실확인서로 대체 가능 주민등록초본 정부24 주민센터 주소 변동·이전 이력 확인 토지대장 / 건축물대장 정부24 시·군·구청, 주민센터 대지권 여부, 건물 구조·면적 확인 부동산거래계약신고필증 (공인중개사 거래 시) 별도 발급 불필요 ...

[중개실무]업무시설로 적혀있어도 주거용? 오피스텔 계약서 작성 새 기준 공개

이미지
| 왜 주거용 표시가 중요한가? 오피스텔 임대차 계약을 할 때, 건축물대장에는 ‘업무시설’ 이라고 적혀 있지만 세입자는 실제로 거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전에는 이럴 때 ‘비주거용’ 확인 설명서를 작성해야 하는지, 아니면 ‘주거용 ’으로 작성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정말 많았죠. 그런데 2024년 7월 개정으로 이 혼란이 드디어 사라졌습니다.   이제는 건축물대장상의 용도보다 ‘실질적인 사용 용도’ 를 기준으로 ‘주거용’ 확인 설명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이 변화는 단순한 서류 작성 방식의 변경을 넘어, 세입자 보호와 계약의 명확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정 전후 차이, 주거용 판단 기준, 작성 방법을 단계별로 팩트체크하며 알려드리겠습니다. | Why is the residential designation important? When signing an officetel lease, the building register may state "commercial use," yet many tenants actually live there. In the past, agents and landlords often struggled over whether to prepare a "non-residential" or "residential" explanation form in such cases. However, the July 2024 amendment finally ended this confusion. Now, regardless of the building’s official use category, you can prepare a "residential" explanation form based on the actual use . This change is more than just a paperwork tw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