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놓치면 과태료! 2025 부동산 세금 납부 일정 & 준비 팁

이미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반복되는 세금 납부 일정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If you own real estate, it's essential to remember recurring tax deadlines each year. 특히 2025년에는 부동산 시장 변동과 더불어 세금 정책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어, 미리 일정을 체크하고 준비하는 것이 자산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In 2025, with potential market shifts and policy changes, checking and preparing for tax deadlines in advance is the first step to protecting your assets. 📅 주요 부동산 세금 납부 일정 (2025년) Key Real Estate Tax Deadlines in 2025 1월 – 재산세 연납 신청 (선택) January – Optional early payment application for Property Tax 5월 말 – 공동주택 공시가격 열람 및 이의신청 Late May – Review and appeal of official apartment prices 6월 1일 – 보유 기준일 (종부세, 재산세 기준일) June 1 – Property ownership reference date (for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 Property Tax) 7월 16~31일 – 재산세(1기분) 납부 기간 July 16–31 – 1st installment of Property Tax payment 9월 16~30일 – 재산세(2기분) 납부 기간 September 16–30 – 2nd installment of Property Tax payment ...

1평은 몇 ㎡? 부동산 단위 한눈에 정리! (계산기포함)

이미지
안녕하세요,  MoneyBee입니다😊 오늘은 부동산에서 정말 자주 쓰는 단위인 “평(坪)”과 “제곱미터(㎡)” 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설명드릴게요. 한국에서는 여전히 '평' 단위를 자주 쓰지만, 공식 문서나 청약, 공공기관에서는 ‘㎡ (square meter)’ 가 기준이에요. 처음엔 헷갈릴 수 있지만, 오늘 포스팅 하나로 완전 정리해보아요! 1. 평(坪)과 제곱미터(㎡)는 무엇인가요? | What is Pyeong and Square Meter? 평(Pyeong) 은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쓰이던 전통 면적 단위예요. 제곱미터(Square Meter, ㎡) 는 국제 표준 단위(SI 단위)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면적 단위입니다. 즉, ‘평’은 익숙하지만 비공식 단위 , ‘㎡’는 공식 단위 라고 보시면 돼요.

임대사업자 세금신고 궁금하다면? 5월 전 꼭 봐야 할 가이드

이미지
  한국에서 임대사업자로 등록하셨다면, 이제부터는  세금 신고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아셔야 합니다. Once you register as a rental business owner in Korea, it’s essential to understand your tax obligations. 1. 임대소득에 대한 세금 종류(Tax Types for Rental Income ) 종합소득세( Comprehensive Income Tax )  – If your rental income is combined with other income sources like salary or freelance work. 분리과세(Separate Taxation )  – 14% flat tax rate for annual rental income up to 20 million KRW. 👉  임대소득이 연 2천만 원 이하 이면  분리과세  가능하며, 그 이상일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2. When to File Taxes (세금 신고 시기) May 1st – May 31st  every year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File via  HomeTax (국세청 홈택스) 임대소득세는  매년 5월에 신고 해야 하며, 홈택스 사이트에서 전자신고가 가능합니다. 3. Required Documents (필요 서류) Rental Contracts (임대차계약서) Income Statement (수익 내역) Expense Records (비용 증빙자료)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사업자등록증) 4. How to File via HomeTax (홈택스를 통한 신고 절차) Login to  www.hometax.go.kr Select “종합소득세 신고” (Comprehensive Income Tax Fi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