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전세 사기! 신탁등기 체크리스트(신탁원부발급방법)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요즘 전세 사기, 뉴스에서 하루가 멀다 하고 들려오죠.
특히 ‘신탁등기된 부동산’은 더 조심해야 한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Jeonse scams are all over the news these days. Have you heard that “trust-registered properties” are especially risky?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는 집인데, 나중에 계약이 무효가 됐다는 이야기, 남 일 같지 않아요.
“소유자가 직접 계약한 줄 알았는데, 신탁회사 동의가 없었다고요?”
You think you're signing with the owner—only to find out the contract's void because the trust company never approved it.
오늘은 낯설지만 꼭 알아야 할 개념, ‘신탁’과 그 위험성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계약 전에 딱 3가지만 확인하면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어요!
Let’s break down what a “real estate trust” means— and how to protect yourself with just 3 key checks.
이제부터는 전세계약할 때 ‘등기부등본’만 보는 게 아니라 ‘신탁원부’도 함께 확인하는 시대입니다.
These days, it’s not enough to check the property registry. You need to check the trust document too.
“몰라서 당했다”는 말, 이 글을 읽은 여러분에겐 해당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정리했어요 😊
We hope this guide helps you say, “That won't happen to me—I know better now.” 😊
신탁이 뭐예요? Avoid Jeonse Scams
요즘 뉴스에서 자주 들리는 ‘신탁’, 생소하지만 부동산 계약에서는 꼭 알아야 할 개념이에요.
Trust refers to a system where the property owner entrusts real estate to a trust company, which manages or disposes of it on their behalf.
쉽게 말해 “이 건물 대신 좀 맡아서 관리해줘”라는 뜻이죠.
In simple terms, it’s like saying, “Please take care of this property for me.”
여기엔 세 가지 주체가 있어요: There are three main roles involved:
- 위탁자 (Trustor): 부동산을 맡기는 사람 The person who entrusts the property
- 수탁자 (Trustee): 맡아서 관리하는 신탁회사 The trust company that manages the asset
- 수익자 (Beneficiary): 최종적으로 이익을 받는 사람 The person who ultimately benefits
소유자는 왜 신탁을 할까요? Why Do Owners Use Trusts?
부동산 소유자가 직접 관리하지 않고 신탁회사에 맡기는 이유는 다양해요.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property owners place their assets in trust.
- 채무 문제로 재산 보호를 원할 때 To protect assets from creditors or legal disputes
- 상속, 세금 등의 재산 관리 목적 For inheritance or tax-efficient property management
- 재건축·재개발처럼 대규모 사업 시 전문적 운영 필요 To manage large-scale projects like redevelopment
하지만 세입자 입장에서는 '신탁'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어요.
However, from a tenant’s perspective, a trust can be a red flag.
신탁된 부동산은 일반 소유자 명의가 아니기 때문에
The property is no longer under the owner’s name,
임대차 계약을 직접 체결하면 무효가 될 수 있어요!
so if they rent it out without authorization, the lease may be invalid!
신탁된 부동산, 왜 위험할까요?
What Makes Trust Properties Risky for Tenants?
등기부등본에 '신탁등기'가 있다면, 해당 부동산은 이미 신탁회사 명의예요.
If the property registry says “trust registration,” it’s already in the name of the trust company.
이런 상태에서 집주인이 몰래 계약하면 법적 효력이 없을 수 있어요.
If the landlord signs a lease without proper authority, the contract may not be legally valid.
그래서 반드시 신탁원부 확인이 필요해요!
That’s why checking the trust registry is crucial.
신탁원부 확인 방법 How to Check the Trust Registry
- 등기부등본 열람 – 신탁등기 여부 확인 View the registry to see if it mentions a trust
- 신탁회사 이름 확인 – 계약 가능 여부 문의 Identify the trust company and call them
- 확정일자·전입신고 병행 – 보증금 우선순위 확보 Register lease and move-in date to protect your deposit
📢요즘은 온라인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아래 정부 공식 사이트입니다.
인터넷전자민원서비스
Nowadays, it’s easy to verify this online through the real estate registry portal.
| 이런 상황이라면 꼭 한 번 더 의심해보세요
Red Flags You Should Never Ignore
- 🏠 집주인이 지나치게 친절하거나, 필요 이상으로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경우
If the landlord is overly friendly or offers a deal that seems too good to be true - 💰 주변 시세보다 전세금이 현저히 낮은 경우
If the rental deposi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ocal market rate
| 도움이 필요하다면, 이런 곳에서 확인해보세요
Where to Turn for Help and Verification
- 💬 부동산 Q&A 커뮤니티:
전문가의 답변을 통해 궁금한 점을 해결하고, 직접 들은 부동산 설명과 비교하여 교차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al Estate Q&A Communities: Get expert advice and compare it with what local agents say - 📱 국토부 임대인 정보 조회 시스템:
2025년 5월 27일부터 임대인의 동의 없이도 임대인의 다주택 여부나 사고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6월 23일부터는 ‘안심 전세’ 앱을 통해 보다 쉽게 전세 보증보험 반납 여부, 사고 이력 등을 조회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합니다.
Landlord Information System (by Ministry of Land): Since May 27, 2023, you can check the landlord’s multi-home ownership and insurance claim history without consent. From June 23, 2023, use the ‘Safe Jeonse App’ for easier access to risk info and insurance refund records.
💬 여러분은 신탁 전세 사기, 알고 계셨나요?
Have You Heard of Trust-Based Jeonse Scams?
전세계약, 당연히 안전할 거라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신탁’이라는 함정이 있었네요.
Most people assume their lease is safe—until they find out the property is under trust!
여러분은 전세계약할 때 어떤 점이 가장 걱정되세요?
What do you worry most about when signing a lease?
도움이 되는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I'll keep coming back with more useful tips and info!
🐝 오늘도 부지런히 돈 정보 모으는 중이에요!
Money-hunting Busy Bee, always buzzing for smart money tips! 📊🍯
※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
법률 및 세무 관련 사항은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This post is for general informational purposes only. Please consult with a qualified professional for legal and tax matters.)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