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반건축물 대책 2편] 거래 전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특약 가이드
위반건축물 대책 2편, 거래 전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와 계약 특약 총정리.Illegal buildings Part 2: checklist & contract clauses for safe deals.
lognplus.com국토교통부가 2025년 10월 발표한 「위반건축물 합리적 관리방안」은 단순한 규제 강화가 아니라, 현실적인 대안을 통해 문제를 풀어가려는 종합 대책입니다.
현재 전국에는 약 14만 8천 동의 위반건축물이 존재하며, 매년 5천~6천 동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경남 창원시 불법 건물 붕괴 사고처럼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사례도 끊이지 않습니다.
특히 단독·다가구·다세대 등 소규모 주거용 건물에서 절반 이상이 발생해, 서민 주거환경 악화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전문가·지자체·민간단체 의견을 수렴해 “기존 위반건축물은 합리적으로 정리하고, 신규 불법은 원천 차단한다”는 투트랙 전략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대책은 단기 처벌 위주가 아니라,
① 안전 조건을 갖춘 한시적 양성화
② 비현실적 규제의 합리화
③ 불법 예방과 단속 체계 강화
를 큰 축으로 합니다.
즉, “과거는 정리하고 미래는 막는다”는 균형 잡힌 접근입니다.
이번 글(1편)에서는 정책 배경과 핵심 변화를 설명하고, 이어질 2편에서는 거래·실무에 미치는 영향과 체크리스트를 안내합니다.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위반건축물 정책 변화가 내 거래와 생활에 어떤 영향을 줄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In October 2025,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the “Rational Management Plan for Illegal Buildings.” It is not just stricter regulation, but a practical and comprehensive approach.
There are about 148,000 illegal buildings nationwide, increasing by 5,000–6,000 each year. Recent accidents, such as the collapse in Changwon, highlight the serious safety risks.
Small residential buildings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cases, worsening housing conditions for ordinary citizens. The government, after gathering expert and local opinions, adopted a dual-track strategy: “Resolve existing violations, prevent new ones at the source.”
The plan focuses on three pillars:
① Temporary legalization with safety conditions
② Rationalizing unrealistic rules
③ Stronger prevention and enforcement
In short, it’s about “tidying the past, blocking the future.” Part 1 explains the background and key changes, while Part 2 will cover practical impacts and checklists for transactions.
👉 By the end of this article, you’ll clearly understand how these new policies may affect your deals and daily life.
허가(또는 신고) 없이 건물을 늘리거나(증축), 형태를 바꾸거나(개조), 쓰임새를 바꿔(용도변경) 법 기준을 어긴 건물 전체 또는 일부를 말합니다.
Definition: Any part or whole of a building that is extended, altered, or changed in use without the required permit or notification.
우리나라 위반건축물은 단순히 불법 행위 차원을 넘어, 국민 안전과 주거 환경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약 14만 8천 동의 위반건축물이 존재하며, 매년 5천~6천 동씩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5년 7월에는 경남 창원시에서 불법 개조된 건물이 붕괴하여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사고도 있었습니다.
특히 소규모 주거용 건물(단독·다가구·다세대)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은 대체로 서민들이 거주하는 공간이어서, 생활 안전과 주거환경 악화 문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매매·임대차 과정에서 위반 사실이 드러날 경우, 매수인·임차인 피해로 연결되어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즉, 위반건축물 문제는 개인의 불법 행위에 그치지 않고 사회 전체의 신뢰와 안전을 위협하는 구조적 문제라는 점에서 정부가 나서게 된 것입니다.
Illegal buildings in Korea are no longer just about rule-breaking. They have become a serious threat to public safety and living conditions.
According to government data, there were about 148,000 illegal buildings by the end of 2024, with an annual increase of 5,000–6,000 units. In July 2025, a building in Changwon collapsed due to illegal modifications, causing casualties.
More than half of these violations are in small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single, multi-family, and row houses. Since these are often occupied by ordinary citizens, they directly affect safety and housing quality.
In property transactions, violations often lead to disputes and losses for buyers or tenants. This means the issue is not just about individual misconduct, but a systemic problem that undermines both public trust and safety, which is why the government decided to step in.
(특정건축물 정리법)을 통해 안전 확보를 조건으로 일정 기간 기존 소규모 주거용 위반건축물을 합법화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임차인·매수인 피해를 줄이고 불법 구조물의 안전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기존의 과도하게 엄격한 정북방향 일조사선 후퇴 규정을 완화하여 현실적인 설계가 가능하도록 개선됩니다. 불필요한 위반 발생 요인을 줄이려는 취지입니다.
(건축법 시행령 개정 예정) 비가림 시설과 보일러실은 연면적·층수 산정 시 예외를 인정하여 생활 편의 시설 설치 과정에서 불필요한 위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건축물 준공 이후에도 일정 주기마다 사후점검 및 성능확인 제도를 도입해, 불법 증축·변경을 예방하고 안전성을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거래 시 위반건축물 확인 제도가 강화되고, 임대차·매매 계약서에 특약 문구 삽입이 권장됩니다. 또한 위반 여부를 누구나 조회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 플랫폼이 마련됩니다.
불법을 유도하는 관행을 막기 위해 설계 가이드라인 제공, 건축사·시공자 대상 교육 강화, 무등록 시공자 처벌이 병행됩니다.
AI 항공사진·드론 등을 활용한 상시 모니터링, 이행강제금 실효성 강화, 위반 사항 원상복구 시 전문가 검토·비용 지원 체계가 신설됩니다.
※ 본 영향 분석은 정부가 제시한 기본방향(기존 위반 해소 + 신규 원천 차단), 규제 합리화, 사후관리·단속 강화, 정보공개·특약 등 거래 투명성 제고 방안을 토대로 정리했습니다.
엄격한 후퇴기준으로 합리적 설계 제약, 경미한 위반 빈발
기준 합리화로 불필요한 위반 감소, 설계 자율성 확대
생활편의 시설도 연면적·층수 포함되어 위반 유발
예외 인정 특례로 설치 용이, 경미 위반 예방
준공 후 관리 공백으로 무단 변경·증축 관리 어려움
정기 점검·성능확인 도입으로 사후관리 체계화
위반 정보 파편화, 확인·고지 누락 시 분쟁 빈발
위반확인 제도·정보공개 플랫폼·표준 특약으로 분쟁 예방
일회성 단속 중심, 이행강제금 실효성 한계
AI·드론 상시 모니터링, 이행강제금 실효성 강화, 원상복구 지원
위반 상태 장기화, 거래·거주 불확실성 지속
안전 조건 하 일시적 합법전환 경로 제시, 불확실성 해소
[위반건축물 대책 2편] 거래 전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특약 가이드
위반건축물 대책 2편, 거래 전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와 계약 특약 총정리.Illegal buildings Part 2: checklist & contract clauses for safe deals.
lognplus.comQ1. 기존 위반건축물도 모두 양성화되나요?
A. 아닙니다. 안전 확보 조건을 충족하는 소규모 주거용 건물만 한시적 양성화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 요건은 하위법령에서 확정됩니다.
Q2. 매수인이 위반 사실을 몰랐을 경우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요?
A. 원칙적으로 매도인(소유자)이 책임을 지며, 중개도 설명의무를 소홀히 했다면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Q3. 임차인도 피해를 구제받을 수 있나요?
A. 네, 계약서에 특약 문구를 넣어 두면 계약 해제·보증금 반환 등 권리를 명확히 주장할 수 있습니다.
Q1. Will all illegal buildings be legalized?
A. No. Only small residential buildings that meet safety conditions may qualify, with details set by by-laws.
Q2. Who is responsible if a buyer did not know about a violation?
A. Primarily the seller/owner. Brokers may also be liable if they failed to explain.
Q3. Can tenants also seek remedies?
A. Yes. Special contract clauses can secure rights such as termination or deposit refund.
체크리스트
특약 문구 예시
"본 건물에 위반건축물 사실이 발견될 경우, 매도인은 매수인에게 발생한 손해를 배상하며, 계약 해제 시 기지급금은 즉시 반환한다."
Checklist
Sample Clause
"If any violation is found in this building, the seller shall compensate the buyer for damages, and in case of contract cancellation, all payments must be refunded immediately."
시민단체 관계자: “양성화는 서민 주거권 보호라는 측면에서 꼭 필요합니다. 다만, 안전성 검증 없이 무분별하게 합법화되면 되레 위험이 커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심사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오늘 정리한 내용이 여러분의 의사결정에 분명한 기준이 되길 바랍니다. 위반건축물 이슈는 단속이나 처벌만으로 풀 수 없는 문제이기에, 정책 변화의 방향을 이해하고 거래 단계에서 꼼꼼히 확인하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시리즈 2편에서는 실제 계약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거래 전 체크리스트와 표준 특약 문구, 그리고 실무 사례를 차근차근 안내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의 안전한 거래와 멋진 성공을 응원합니다.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Understanding the policy direction and verifying key items during transactions are essential to manage risks around illegal buildings.
In Part 2, we will share a practical pre-deal checklist, standard contract clauses, and field cases you can apply immediately.
Wishing you safe transactions and peace of mind. See you in the next post.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