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용돈, 현금으로 ‘그냥’ 줬다간 세금 폭탄 맞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 자녀 용돈, 왜 세금 폭탄이 될까?
- 현금 인출·계좌 이체, 국세청은 이미 알고 있다
- ‘엄카 찬스’의 함정 — 상속세로 되돌아온다
- 세금 폭탄을 피하는 현명한 절세 전략 2가지
- 오늘의 핵심 정리
- 마무리 & 전문가 한마디
🇺🇸 English
“그냥 용돈 좀 줬을 뿐인데, 세금 폭탄이라고요?”
부모님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자녀에게 현금을 쥐여준 적이 있을 겁니다.
“ATM에서 뽑아주면 아무도 모르겠지”, “엄마 카드 쓰면 되잖아”
하지만 이런 행동이 나중에 ‘상속세·증여세 폭탄’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최근 두꺼비 세무사 채널에서도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며 “자녀에게 현금으로 용돈을 주거나 부모 카드(일명 엄카)를 쓰게 하는 행위는 단순한 가족 간 금전 지원이 아니라 명백한 ‘증여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영상의 핵심 내용을 바탕으로, 부모님이 자녀에게 현금이나 카드를 줄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리스크와 안전한 절세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끝까지 읽으시면 ‘세금 폭탄’을 피하면서도 합법적으로 자녀에게 자금을 이전하는 방법을 분명히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 Why giving cash to your children can cause a tax bomb
“It was just some pocket money—why a tax bomb?” Many parents in Korea have given cash to their adult children, thinking it’s harmless. “If I withdraw it from the ATM, nobody will know.” “They can just use my card.” But these actions can actually lead to a massive gift or inheritance tax penalty later on.
The Toad Tax Accountant YouTube Channel recently warned that giving cash or allowing your child to use a parent’s credit card (the so-called “Mom Card”) is not a simple family favor—it can be treated as a taxable gift transfer.
In this post, we summarize the key points from that video and explain the crucial tax risks parents must know when giving money or cards to their children— plus how to transfer wealth legally and safely. By the end, you’ll know exactly how to avoid a tax bomb while still helping your children financially.
| 현금 인출·계좌 이체, 국세청은 이미 알고 있습니다
부모님들이 가장 흔히 하는 방법은 바로 ATM 현금 인출이나 계좌 이체죠.
“현금으로 주면 기록이 안 남을 거야”라고 생각하지만, 국세청은 이미 금융거래 정보를 통해 이를 모두 파악하고 있습니다.
🔎 현금 인출 = ‘추정 상속 재산’으로 간주
부모님이 돌아가시기 전 거액의 현금을 인출했다면, 그 돈의 사용처를 명확히 소명하지 못할 경우 상속세 조사 시 ‘추정 상속 재산’으로 간주되어 상속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사망 1년 내 2억 원 이상, 또는 2년 내 5억 원 이상 사용처 불명 금액은 추징 대상
- 국세청은 10년간의 100만 원 이상 출금 내역을 모두 추적 가능
실제로 세무조사에서는 ‘이 돈이 누구에게 흘러갔는지’까지 추적합니다. 자녀나 며느리 계좌로 송금된 흔적이 있다면, 그 즉시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고액 현금 인출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
현재 금융권에서는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해 대규모 현금 인출이 시스템적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 ATM 1회 인출 한도: 100만 원, 1일 한도: 600만 원
- 100만 원 이상 인출 시 ‘30분 지연 인출 제도’ 적용
- 창구 인출 500만 원 이상 시 용도 문진, 1천만 원 이상은 FIU(금융정보분석원)에 자동 보고
즉, “몰래 현금으로 주면 괜찮겠지”라는 생각은 이미 옛말입니다. 지금은 모든 현금 흐름이 FIU 시스템을 통해 자동 감시되는 시대입니다.
| Cash withdrawals & transfers are already monitored
Many parents think withdrawing cash or transferring money to their children leaves no trace. However, the National Tax Service (NTS) in Korea already tracks all financial transactions.
🔎 Cash withdrawals can be treated as “deemed inheritance assets”
If a parent withdraws a large sum before passing away and cannot explain its use, that money may be considered part of the inheritance and taxed accordingly.
- Withdrawals over ₩200 million within 1 year or ₩500 million within 2 years before death are investigated.
- The NTS can review 10 years of transactions over ₩1 million each.
🏦 Large cash withdrawals are nearly impossible
- ATM limit: ₩1 million per transaction, ₩6 million per day
- 30-minute delay for withdrawals over ₩1 million
- Bank counter withdrawals over ₩5 million require explanation; ₩10 million+ are automatically reported to the FIU.
In short, all significant cash flows are automatically tracked. Trying to secretly hand over cash is no longer safe.
| ‘엄카 찬스’의 함정 — 상속세로 되돌아옵니다
“카드로 결제하면 현금처럼 안 남겠지?” 이렇게 생각하고 부모님 명의의 신용카드, 일명 ‘엄카’를 자녀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불법 + 증여 행위로 해석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 가족이라도 ‘타인 카드 사용’은 불법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르면, 가족이라도 본인 명의가 아닌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명백한 위법 행위입니다. 부모님 카드로 결제한 내역이 적발될 경우, 카드사에서 거래를 취소하거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12세 이상 자녀에게 발급 가능한 ‘가족 카드’는 예외로 인정되며, 이 경우에도 결제 내역은 부모의 소득으로 간주되어 자녀의 자금 출처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 ‘엄카 찬스’, 세무조사 때 드러나는 이유
국세청은 자녀의 연말정산 카드 공제 내역과 실제 소비 패턴을 통해 소득 대비 소비 규모를 면밀히 분석합니다. 자녀가 자신의 소득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소비를 했다면, 그 소비금액은 부모의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취득자금 소명조사(PCI 기법): 자녀 명의로 부동산 취득 시 자금 출처 조사 대상
- 생활비·용돈이라 주장해도 일상 수준을 벗어나면 증여로 판단
💀 부모님 사후, ‘상속세 조사’의 부메랑
부모님이 살아 계실 때는 세무조사를 받지 않더라도, 사후 상속세 조사 시 ‘과거 10년간 증여 내역’이 모두 합산됩니다. 이때 부모님 카드 사용 내역 전체가 자녀에게 증여된 금액으로 오해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부모님이 병원에 계시거나 와병 중인데, 카드 내역에 당구장·PC방·카페·젊은층 식당 등의 사용 흔적이 있다면 소명 자체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즉, ‘엄카 찬스’는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결국 상속세 리스크로 돌아옵니다.
부모님이 생전에 쓴 카드 내역이 모두 자녀의 소비로 해석될 수 있으니 반드시 자녀 명의 카드로, 소득 수준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The “Mom’s Card” trap — turns into inheritance tax
Many parents let their children use their credit cards, thinking it’s convenient and harmless. However, under Korean law, using someone else’s credit card—even a family member’s—is illegal, and it can also be treated as a gift transaction.
🚨 Using someone else’s credit card is illegal
According to the Specialized Credit Finance Business Act, it’s illegal to use a credit card not registered under your name. Even if the card is from your parents, it can be voided or penalized by the card issuer.
A “family card” for children aged 12 and above is an exception, but all expenses are still considered the parent’s income, not the child’s own funds.
💳 Why the “Mom Card” becomes a tax risk
The National Tax Service cross-checks the child’s annual credit card deduction data with income to identify excessive spending. If the child spends beyond their earnings, the difference can be classified as a gift.
💀 The real danger: inheritance tax audit after death
During inheritance audits, all transactions from the last 10 years are reviewed. Parental card use can easily be reclassified as gifts to the child, especially if the spending patterns don’t match the parent’s lifestyle (e.g., cafés, PC rooms, etc.).
The so-called “Mom’s Card” may seem convenient now, but it can backfire as a huge inheritance tax liability later. Always use cards under your child’s own name, within their income level.
| 세금 폭탄을 피하는 현명한 절세 전략 2가지
자녀에게 경제적 도움을 주고 싶은 마음, 부모라면 너무나 당연합니다. 하지만 세법은 감정이 아닌 ‘기록과 원칙’으로 판단합니다.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을 활용하면 합법적·안전하게 부(富)를 이전할 수 있습니다.
✅ 1. 증여재산 공제 한도를 적극 활용하세요
세법에서는 일정 금액까지는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는 비과세 한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한도 내 금액이라도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신고 기록이 있어야 나중에 자금 출처를 소명할 때 불필요한 오해를 피할 수 있습니다.
관계 | 공제 한도액 (10년간 누적) | 추가 공제 |
---|---|---|
성년 자녀 (만 19세 이상) | 5,000만 원 | 혼인·출산 시 최대 1억 원 추가 |
미성년 자녀 (만 19세 미만) | 2,000만 원 | - |
배우자 | 6억 원 | - |
절세 TIP: 증여세 면제 한도는 10년 단위로 갱신됩니다. 자녀가 어릴 때부터 10년마다 꾸준히 소액을 증여하고 신고하면, 성인이 되었을 때 큰 자금을 세금 부담 없이 이전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4년부터는 혼인·출산 시 최대 1억 원 추가 공제가 가능합니다. 혼인 신고일 또는 자녀 출생일 기준 ±2년 이내에 증여받는 금액에 적용되며, 양가 합산 시 최대 3억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 고액 자금은 ‘차용증’을 작성하고 이자를 지급하세요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을 자녀에게 줄 때는 반드시 증여 신고를 하거나, 차용(빌려주는 것) 관계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 차용증 작성 및 공증: 공식적인 문서로 남기고 가능하면 공증을 받습니다.
- 이자 지급 내역: 현금이 아닌 계좌 이체로 이자 주고받은 기록을 남깁니다.
- 변제 능력 확인: 자녀가 갚을 수 있는 소득이 있어야 차용 관계로 인정됩니다.
국세청은 연 4.6%의 이자율을 ‘정상 거래 기준’으로 간주합니다. 단, 연간 이자 금액이 1,000만 원 이내라면 무이자 차용이 가능하나, 반드시 세무 전문가와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결국 핵심은 “명확한 기록과 신고”입니다. 부모 자식 간의 거래라도 법적으로 증여나 차용으로 구분해 미리 신고해두는 것이 가장 확실한 절세 방법입니다.
| Two smart, legal tax-saving methods
Parents naturally want to help their children financially—but in the eyes of tax law, emotions don’t matter. What matters are records and clarity. Here are two ways to transfer wealth legally and safely.
✅ 1. Use your gift tax exemption limit
Korea’s tax code allows tax-free gifts within specific limits. Even within those limits, you should still file a gift report to prove the source of funds later.
- Adult child: ₩50 million per 10 years (+₩100 million extra for marriage/birth)
- Minor child: ₩20 million per 10 years
- Spouse: ₩600 million per 10 years
These exemptions reset every 10 years. Gradually gifting smaller amounts and reporting them can transfer wealth tax-free over time. Newlyweds and new parents can receive up to ₩100 million additional exemption (₩300 million combined from both sides).
✅ 2. Write a loan contract (“chayongjeung”) and pay interest
For larger sums exceeding exemption limits, either report it as a gift or document it as a loan with clear terms.
- Prepare a written loan contract, preferably notarized.
- Pay and record interest via bank transfer (not cash).
- Ensure the borrower has actual repayment ability.
The NTS assumes a 4.6% annual interest rate as market standard. Interest under ₩10 million per year can be exempt from taxation, but always consult a professional tax advisor.
| 오늘의 핵심 정리
- 현금으로 주거나 ‘엄카’로 결제해주는 것은 세법상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국세청은 10년간의 거래내역을 조회해 자금 흐름을 추적합니다.
- 현금 인출이나 고액 이체는 FIU에 자동 보고되어 숨길 수 없습니다.
- 자녀에게 합법적으로 자금을 이전하려면 증여세 신고 또는 차용증 작성이 필수입니다.
- 증여세 공제 한도는 10년 단위로 갱신되며, 혼인·출산 시 추가 공제가 가능합니다.
결국, 부모님의 선한 의도가 오히려 세금 폭탄으로 돌아오지 않으려면 기록·신고·증빙이 가장 확실한 절세의 시작입니다.
| Key takeaways
- 💣 Cash gifts or “Mom Card” use can be considered taxable gifts.
- 📋 The NTS tracks 10 years of bank transactions and withdrawals.
- 🏦 Large cash movements are automatically reported to the FIU.
- 👨👩👧 Safe wealth transfers require either gift tax filing or a proper loan contract.
- 💡 Gift tax exemptions renew every 10 years, with additional allowances for marriage and childbirth.
In short, keeping clear records and reporting properly are the best defenses against a costly tax audit later on.
| 마무리 & 전문가 한마디
부모님의 마음은 언제나 같습니다. “우리 아이 힘들지 않게 도와주고 싶다.”
하지만 세법은 마음이 아닌 ‘기록과 신고’로 판단합니다.
현금을 직접 주거나, 카드로 대신 결제해주는 작은 행동 하나가 훗날 거액의 세금 문제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이 강조했듯이, 자녀에게 돈을 줄 때는 “어떻게 주느냐”보다 “어떻게 남기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증여세 신고, 차용증 작성, 이자 송금 기록 등 증빙의 흔적이 곧 당신의 가장 강력한 방패가 됩니다.
💬 전문가 조언: “10년 단위의 증여 공제 한도를 꾸준히 활용하고, 자녀가 독립하기 전부터 세금 신고 습관을 함께 들이는 것이 가장 합법적이고 지혜로운 자산 이전 방법입니다.”
오늘 내용이 자녀에게 경제적 도움을 주려는 부모님들께 작은 방향표가 되었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따뜻한 마음이 불필요한 세금 걱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기록과 신고로 지키는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응원합니다.
🐝 오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에도 공유해주세요.
여러분의 한 번의 공유가 머니로그가 더 깊이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큰 힘이 됩니다.
다음에도 실생활에 꼭 필요한 세금·부동산 정보를 알기 쉽게 전해드릴게요.
| Wrap-up & expert insight
Parents simply want to help their children—but tax laws see only records, not intentions. A small act like giving cash or letting them use your card can later become a large tax burden if not handled properly.
As the Toad Tax Accountant emphasized, it’s not about how you give money, but how you document it. Filing a gift report, drafting a loan agreement, and recording interest payments can protect you from future inheritance or gift tax audits.
💬 Expert Tip: “Make use of the 10-year exemption cycle and teach your children the habit of proper tax reporting early—it’s the safest way to pass on wealth.”
If this post helped you understand how to support your children financially and safely, please share it with others. Your support helps MoneyLog continue delivering clear, trustworthy tax and property insights. Stay tuned for more real-life money wisdom!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