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민생지원금 사칭 사이트 주의! 이 버튼 절대 누르지 마세요!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여러분의 관심 덕분에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
앞으로도 실전형 꿀정보로 보답드릴게요!
👉 즐겨찾기 추가하고 계속 업데이트 받아보세요 💬
📌 민생지원금 시리즈 | Livelihood Support Series
| 요즘 검색 1순위 '민생회복지원금'… 클릭 한 번에 유료결제?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바로가기!”
“전 국민 민생회복지원금 안내”
이런 문구 보신 적 있으신가요?
요즘 포털에 '민생회복지원금'을 검색하면 상단에 등장하는 안내 페이지들이 있는데요,
공식 정부 사이트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유료서비스로 연결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요.
지원금을 신청하러 들어간 줄 알았는데, 어느새 ‘여가생활 보호 서비스’, ‘휴대폰 가족안심’ 같은 유료 부가서비스에 가입되어버린 상황!
2025년 7월 4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러한 광고를 즉시 중단하라고 발표했습니다.
더 이상 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우리도 꼼꼼히 살펴봐야겠죠.
| 실제 사례: 민생지원금 신청? 알고 보니 가족안심 서비스 가입
블로그나 광고 링크를 누르면 '지금 신청하기' 버튼이 보입니다.
하지만 그 버튼을 누르면 정부 사이트가 아니라 민간 유료서비스 가입 페이지로 연결돼요.
이용자 입장에선 전화번호와 인증번호를 입력하라는 화면이 뜨면 “아, 본인인증 절차인가 보다” 하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 뒤엔 매월 과금되는 부가통신서비스 약정 가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 주의!
지원금 신청은 절대 유료서비스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전화번호 입력만으로도 요금이 청구될 수 있으니, 반드시 출처와 주소(URL)를 확인하세요.
| 피해를 막는 3가지 체크포인트
- ✅ 공식 출처 확인: 정부지원금은 반드시 정부24(www.gov.kr) 또는 정책브리핑(www.korea.kr)에서 확인하세요.
- ✅ “신청하기” 버튼 전 확인: URL이 ‘.gov’가 아니라면 의심하고, 전화번호 입력 전 반드시 페이지 성격을 다시 확인하세요.
- ✅ 의심되면 스크린샷 + 신고: 방송통신위원회 (☎ 02-2110-1539)에 바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알아두세요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에 따라 이러한 기만 광고는 불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방통위는 계속해서 조사를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 민생지원금 시리즈 | Livelihood Support Series
| 마무리하며
정부지원금, 창업지원금, 민생회복지원금… 요즘 같은 시기엔 이런 단어에 더 눈이 가기 마련이죠.
하지만 누구나 노릴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조심해야 할 유혹이기도 합니다.
가족, 부모님, 어르신께도 꼭 한 번 알려주세요.
클릭 한 번에 매달 요금이 빠져나갈 수 있으니까요.
오늘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분들과 꼭 공유해 주세요. 피해를 막는 가장 빠른 방법은 “알려주는 것”이니까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콘텐츠는 2025년 7월 4일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정책브리핑(www.korea.kr)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