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해약금인 게시물 표시

부동산 전자계약, 어렵지 않아요! 중개사가 알려주는 A to Z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목차 Step 1 . 앱 설치 및 시작 Step 2 . 계약서 작성 전 Step 3 . 계약서 선택 Step 4 . 본인 인증 정보 확인 Step 5 . 본인 인증 시작 Step 6 . 약관 동의 Step 7 . 통신사 선택 및 정보 입력 Step 8 . 인증번호 입력 Step 9 . 신분증 촬영 Step 10 . 계약서 내용 확인 Step 11 . 전자서명 Step 12 . 계약 완료 마무리하며 🇺🇸 English Table of Contents Step 1 . Install the App and Get Started Step 2 . Before Creating the Contract Step 3 . Select the Contract Step 4 . Verify Identity Information Step 5 . Start Identity Verification Step 6 . Agree to Terms Step 7 . Select Carrier and Enter Info Step 8 . Enter Verification Code Step 9 . Capture Your ID Step 10 . Review Contract Details Step 11 . Electronic Signature Step 12 . Completion and Finalization Final Thoughts | 전자계약,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요즘 부동산 계약은 전자계약 으로 진행...

📌 해약금 vs 위약금 | 계약서 싸인 전 꼭 알아야 할 차이점!

이미지
부동산 계약할 때 자주 듣는 단어, 해약금 과 위약금 . 이름이 비슷하지만, 의미도 적용 상황도 완전히 다릅니다. You’ll often hear “termination fee” and “penalty” in real estate — but they’re not the same! | 해약금이란? What is a termination fee? 내가 계약을 스스로 철회하고 싶을 때 지불하거나 포기하는 금액 이에요.    It’s the money you give up when you want to cancel the contract on your own. 민법 제565조 에 따라 계약금을 주고받은 상태라면, 다음과 같은 원칙이 적용됩니다:  Under Civil Code Article 565, once the deposit is exchanged, these rules apply: 구매자가 계약 철회 → 계약금 포기 판매자가 계약 철회 → 계약금의 두 배 반환 Buyer cancels → forfeits deposit / Seller cancels → returns double the deposit | 위약금이란?  What is a penalty? 계약을 지키지 않아 상대방에게 손해를 입혔을 때 책임지는 금액 입니다.    This is compensation when you breach the contract and cause damage to the other party. 민법 제398조에 근거하여, 사전에 약정한 손해배상금으로 설정됩니다.  Based on Civil Code Article 398, it is usually pre-agreed as part of the contract. 전세 계약 중도 해지 상가 임대차 계약에서 손해 발생 계약서에 “위약금 부담” 명시 시 Early term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