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이라면 올해 꼭 확인하세요! 2026년부터 사라지는 절세 통장 혜택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왜 지금 읽어야 하나요?
저도 최근에서야 알았습니다. 비과세 종합저축과 상호금융 비과세 같은 절세 통장이 어르신들께 얼마나 큰 도움이 되는지요.
그런데 내년 제도 변화로, 2025년 12월 31일 이후에는 지금처럼 쉽게 누리기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만 65세 이상을 위한 내용을 아주 쉽게, 차근차근 안내드리겠습니다.
이 글은 “어떤 통장인지 몰라서”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합니다.
특히 2026년부터 바뀌는 점과 올해 안에 준비할 일을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 이 글에서 알 수 있는 것
- 비과세 종합저축이 무엇인지, 2026년부터 어떻게 달라지는지
- 상호금융 비과세 혜택과 세율 인상(최대 9%) 이슈
- 올해(2025년) 안에 해야 할 준비와 쉬운 실행 순서
- 이미 한도를 채운 분들을 위한 대안(ISA·연금저축·IRP)
단 몇 분의 정보가 수십만 원의 세금을 지켜드릴 수 있습니다.
| Introduction (English)
Many seniors are unaware of how powerful these “tax-saving accounts” can be. From January 2026, key benefits for those aged 65+ will be tightened. If you join by December 31, 2025, you can keep the existing benefits until maturity. This post explains in plain language what changes, what to do this year, and simple next steps, including alternatives like ISA, pension savings, and IRP.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 비과세 종합저축, 2026년부터 가입 조건이 달라집니다
지금까지는 만 65세 이상이면 누구나 은행에서 비과세 종합저축에 가입할 수 있었어요.
이 통장은 원금 5천만 원 한도 안에서 생기는 이자와 배당금에 세금(15.4%)이 전혀 붙지 않는, 어르신에게는 정말 귀한 절세 상품이었습니다.
하지만 2026년 1월 1일부터는 가입 조건이 대폭 바뀝니다.
단순히 나이만으로는 가입할 수 없고, 기초연금 수급자만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소득과 재산 기준을 만족해야만 이 혜택을 계속 누릴 수 있는 거죠.
| 구분 | 현행 (2025년까지) | 변경 (2026년 1월 1일부터) |
|---|---|---|
| 가입 대상 | 만 65세 이상 국민 누구나 |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만 |
| 혜택 내용 | 원금 5천만 원 한도 내 이자·배당소득세 15.4% 전액 면제 | (수급자만 동일 혜택 유지) |
• 소득·재산 기준이 생겨 단순히 나이만으로는 가입 불가
• 기초연금 수급자가 아닌 65세 이상 어르신 약 300만 명은 가입 제한
• 이자·배당소득에 대해 연 최대 162만 원 세금 부담이 생길 수 있음
아직 가입하지 않은 만65세 이상인 분이라면 2025년 12월 31일 이전에 꼭 가입해야 합니다.
그 전에 들어두면 만기까지 기존 비과세 혜택이 그대로 유지
| English version
Until 2025, anyone aged 65 or older could open a “Tax-Free Comprehensive Savings” account, exempting up to 50 million KRW in principal from the 15.4% tax on interest or dividends. However, starting January 1, 2026, eligibility will be limited to basic pension recipients who meet income and asset requirements. Non-recipients—about 3 million seniors—may lose this benefit and face additional taxes of up to 1.62 million KRW annually. Those who join before December 31, 2025 will retain existing benefits until maturity.
| 상호금융 비과세, 내년(2026)부터 일부 구간 ‘세율 인상’ 됩니다
농협·신협·수협·새마을금고·산림조합 같은 상호금융의 예·적금은 지금까지 이자소득에 세금 0%에 가깝게(농어촌특별세 1.4%만) 적용돼 어르신들이 많이 이용했습니다.
하지만 2026년부터는 고소득 준조합원에 대해 세금이 단계적으로 5% → 9%까지 올라갑니다.
| 구분 | 현행 (2025년까지) | 변경 (2026년~) |
|---|---|---|
| 적용 세율 | 이자소득세 면제, 농특세 1.4%만 |
2026년: 5% (분리과세) → 2027년 이후: 9% (분리과세) ※ 고소득 준조합원 등 해당 |
| 대상 | 조합원·준조합원 비과세(예탁 3,000만+출자 2,000만 한도) | 농어민·서민층 중심 유지, 고소득 준조합원은 과세 전환 |
이자수익이 200만 원이라면…
• 2025년까지: 1.4% = 28,000원
• 2026년(과세 전환 대상): 5% = 100,000원
• 2027년 이후(과세 전환 대상): 9% = 180,000원
→ 같은 이자라도 세금 차이가 커집니다.
| 지금 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 올해 안(2025.12.31까지) 장기상품 가입을 검토하세요. 이미 가입한 상품은 약정 만기까지 기존 세제 혜택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내 소득 수준이 과세 전환 대상인지 점검하세요. (연금·근로·임대 등 합산 소득이 있는 분은 특히 확인)
- 만기 분산(1~3·5년)을 해두면 금리 변동과 제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English (co-op finance)
Interest from deposits at co-operative institutions (NACF, credit unions, fisheries, etc.) has effectively been tax-free (only a 1.4% special rural tax). From 2026, high-income associate members will be taxed at 5% (then 9% from 2027). Consider joining by Dec 31, 2025 with longer maturities to keep today’s benefits until maturity.
| 2025년이 ‘골든 타임’입니다 – 지금 바로 준비하세요
제도가 바뀐다고 해서, 이미 가입한 상품의 혜택이 바로 사라지는 건 아닙니다.
올해(2025년) 12월 31일 이전에 가입하면, 만기 때까지 기존의 비과세 혜택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이 바로 어르신들께 가장 중요한 골든 타임입니다.
| ① 비과세 종합저축 절세 전략
- 남은 한도(5천만 원)를 확인하고 가능한 한 채워두세요.
- 기초연금 수급자 여부와 상관없이 2025년 내 가입이 가장 유리합니다.
- 만기를 길게(3년~5년) 설정하면 비과세 혜택을 오래 누릴 수 있습니다.
| ② 상호금융 비과세 활용 전략
- 내년부터 과세 대상이 될 소득자(연소득 3,800만 원↑)는 올해 안에 장기 예금으로 미리 가입하세요.
- 가능하면 만기 3년 이상으로 설정해 기존 세율(1.4%)을 확보해두세요.
| English (Golden Time Strategy)
The good news: if you join a tax-free product before Dec 31, 2025, the benefit remains until maturity. After 2026, the same accounts will no longer be tax-free for most seniors. Key actions:
- Max out your 50 million KRW limit for the Tax-Free Comprehensive Savings.
- Choose a long-term (3–5 year) plan to extend the benefit.
- Join co-op deposits early if your income exceeds 38M KRW, to lock in the 1.4% rate.
| 이미 가입이 어렵다면? 대안 절세 통장 3종 추천
“나는 이미 비과세 통장 한도를 다 채웠는데요.” 또는 “올해 안에 가입하기가 어렵다면요?” 이런 분들도 걱정하지 마세요.
정부는 어르신뿐 아니라 모든 국민이 세금을 줄이면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다른 절세 상품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1.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여러 금융상품(예금·펀드·채권 등)을 한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고, 5년 이상 유지 시 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도인출이 자유로운 ‘중개형 ISA’도 인기가 높습니다.
2. 연금저축
은퇴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가장 기본이 되는 절세 상품입니다. 매년 납입액 중 연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장기간 유지할수록 복리 효과가 커집니다.
3. IRP (개인형퇴직연금)
퇴직금 또는 추가 자금을 적립해 운용할 수 있는 계좌로, 연금저축과 함께 사용하면 연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단, 중도 인출 시 세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장기 유지가 유리합니다.
✔ 비과세 종합저축 – 올해 안 가입으로 혜택 확보
✔ 상호금융 비과세 – 소득 기준 확인 후 장기 예치
✔ ISA·연금저축·IRP – 한도 내 꾸준한 납입으로 세액공제 극대화
| English (Alternative Accounts)
If you’ve already reached your tax-free savings limit, consider these alternatives:
- ISA (Individual Savings Account): Up to 4M KRW of gains tax-free after 5 years.
- Pension Savings: Annual tax deduction up to 4M KRW; long-term growth with compounding.
- IRP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Combine with pension savings for up to 9M KRW annual tax deduction.
These options help maintain steady tax benefits even if the senior-only exemptions change.
| 마무리 요약 및 실천 포인트
오늘은 2026년부터 달라지는 65세 이상 절세 통장 혜택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핵심은 단 하나입니다 — 올해(2025년) 12월 31일 전까지 준비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지금 미리 가입해두면, 만기까지 세금 없이 혜택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비과세 종합저축 – 내년부터 기초연금 수급자만 가능
✔ 상호금융 비과세 – 고소득자 세율 9%까지 인상
✔ 2025년 12월 31일까지 가입 시 기존 혜택 만기까지 유지
✔ 한도 초과 시 ISA·연금저축·IRP로 절세 대체 가능
특히 어르신 분들은 은행에서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 마감이 언제예요?” 한마디만 물어보셔도 담당 직원이 자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지금이 바로, 혜택을 지킬 수 있는 마지막 시기입니다.
“노후 자산을 지키는 골든 타임은 2025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미루지 말고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오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부모님이나 주변 어르신들께 공유해 주세요.
단 한 사람이라도 이 정보를 통해 세금을 아끼고, 노후 자산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머니로그는 앞으로도 현실에 꼭 맞는 절세 정보를 계속 전해드리겠습니다.
다음 글에서 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English (Summary & Closing)
Starting in 2026, senior tax-free benefits will be limited to basic pension recipients, and co-op deposits will face higher tax rates (up to 9%). Join before Dec 31, 2025 to keep your current tax-free advantage until maturity. If you’ve already reached your limit, consider ISA, pension savings, or IRP.
Please share this article with your parents or senior friends — it could save them hundreds of thousands of won in taxes. MoneyLog will continue to deliver practical, fact-checked financial guides for you.
📌 머니로그 추천 글 모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