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락두절 임대인? 공시송달과 송달불능 증명으로 대응하세요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보증금을 받아야 이사를 갈 수 있는데, 임대인과 연락이 끊긴 상황이라면요?
전화는 꺼져 있고, 문자도 답이 없고… 해외 체류 중이거나 휴대폰 번호가 바뀐 경우도 많습니다.
임차인 입장에서는 시간이 급한데, 더 이상 기다릴 수만은 없죠.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공시송달과 송달불능 증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대방이 연락을 회피하거나 받지 않을 때,
임차인이 법적으로 정당한 통보를 했음을 입증하는 방법들을 하나씩 소개해드릴게요.
What if you can’t reach your landlord when it’s time to get your deposit back?
No response to calls or texts—sometimes they’re living abroad or their phone number has changed.
Time is running out for the tenant, and waiting indefinitely is not an option.
This is when public notice delivery and proof of undeliverable mail come into play.
In this post, we’ll walk you through how to prove that you tried to give proper notice
when the other party is unresponsive or deliberately avoiding communication.
| 공시송달이란?
공시송달(公示送達)이란, 상대방의 주소나 연락처를 알 수 없거나, 고의로 서류 수령을 회피할 경우
법원이 게시판에 일정 기간 공고함으로써 송달이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연락이 안 되니 공공장소에 게시하고 보았다 치자"는 제도이며, 주로 소송 절차에서 사용됩니다.
내용증명을 보냈지만 반송되었거나, 주소 불명 등의 사유로 송달이 불가능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What is Public Notice Delivery?
Public notice delivery is a legal method used when the recipient’s address is unknown
or they are deliberately avoiding delivery.
In such cases, the court posts a notice for a set period, and this is considered legally delivered.
In simple terms, it means “posting it publicly counts as delivery,” and it’s commonly used in lawsuits or legal procedures.
It’s especially useful when certified letters are returned, refused, or undeliverable due to invalid contact details.
| 공시송달이 필요한 상황 예시
공시송달은 보통 내용증명이나 소장 등 서류를 상대방에게 직접 전달할 수 없을 때 사용됩니다.
실무에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 임대인이 해외 체류 중이며, 주소나 연락처가 불명확한 경우
- 전세 계약 만료 후에도 보증금 반환 요구에 응답이 없는 경우
- 내용증명을 보냈지만 수취 거부 또는 반송된 경우
- 채무자가 고의로 연락을 회피하거나, 주소를 변경하고 잠적한 경우
- 소송 상대방이 장기 실종 상태이거나 거주 불명인 경우
| When is Public Notice Delivery Needed?
Public notice delivery is typically used when legal documents like certified letters or complaints can’t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recipient.
Here are common real-life situations where this applies:
- The landlord is staying abroad and their contact information is unclear
- No response after demanding deposit return when lease ends
- The certified letter was refused or returned undelivered
- The debtor deliberately avoids contact or changes address without notice
- The other party is missing or has no known residence
| 공시송달과 일반 송달의 차이
일반 송달은 등기우편이나 직접 전달 등을 통해 서류를 상대방에게 실제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공시송달은 상대방이 소재불명 또는 회피 중일 때 법원이 게시판 등을 통해 간주 송달하는 특수한 절차입니다.
구분 | 일반 송달 | 공시송달 |
---|---|---|
전달 방식 | 등기우편, 직접 송달 | 법원 게시판 공고 |
전달 조건 | 상대방 주소나 연락처 확인 가능 | 소재 불명, 회피 등 송달 불능 |
효력 발생 시점 | 수령일 기준 | 게시일로부터 일정기간 경과 후 |
|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General Delivery
General delivery involves actually delivering documents to the recipient by mail or in person.
On the other hand, public notice delivery is used when the recipient is unreachable or avoiding delivery, and the court posts the notice instead.
Category | General Delivery | Public Notice Delivery |
---|---|---|
Method | Registered mail or hand delivery | Court bulletin board notice |
Condition | Address/contact is available | Address unknown or delivery refusal |
Effective Date | Date of receipt | Certain days after public posting |
| 공시송달 신청 절차
공시송달은 민사소송이 진행 중일 때 법원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처리됩니다.
- 내용증명 발송 후 반송되거나, 수령 거부 등의 사유 발생
- 주소 불명, 연락 두절 등 송달 불능 상태 입증 자료 준비
- 소송 제기 및 법원에 ‘공시송달 신청서’ 제출
- 법원이 공시송달 허가 결정 → 법원 게시판에 일정 기간 공고
- 공시 기간이 경과하면 송달 완료 간주되어 다음 절차 진행 가능
신청 시에는 ‘공시송달 신청서’와 함께 반송된 우편물 봉투, 송달불능 증명서, 소재불명 사유서 등을 첨부하면 심사가 원활해집니다.
| How to Apply for Public Notice Delivery
Public notice delivery can be requested during a civil lawsuit through the court. Here’s how the process usually works:
- Send a certified letter, which is returned or refused
- Gather evidence of failed delivery (unknown address, no response, etc.)
- File a lawsuit and submit an “Application for Public Notice Delivery”
- The court approves the request and posts the notice publicly
- After a certain period, delivery is considered complete, and the case proceeds
Along with the application, submit supporting documents like the returned envelope, a certificate of undeliverability, or an affidavit of unknown whereabouts to improve approval chances.
| 인터넷으로 공시송달 확인하는 방법
공시송달은 보통 법원 게시판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일정 기간 게시되며, 누구나 열람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한민국 전자소송 홈페이지 → 공시송달 현황 메뉴 확인
-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검색 → ‘공시송달’ 관련 항목 확인
🔍 공시송달 관련 법령·사례는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사이트에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어요.
- 민원24,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등에서도 일부 공시내용 열람 가능
열람 시에는 송달 대상자 이름, 사건번호, 게시일자 등을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법원별 게시 현황도 구분되어 있습니다.
| How to Check Public Notice Delivery Online
Public notice deliveries are usually posted on court bulletin boards or online portals, and can be viewed by anyone.
Here are common ways to check them:
- Visit the Korean e-Litigation system → Go to Public Notice Delivery section
- Search “공시송달” on Easy Law Korea for explanations and updates
- Some postings may also appear on Minwon24 or the Supreme Court’s online registry site
You can search by the recipient’s name, case number, or posting date. Notices are often organized by court and accessible by region.
| 송달불능 증명서 발급 방법
송달불능 증명서는 내용증명 또는 등기우편을 보냈지만, 수취인 부재, 주소불명, 수령 거부 등으로
배달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입증해주는 문서입니다.
발급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등기우편 반송봉투를 그대로 보관
- 가까운 우체국에 방문하여 “송달불능 확인서 또는 배달증명서” 신청
- 신청 시 등기번호와 발송일자 필요 (신분증 지참)
이 서류는 공시송달 신청 시 필수 증빙자료로 사용되며, 소송 또는 지급명령 청구 시 법적 효력이 있습니다.
| How to Obtain a Certificate of Undeliverable Mail
A Certificate of Undeliverable Mail officially proves that your registered or certified letter could not be delivered
due to recipient absence, address error, or delivery refusal.
Here’s how to get it:
- Keep the returned envelope from the post office
- Visit your local post office and request a “Certificate of Non-Delivery” or delivery proof
- You will need the tracking number and date of mailing (bring your ID)
This certificate is essential when applying for public notice delivery and can be submitted as legal proof in lawsuits or payment order requests.
| 등기우편 반송 시 활용 팁
내용증명을 보냈는데 반송되었다고 해서 효력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반송된 등기봉투는 공시송달 신청이나 소송 시 매우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다음 사항을 꼭 기억하세요:
- 반송봉투는 개봉하지 않고 그대로 보관합니다 (우체국 도장, 스티커가 증거)
- ‘수취인 불명’, ‘이사 감’, ‘보관기간 경과’ 등의 반송 사유 표기를 사진으로 남겨두세요
- 우체국에서 배달증명서, 송달불능 증명서를 함께 발급받으면 법적 신뢰도↑
- 공시송달 신청 또는 지급명령 청구 시 이 반송봉투가 핵심 첨부자료로 쓰입니다
| What to Do When Your Registered Mail is Returned
Just because your certified letter is returned doesn’t mean it’s invalid—in fact, it becomes critical evidence.
Returned mail is often used to support a public notice delivery request or legal claim.
Here are key tips:
- Do not open the returned envelope; keep it sealed with visible postmarks and labels
- Take photos of any reasons for return (e.g., “unknown recipient”, “moved”, “unclaimed”)
- Request a Certificate of Delivery Attempt or Non-Delivery at your post office
- These materials are essential when applying for court action or public notice delivery
| 공시송달 후 후속 조치 및 유의사항
공시송달이 법원에 의해 허가되면, 법원 게시판에 일정 기간 게시되는 것만으로 ‘송달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법적 절차가 자동으로 유리하게 흘러가는 건 아닙니다.
공시송달 후에는 아래 사항을 반드시 챙기세요:
- 공시일 기준으로 송달 완료일이 자동 계산됩니다 (예: 14일 경과 후)
- 상대방이 나중에 나타나면 송달의 적법성 여부를 다툴 수도 있음
- 따라서, 신청서·반송봉투·송달불능 증명 등 철저한 서류 보관이 중요
- 공시송달 이후에도 상대방의 소재 확인 시 즉시 일반 송달로 전환 가능
| What to Do After Public Notice Delivery
Once public notice delivery is approved by the court, the posting itself is considered a valid delivery after a set number of days.
However, this doesn’t automatically guarantee the legal outcome will favor you.
Here’s what you need to keep in mind:
- The effective date is calculated based on the court’s posting date (e.g., after 14 days)
- If the recipient appears later, they may challenge the validity of the delivery
- So it’s crucial to keep all supporting documents such as the application, return envelope, and proof of undeliverability
- If the recipient’s location is later found, delivery must switch back to general form
| 공시송달 및 송달불능 관련 실제 사례
📌 아래는 임대차 계약 종료 후 보증금 반환 문제로 인해 공시송달 또는 송달불능 증명이 실제로 활용된 사례입니다.
- 사례 1: 임대인이 외국에 장기 체류 중이고, 등기우편이 '수취인 불명'으로 반송됨 → 임차인은 반송봉투 + 송달불능 증명서를 첨부해 법원에 공시송달을 신청하여 송달 간주 인정
- 사례 2: 임대인이 연락을 끊고 이사를 가버림 (주소지 불명) → 임차인은 내용증명 반송 기록과 임대차계약서를 근거로 지급명령 청구에 활용
- 사례 3: 반송된 등기 봉투를 폐기했지만 우체국 시스템 조회 기록을 출력해 증거로 제출 → 일부 법원은 이를 간접적 송달불능 입증자료로 인정
| Real-World Cases: Public Notice & Undeliverable Mail
📌 Below are actual examples where public notice delivery or non-delivery certificates were used in rental disputes.
- Case 1: The landlord was staying abroad, and the registered letter was returned as “unknown recipient” → Tenant filed a public notice delivery request using the returned envelope and certificate of undeliverability
- Case 2: The landlord cut off contact and moved out without notice → Tenant used the returned certified letter and lease contract to file a payment order request
- Case 3: Tenant had discarded the returned envelope, but printed the tracking log from Korea Post → Some courts accepted it as indirect proof of non-delivery
누구도 일부러 연락을 피하고 싶은 건 아니겠지만, 현실에선 정말 연락이 닿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기엔 임차인의 시간과 권리는 너무 소중하죠.
내용증명, 공시송달, 송달불능 증명서까지… 오늘 글을 참고하셔서 법적으로 안전한 절차를 꼭 밟아보시길 바랍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에도 널리 공유해주세요.
여러분의 권리, 여러분이 직접 지킬 수 있습니다.
No one wants to avoid responsibility, but in real life, it’s not uncommon to have a landlord who disappears or stops responding.
Still, as a tenant, you deserve to protect your time, your plans, and your legal rights.
From certified letters to public notice delivery and proof of undeliverability—
today’s guide is here to help you take the right legal steps.
If this post was helpful, please consider sharing it with others in similar situations.
You have the power to protect your own rights.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