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9월 7일 대책, 집값은 잡힐까? 더 얼어붙을까?(원문보기제공)

📑 목차 | Table of Contents (탭하여 펼쳐보기) 왜 서울은 집이 부족하고, 지방은 집이 남아돌까? | Why is Seoul short of housing? 수도권 공급 부족의 원인 | Causes of the supply shortage 정부의 해법 | Government’s solutions 도심 속 숨은 땅 활용 | Utilizing hidden urban land 민간 지원과 규제 완화 | Private sector support & deregulation 시장 질서와 수요 관리 | Market discipline & demand control 전문가 의견① LH 직접 시행의 실행력 | Expert opinion① LH capacity 전문가 의견② 유휴부지 활용의 현실성 | Expert opinion② Feasibility of idle land use 전문가 의견③ 수요 억제와 시장 위축 우려 | Expert opinion③ Demand control risks 앞으로 달라질 모습 | Expected changes ahead 정리 | Summary | Intro 곧 새로운 부동산 정책이 발표되리라는 예상은 있었지만, 막상 9월 7일, 일요일 오후 예고 없이 올라온 장문의 보도자료를 마주하니 적잖이 당황스러웠습니다. 분량이 방대했고, 여러 번 읽어도 여전히 아리송한 대목이 많았습니다. 무엇보다 대출 규제 강화 는 중개업을 하는 제 입장에선 아쉬움이 많았습니다. 시장이 조금은 활기를 찾기를 기대했는데, 이번 발표는 오히려 거래 심리를 더 위축시킬 수 있겠다 는 걱정이 됩니다. 전문가들의 반응도 엇갈립니다.   박원갑 수석전문위원은 이번 방안을 “단기 수요 억제와 장기 공급 확대를 동시에 추진하는 ...

등기부터 중개보수까지! 부동산 계약 상식 총정리


집을 사고팔거나 전세·월세 계약을 할 때, 계약서에 꼭 등장하는 말들이 있어요.
Whether you're buying, selling, or renting, there are always tricky terms in the contract.

하지만 대부분 “뭔가 중요한 말인 것 같긴 한데…” 하고 넘어가기 일쑤죠. 😅
지니가 그런 여러분을 위해 부동산 계약서에 꼭 등장하는 필수 용어들을 쏙쏙 골라왔어요.
Don’t worry — Genie picked out the must-know real estate terms to help you sign with confidence!

지금부터 부동산 초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씩 설명드릴게요 🏡

젊은 부부가 공인중개사 사무소에서 부동산 계약을 체결하는 장면


| 매매계약서
Sale and Purchase Agreement

부동산을 사고팔 때 작성하는 공식 문서예요.
This is the official document for buying or selling real estate.

  • 거래 당사자, 매매 금액, 지급 일정 등 필수 항목 포함
    Includes parties, price, payment schedule, and terms
  • 계약금, 중도금, 잔금 모두 이 문서에 명시됩니다
    Down payment, mid-payment, and balance are all recorded here
📝 Tip: 구두로 한 말도 꼭 계약서에 넣으세요! 말보다 문서가 우선입니다.
Even verbal promises should be written down — the document always wins.

| 특약
Special Terms or Conditions

계약서 기본 내용 외에 양측이 추가로 약속한 내용이에요.
Additional agreements beyond the standard contract.

  • “에어컨은 그대로 두고 간다” 같은 조건 기재 가능
    e.g. “Seller leaves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 문제가 생기면 특약 조항이 분쟁 해결의 기준이 됩니다
    These terms can prevent future disputes

| 중도금
Mid-Payment

계약금 이후, 잔금 전 사이에 지불하는 금액이에요.
Paid between the deposit and final payment stages.

  • 보통 전체 매매금액의 40~60% 비중
    Usually 40–60% of total price
  • 중도금 대출 여부와 날짜는 꼭 확인해야 해요
    Double-check the loan terms and payment date!

| 등기
Property Registration

부동산 소유권을 법적으로 등록하는 절차예요.
The legal process of registering property ownership.

  • 등기부등본으로 등기 여부 확인 가능
    You can verify this via the real estate registry (등기부등본)
  • 소유권 이전 등기까지 완료해야 내 집이 됩니다!
    You don’t officially own the house until the registration is complete.

| 전세권
Jeonse Right (Leasehold Right)

전세 계약자의 권리를 보장해주는 장치예요.
A legal right to protect a Jeonse (lump-sum lease) tenant.

  • 등기에 전세권 설정 시, 계약자 권리가 확실히 보장돼요
    Jeonse right appears in registry, ensuring legal protection
  • 전세보증보험과 함께 가입하면 더욱 안전합니다
    Consider combining with Jeonse insurance for extra safety

| 중개보수
Brokerage Fee

부동산 중개업체에 지불하는 수수료예요.
Fee paid to your real estate agent for facilitating the deal.

  • 매매가/임대가 구간별로 상한요율이 정해져 있음
    There are official fee caps based on property price
  • 현금·계좌이체 시 영수증 꼭 받으세요!
    Always get a receipt when paying in cash or transfer

| ❓ Q&A 자주 묻는 질문
Frequently Asked Questions

Q. 계약 후 특약을 변경할 수 있나요?
Can I change the special terms after signing?
A. 당사자 동의가 있으면 가능하지만, 반드시 서면으로 남기셔야 해요!
Yes, but both parties must agree and it should be in writing.

Q. 전세권 설정을 꼭 해야 하나요?
Do I really need to register a Jeonse right?
A. 꼭은 아니지만, 전세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확실한 방법이에요.
Not mandatory, but highly recommended for protecting your deposit.


| ❓ 부동산 계약 Q&A 더 알아보기
Additional Real Estate Contract Q&A

Q1. 계약금은 꼭 현금으로 줘야 하나요?
*Do I have to pay the deposit in cash?*

A. 아니요. 현금 외에도 계좌이체, 수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납부 가능합니다. 단, 영수증·이체증명을 꼭 보관하세요.
No, you can also use bank transfers or checks. Just make sure to keep the receipt or transfer proof.

Q2. 중개보수는 언제, 어떻게 내나요?
*When and how do I pay the brokerage fee?*

A. 일반적으로 잔금일에 현금 또는 이체로 지급하며, 지역에 따라 요율 상한선이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It's usually paid on the final payment date, by cash or transfer. Each region has a maximum fee cap — check your area.

Q3. 등기 지연되면 계약이 무효인가요?
*If registration is delayed, is the contract invalid?*

A. 등기가 늦더라도 계약 자체가 무효인 건 아니며, 책임 소재(매도인 or 매수인)에 따라 손해배상 여부가 갈립니다.
No, delay doesn't make the contract invalid, but the responsible party may owe compensation depending on the cause.

| 💡 마무리 한마디
Final Words

부동산 계약, 더 이상 낯설고 무섭지 않죠?
Real estate contracts don’t have to be scary anymore, right?

이해만 해도 손해를 줄이고, 더 좋은 조건으로 계약할 수 있어요.
Understanding these terms helps you negotiate better and avoid costly mistakes.

Moneybee와 함께 한 걸음씩 부동산 상식 키워가봐요.  😊
Let’s keep learning together 

🐝 오늘도 부지런히 돈 정보 모으는 중이에요!

Money-hunting Busy Bee, always buzzing for smart money tips! 📊🍯

- 🍀 MoneyBee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