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원 내야 탑승권 발급?” 수수료 도입한 LCC의 진짜 속내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 항공사 카운터 발권 유료화 논란, 왜 생겼을까?
- 1. 카운터 발권, 이제 3,000원 수수료 부과
- 2. 셀프 체크인 불편 호소, 특히 고령층과 미성년자
- 3. 이미 시행 중인 항공사와 수수료 면제 대상
- 정리 및 머니로그 한줄 코멘트
🇺🇸 English
| 항공사 카운터 발권 유료화, 정말 괜찮을까?
요즘 정말 해외여행 가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죠.
주말에 TV를 켜면 홈쇼핑 채널마다 ‘동남아 여행’, ‘일본 온천 패키지’, ‘유럽 특가 항공권’ 같은 상품이 끊임없이 나오니까요.
그런데 얼마 전 뉴스에서 “공항 카운터에서 탑승권을 발급받을 때 이제 수수료를 내야 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순간 고개를 갸웃하게 됐습니다.
기계에 익숙한 젊은 세대는 키오스크에서 스스로 발권하는 게 오히려 편하겠지만, 스마트폰이나 셀프 기계가 낯선 세대에게는 꽤 당황스러운 소식일 수 있겠죠.
게다가 1인당 3,000원이라는 금액이 커 보이지 않아도, 가족 단위 여행이라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비용이 됩니다.
오늘은 이 논란의 중심에 선 ‘LCC(저비용 항공사) 카운터 발권 유료화 정책’이 왜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승객들이 어떤 불편을 호소하고 있는지 머니로그 시선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 Airline Counter Check-in Fees — Is It Reasonable?
These days, it feels like everyone is traveling abroad. Turn on the TV over the weekend and you’ll see countless home-shopping programs promoting overseas travel packages — to Japan, Southeast Asia, or Europe. But recently, a surprising piece of news caught attention: some airlines now charge a fee for issuing boarding passes at airport counters.
For younger travelers familiar with kiosks and mobile check-in, this may seem natural. However, for older generations or those less used to machines, it’s quite an inconvenience. A ₩3,000 fee per person might not sound much, but for a family trip, it adds up quickly.
In this post, MoneyLog takes a closer look at why Low-Cost Carriers (LCCs) are introducing these new policies and how passengers are reacting to them.
| 1. 카운터 발권, 이제 3,000원 수수료 시대
최근 일부 저비용 항공사(LCC)들이 공항 카운터에서 탑승권을 발급받는 승객에게 1인당 3,000원의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먼저 시행에 나선 곳은 이스타항공으로, 국내선 기준 카운터 발권 시 별도의 추가 요금이 붙습니다.
항공사 측은 이 조치의 이유를 “탑승 수속 대기 시간을 줄이고, 셀프 체크인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모바일 체크인이나 공항 내 키오스크를 활용하면 카운터 혼잡을 줄이고 인건비를 효율화할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하지만 승객 입장에서는 조금 복잡한 생각이 듭니다. 항공권을 구매했는데도, “탑승권을 받는 데 추가 요금을 내야 한다”는 점이 쉽게 납득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 여행 초심자나 어르신들은 “비행기를 타는데 왜 또 돈을 내야 하느냐”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항공사 입장에서는 ‘운영 효율화’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서비스 축소’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단순히 3,000원의 문제가 아니라, 서비스의 기준이 ‘기본’에서 ‘추가 옵션’으로 변하는 흐름이라는 점이 핵심이죠.
| 1. ₩3,000 Fee for Counter Ticket Issuance
Some low-cost carriers (LCCs) in Korea have started charging ₩3,000 per passenger for boarding passes issued at airport counters. Eastar Jet was among the first to implement this policy for domestic flights.
According to the airlines, the goal is to reduce waiting times and encourage self-service check-in via kiosks or mobile apps. They argue that this improves efficiency and prevents counter congestion.
However, from passengers’ perspective, it feels like paying for something that used to be free. Many travelers, especially seniors or first-time flyers, question the logic — “Why do I need to pay just to get my boarding pass?”
From the airline’s side, it’s about operational efficiency. But from the customer’s side, it’s about the shrinking definition of ‘basic service.’ The issue isn’t just the ₩3,000 — it’s the gradual normalization of paid conveniences.
| 2. 셀프 체크인 불편 호소, 특히 고령층과 미성년자
항공사들이 말하는 “편리함”이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지는 않습니다.
특히 기계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에게는 셀프 체크인이 오히려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예약 번호 입력, 좌석 선택, 수하물 확인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다 보니, 단순히 “버튼 몇 번 누르면 된다”는 설명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미성년자나 보호자 동반이 필요한 승객의 경우, 직원의 확인 절차가 필요한데도 카운터 이용 시 추가 요금이 발생하는 상황이 혼란을 부르고 있습니다.
“결국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데, 그게 왜 수수료로 이어지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적지 않습니다.
일부 공항에서는 승객들이 키오스크 앞에서 긴 줄을 서거나, 발권 오류로 다시 카운터를 찾는 장면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모습은 항공사들이 주장하는 ‘대기 시간 단축’과는 정반대의 풍경이죠.
셀프 시스템은 효율적일 수 있지만, 그 효율이 모두에게 공평하게 작동하지는 않습니다. ‘디지털 격차’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이용자의 선택권 문제로 번지고 있습니다.
| 2. Self Check-in Inconvenience for Seniors & Minors
The so-called “convenience” of self check-in doesn’t apply to everyone. For many elderly travelers unfamiliar with machines, kiosks are confusing and stressful. They need to enter booking numbers, choose seats, and confirm baggage — not an easy process for those new to technology.
Even for minors or passengers needing staff assistance, there are cases where counter check-in is unavoidable — yet it still comes with an extra fee. This raises the question: “If help is necessary, why should it cost more?”
At many airports, it’s now common to see passengers queueing in front of kiosks or returning to the counter due to system errors — ironically increasing wait times instead of reducing them.
Self-service may improve efficiency, but not equally for all. The “digital divide” here is not just a matter of technology — it’s a question of accessibility and fairness.
| 3. 이미 시행 중인 항공사들과 수수료 면제 대상
이스타항공의 결정이 처음은 아닙니다. 이미 제주항공, 에어서울 등 여러 저비용 항공사들이 카운터 발권을 유료화하고 셀프 수속 체제로 전환한 바 있습니다.
이제는 ‘셀프 체크인’이 선택이 아니라 사실상 기본 절차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모든 승객에게 수수료가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항공사들은 디지털 접근이 어려운 승객이나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예외를 두고 있습니다.
면제 대상 | 적용 조건 |
---|---|
고령층(만 70세 이상) | 셀프 발권 기기 사용이 어려운 경우 카운터 무료 이용 가능 |
장애인·임산부 | 직원 확인 후 카운터 수속 수수료 면제 |
미성년자 단독 탑승객 | 보호자 동반 없이 탑승 시, 안전 확인 절차로 카운터 이용 필수 |
결국 ‘유료화’라는 흐름은 피할 수 없겠지만, 승객 입장에서는 미리 모바일 체크인이나 키오스크 이용법을 익혀두는 것이 불필요한 수수료를 피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항공 서비스의 기준선이 ‘무료에서 유료로’ 바뀌는 추세입니다. 결국 소비자도 준비된 이용자가 되어야, 불편과 비용을 줄일 수 있겠죠.
| 3. Other Airlines’ Practices and Exemption Cases
Eastar Jet wasn’t the first to introduce this policy. Several LCCs such as Jeju Air and Air Seoul had already implemented paid counter check-ins and encouraged passengers to use self-service kiosks instead. Today, “self check-in” has practically become the new standard.
However, not everyone is charged. Most airlines exempt passengers who face difficulties using machines or who require assistance.
Exemption Group | Conditions |
---|---|
Elderly (70+ years) | Can use counter for free if unable to use kiosks |
Disabled or Pregnant Passengers | Fee waived after staff verification |
Unaccompanied Minors | Must use counter for safety checks |
The trend toward paid check-ins seems irreversible, but passengers can avoid extra costs by learning how to use mobile or kiosk check-ins in advance.
The definition of “basic service” is shifting from free to paid. Being prepared and tech-savvy is becoming a financial advantage in modern air travel.
| 정리 및 머니로그 한줄 코멘트
공항 카운터 발권 유료화는 이제 몇몇 항공사의 실험적 정책이 아니라, 저비용 항공사 전반으로 확산되는 흐름이 되고 있습니다.
셀프 체크인을 유도해 인건비를 줄이겠다는 항공사들의 입장과, 기계에 익숙하지 않은 승객들의 불편이 맞부딪히고 있는 현실이죠.
결국 핵심은 “누구에게 편리하냐”입니다. 기술은 편리함을 주지만, 그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의 간극이 존재합니다.
특히 항공 서비스처럼 공공성과 접근성이 중요한 영역에서는 효율보다 ‘이용자 배려’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앞으로 여행을 준비하신다면, 출발 전 모바일 앱이나 웹 체크인 방법을 미리 익혀두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 되겠습니다.
작은 준비가 3,000원의 수수료뿐 아니라 불필요한 혼잡과 스트레스도 함께 줄여줄 테니까요.
서비스의 ‘기준선’이 변하고 있습니다. 이제 소비자도 준비된 여행자가 되어야 할 때입니다. 편리함의 시대일수록, 진짜 배려는 ‘모두가 쓸 수 있는 서비스’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요.
📺 출처: 채널A 뉴스 (탑승권 발권하는데 돈 내라고요? / 뉴스A)
🔗 영상 바로보기
| Summary & MoneyLog Comment
Paid counter check-ins are no longer an experiment — they are becoming a standard practice among low-cost carriers. While airlines claim efficiency, many passengers experience inconvenience and confusion.
The real issue is “who benefits from convenience.” Technology should make travel easier for everyone, not create barriers for those less familiar with digital tools.
Before your next trip, take a moment to learn mobile or web check-in — a small effort that can save both money and time at the airport.
The baseline of “service” is shifting. Being a prepared traveler is now part of smart financial behavior. True convenience means inclusivity, not exclusion.
📺 Source: Channel A News – “Charging for Boarding Passes? / News A”
🔗 Watch Video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