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자계약, 어렵지 않아요! 중개사가 알려주는 A to Z

📊 이 글 포함 누적 30,000뷰 돌파! 여러분의 관심 덕분에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 앞으로도 실전형 꿀정보로 보답드릴게요! 👉 즐겨찾기 추가 하고 계속 업데이트 받아보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유도 큰 힘이 됩니다 🙏) 요즘 부동산 계약은 전자계약 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전자계약’ 이라는 말만 들어도 왠지 모르게 복잡하고 부담스럽게 느껴지지는 않으셨나요? 특히,  연세 있으신 분들 은 "나는 못 해요", "휴대폰 잘 몰라요" 하시며 거부감을 보이시곤 합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휴대폰과 신분증만 들고 오시면 저희가 다 도와드립니다. 계약 내용을 하나하나 설명해 드리고, 마지막에 버튼 한 번만 누르시면 끝! 전자계약이라고 해서 꼭 비대면으로만 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실제 실무에서는 지금도 중개사무실에 모여서 대면으로 계약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만약 매수인이 젊은 분 이라면, 혜택은 매수인이 보고, 매도인은 번거로움만 감당하는 구조인 만큼, 매도인께 불편함 없도록 책임지고 도와드리는 마음 씀이  꼭 필요합니다. | Is E-Contracting Too Complicated? These days, real estate contracts are often completed through electronic systems . But just hearing the word “e-contract” can make some people, especially older clients , feel uneasy. No worries—just bring your mobile phone and ID, and we’ll guide...

상속받은 집, 땅 팔았더니 세금 폭탄?


세금 고지서를 보고 놀란  여성

부모님께 상속받은 주택이나 농지를 팔았더니 1억 원 넘는 세금이 날아왔다고요?
이런 상황은 피할 수 있습니다. 다만 ‘비과세 요건’‘자경 조건’을 정확히 알아야 해요.
Many face unexpected taxes after selling inherited homes or land—don't let it happen to you.


| 1. 상속주택 비과세, 누구나 해당되는 게 아니다

Not Every Inherited Home is Exempt from Tax

사례: A씨는 본인 주택(A)을 2017년에 취득하고, 2020년 부친 사망 후 주택(C)을 상속받았습니다.
이후 A주택을 2024년 양도했지만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에 실패했죠.

👉 이유는 상속주택 중 '선순위 1채'만 비과세 요건에 포함되기 때문이에요.
Only one inherited home qualifies as “main inherited home” for exemption.

📌 선순위 상속주택 판단 기준 / Main Inherited Home Criteria
- 소유기간이 가장 길거나
- 거주기간이 가장 긴 주택
- 피상속인의 최종 거주지
- 거주 이력이 없으면 기준시가가 가장 높은 주택
Only the “most representative” house is tax-exempt.

| 2. 농지, 자경하지 않으면 감면 못 받는다

No Self-Farming, No Tax Relief on Inherited Farmland

농지를 상속받아도 직접 농사를 짓지 않으면 자경농지 감면을 받을 수 없습니다.
Simply inheriting farmland doesn’t grant tax relief—self-farming is essential.

조건 / Condition요건 / Requirement
일반 자경 / General Case8년 이상 직접 경작 / 8+ years self-farming
상속 농지 / Inherited Farmland1년 이상 자경 or 3년 내 양도 / 1 year self-farming or sell within 3 years

⚠ 총급여가 3,700만원 넘으면 자경 인정 제외될 수 있어요!
High income can disqualify you from self-farming recognition.


| 3. 건물 취득가액, 시가 아닌 ‘상속세 평가가’로

Use Inheritance Value, Not Market Price

상속받은 건물을 양도할 때 시가 기준으로 취득가액을 신고하면 실수!
Using market price as your acquisition cost for inherited buildings is incorrect.

👉 정확한 취득가액 = 상속세 평가가
Always use the inheritance-assessed value as acquisition cost.


| 요약 정리

Quick Summary

  • 📌 상속주택: 1채만 ‘선순위’로 비과세 적용
  • 📌 농지: 3년 내 양도 or 1년 자경 필요
  • 📌 건물: 상속세 결정가액이 취득가액
  • 📌 소득 3,700만 원 이상: 자경 인정 제외 가능
One main house only. No self-farming, no exemption. Report correct value.

| 자주 묻는 질문 (Q&A)

Frequently Asked Questions

Q1. 상속주택은 무조건 비과세인가요?
Is every inherited home tax-free?

❌ 아닙니다. ‘선순위’ 상속주택 1채만 비과세 요건에 해당됩니다.
No. Only the main inherited home qualifies for exemption.

Q2. 농지는 상속만 받으면 감면되나요?
Does inheriting farmland guarantee tax relief?

❌ 직접 자경했거나, 3년 이내 양도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Only if you farm it yourself or sell within 3 years.

Q3. 자경으로 인정받기 위한 기준은 뭔가요?
What qualifies as self-farming?

📌 직접 농작물 경작이 원칙이며, 위탁 경작·임대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You must personally cultivate the land—leasing or hiring others doesn’t count.

Q4. 직장인도 자경 인정되나요?
Can office workers be recognized for self-farming?

✅ 가능합니다. 단, 총급여가 3,700만원 이하여야 하며,
경작지 방문 내역, 영농일지 등 입증자료가 필요합니다.
Yes, but only if your salary is below 37 million KRW, with farming records as proof.

Q5. 상속주택을 비워두면 1주택으로 인정되나요?
Is a vacant inherited house counted as a second home?

✅ 비과세를 받으려면 ‘선순위 1채’만 인정되며, 거주 유무와 무관합니다.
Only one main inherited home qualifies, regardless of occupancy.

Q6. 상속주택 팔 때 기준 시가로 신고해도 되나요?
Can I report market value as acquisition cost?

❌ 아닙니다. 상속세 평가액(결정가액)을 기준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No. Use the value assessed during inheritance for reporting.


| 마무리 한 줄

Final Thought

상속 재산은 물려받는 순간 기쁨이지만, 잘못 팔면 눈물 날 수 있어요.
Inheriting is a gift, but without tax care, it becomes a burden.
세금 폭탄 피하고 싶다면 꼭 전문가와 상담해보세요!
Consult a tax expert before selling inherited property.


🐝 오늘도 부지런히 돈 정보 모으는 중이에요!

Money-hunting Busy Bee, always buzzing for smart money tips! 📊🍯

- 🍀 MoneyBee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