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 증여공제란? 2024 증여세 공제 혜택 총정리

“우리 아이 결혼하니, 살림 좀 보태주려고요.”
이런 마음 한 번쯤 가져보신 적 있으시죠?

하지만 요즘은 청년들이 결혼도, 출산도 미루고 있는 현실입니다.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큽니다. 

신혼집 마련, 혼수 준비, 주거 대출까지… 부모님도 자녀도 쉽지 않은 시대죠.

이런 흐름 속에서 정부가 내놓은 새로운 제도가 바로 ‘혼인 증여재산공제’입니다.

2024년부터 혼인한 자녀에게 증여하면, 무려 1억 원을 추가 공제받을 수 있어요.
그냥 주면 세금이지만, 조건만 맞으면 세금 없이 줄 수 있는 절세 찬스랍니다.

  • 혼인신고만 했다면? 적용 가능합니다!
  • 혼인 전이라도 미리 계획하면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공제!
  • 부동산, 현금, 예금, 심지어 주식도 가능!

2024년부터 달라진 ‘혼인 증여재산공제 제도’,
오늘 포스트에서는 정확히 어떤 조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꼭 알아두셔야 할 주의사항까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혼인 증여재산공제 설명 이미지 - 신혼부부 일러스트

👇 아래 내용 꼭 끝까지 확인해보세요!

|What is the “Marriage Gift Tax Deduction”?

“My child just got married, so I want to help them financially.”
Sound familiar?

In recent years, many young people in Korea are putting off marriage and childbirth — mostly for economic reasons: housing costs, loans, and unstable income.

To address this, the Korean government launched a new tax benefit starting in 2024 — the Marriage Gift Deduction.

You can now give an extra 100 million KRW to your married child tax-free, on top of the existing exemption.

  • 💡 Just file the marriage registration? → You may qualify.
  • 💡 Giving property, cash, or stocks? → All can apply.
  • 💡 Know the timing and conditions → You could save millions in taxes.

This is a smart way to support your children — and reduce your tax burden at the same time. Let’s go through how it works, step by step.

|1. 혼인 증여재산공제란?

혼인 증여재산공제는 2024년 1월 1일부터 신설된 제도입니다.
혼인한 자녀에게 부모가 재산을 증여할 경우, 1억 원까지 추가로 증여세가 공제되는 제도예요.

기존에도 성인 자녀에게는 5천만 원의 증여재산공제가 있었지만,
혼인을 한 자녀라면 이 공제 한도에 '1억 원'을 추가로 더해 총 1억 5천만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된 거죠.

구분 공제금액 설명
기본 공제 5천만 원 직계존속 → 성인 자녀 (10년간 누적)
혼인공제 1억 원 2024.1.1 이후 혼인한 자녀 대상
총 공제 가능액 1억 5천만 원 혼인 증여 시 최대 한도

이 제도의 도입 취지는 결혼을 장려하고, 신혼 초기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입니다.
부모 입장에서도 합법적으로 더 많은 재산을 세금 없이 이전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셈이죠.

|What is the “Marriage Gift Tax Deduction” in Korea?

The Marriage Gift Tax Deduction is a new benefit introduc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of January 1, 2024.
It allows parents to gift an additional 100 million KRW to their married children without incurring gift tax.

Normally, adult children can receive up to 50 million KRW tax-free from their parents every 10 years.
But now, if the child is married, this limit increases to 150 million KRW.

This policy was created to help young couples who face financial challenges when starting a family — such as buying a home, paying rent, or preparing for childbirth.

Type Exemption Amount Description
Basic Exemption 50 million KRW For adult child (per 10 years)
Marriage Deduction 100 million KRW For married children only, after 2024.1.1
Total Possible Deduction 150 million KRW Maximum under current law

|2. 공제 한도와 구조

혼인 증여재산공제는 기존 공제와는 별도로 1억 원을 추가로 공제해주는 구조입니다.
즉, 자녀가 결혼한 경우에는 총 1억 5천만 원까지 비과세 증여가 가능해지는 것이죠.

이 공제는 10년 누적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한 번에 다 증여해도 되고, 10년 내 분할 증여도 가능합니다.

단, '혼인공제'는 1회에 한해 적용되며, 이후에는 추가 공제가 되지 않으니 신중하게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분 적용대상 공제금액 비고
기본 증여재산공제 성인 자녀 5천만 원 10년간 1인 기준
혼인 증여재산공제 혼인한 자녀 1억 원 2024년 이후 1회 적용
총 공제 가능액 혼인한 성인 자녀 1억 5천만 원 세금 없이 증여 가능

이렇게 증여세를 줄일 수 있는 법적인 한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시기를 잘 조절하면 부담 없이 자녀의 출발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How much can you give under this deduction?

The Marriage Gift Deduction works in addition to the standard 50 million KRW exemption for adult children receiving gifts from their parents.

If your child is married, you can gift them up to 150 million KRW (50M + 100M) tax-free over a 10-year period.

  • 🔹 The 100 million KRW marriage exemption is a one-time benefit.
  • 🔹 You can give the full amount at once or spread it out over 10 years.
  • 🔹 After using the marriage deduction once, you cannot use it again — even after divorce or remarriage.

Properly timing your gift and planning within these limits allows for smart, tax-efficient support of your child’s married life.

|3. 적용 요건 4가지

혼인 증여재산공제는 누구나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아닙니다.
아래 4가지 요건을 반드시 충족해야 적용이 가능합니다.

  • 요건 ① 증여자: 직계존속만 가능
    → 부모, 계부모(혼인 중인 경우에 한함), 조부모 등이 해당합니다.

  • 요건 ② 수증자: 혼인신고 완료한 자녀
    → 반드시 ‘혼인신고일 기준’이며, 사실혼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 요건 ③ 시기 제한: 혼인신고 전 2년 ~ 후 2년 이내 증여
    → 총 4년의 기간 중에 증여가 이뤄져야 공제 적용이 가능합니다.

  • 요건 ④ 용도 제한 없음
    → 꼭 주택 마련, 혼수 비용이 아니어도 상관없습니다.
    (예금, 현금, 주식, 자동차 등 자유롭게 증여 가능)

※ 주의!
공제 요건 중 하나라도 누락되면, 공제를 받았다 해도 추징될 수 있으니 반드시 증여 전 요건 충족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What conditions must be met to qualify?

There are 4 strict conditions to qualify for the Marriage Gift Deduction:

  1. Donor must be a lineal ascendant (parent or grandparent)
    → Stepparents are allowed only if legally married to the biological parent at the time of gift.

  2. Recipient must be a married child
    → Official marriage registration is required. Common-law (de facto) marriage is not accepted.

  3. Gift timing must be within ±2 years of marriage registration date
    → That’s 2 years before or after the date of filing the marriage.

  4. No restrictions on how the gift is used
    → The money or assets can be used for housing, savings, business, or anything else.

⚠️ If even one condition is not met, the deduction may be denied or revoked.
Always check eligibility before transferring any assets.

|4. 실제 적용 시 주의사항

혼인 증여재산공제는 한 번만 적용 가능한 제도입니다.
사소한 실수로 공제를 못 받거나, 나중에 과세 추징되는 경우도 있어요.
아래 주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 이런 경우 주의하세요
  • 혼인신고 전 증여한 경우
    → 결혼식은 했어도 혼인신고가 늦었으면 공제 불가입니다.

  • 혼인 후 2년이 지난 후 증여
    → '혼인신고 후 2년'이 지나면 혼인공제는 적용되지 않아요.

  • 사실혼, 동거만 한 경우
    → 혼인신고가 되어 있지 않으면 법적으로는 미혼으로 간주됩니다.

  • 이미 혼인공제를 받은 경우
    → 재혼, 이혼 후 재증여해도 다시 받을 수 없습니다.

💡 Tip! 혼인공제를 적용받으려면 증여세 신고서에 “혼인 증여재산공제”란을 꼭 체크해야 합니다.
이를 누락하면 나중에 증명하기 어려워질 수 있어요.

또한, 증여 목적과 금액 흐름을 보여줄 수 있는 입금 내역,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등도 미리 준비해두는 게 좋습니다.

|Common mistakes to avoid when applying
  • Gifted before marriage registration
    → Even if the wedding ceremony is done, only legally registered marriages count.

  • Gifted more than 2 years after marriage
    → Gifts outside the 4-year window (±2 years) do not qualify for the deduction.

  • Living together without legal marriage
    → Common-law couples do not qualify. Only legally married children are eligible.

  • Trying to apply twice (e.g., after divorce and remarriage)
    → The marriage gift deduction is a one-time benefit per person. It cannot be reused.

✅ Filing tip: Be sure to check the box for “혼인 증여재산공제” (Marriage Deduction) when filing the gift tax report.

|5. 활용 예시와 시나리오

혼인 증여재산공제는 요건만 맞춘다면 부모 → 자녀에게 큰 금액을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그럼 어떤 경우에 적용되고, 어떤 경우는 불가능한지 실제 사례로 알아볼까요?

📌 실제 사례 ① 혼인 후 증여 → ✅ 적용 가능

  • 혼인신고일: 2023.10.10
  • 증여일: 2024.06.15
  • 증여자: 친부
  • 증여금액: 1억 원

→ 혼인신고일 후 2년 이내 증여로, 혼인공제 적용 가능!


📌 실제 사례 ② 혼인 전 증여 → ❌ 적용 불가

  • 혼인신고일: 2024.03.01
  • 증여일: 2021.12.25
  • 증여자: 외할머니
  • 증여금액: 5천만 원

→ 혼인신고일 2년보다 훨씬 이전에 증여되어 공제 대상 아님


✅ 혼인 증여공제 적용 가능성 비교표

사례 혼인신고일 증여일 직계존속 여부 공제 적용
사례 ① 2023.10.10 2024.06.15 ✅ 친부 적용 가능
사례 ② 2024.03.01 2021.12.25 ✅ 외할머니 적용 불가
|Example Scenarios: Can you use the deduction?

✔️ Scenario 1: Eligible

  • Marriage registered: Oct 10, 2023
  • Gifted on: June 15, 2024
  • Donor: Biological father
  • Amount: 100 million KRW

✅ Within 2 years after marriage, from a lineal ascendant → Deduction allowed

🚫 Scenario 2: Not eligible

  • Marriage registered: March 1, 2024
  • Gifted on: December 25, 2021
  • Donor: Grandmother
  • Amount: 50 million KRW

❌ Gift made more than 2 years before marriage → Not eligible

|6. Q&A 접힘형 정리

혼인 증여재산공제를 준비하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궁금하셨던 내용이 있다면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Q1. 혼인신고만 하고 실제로 같이 살고 있지 않아도 공제되나요?

네, 실제 거주 여부와는 무관합니다. 혼인신고만 되어 있다면 공제 대상에 해당합니다.

Q2. 2023년에 결혼했는데 2024년에 증여하면 적용되나요?

네, 혼인신고일이 2024년 1월 1일 이전이라도 증여일이 2024년 이후이고, 혼인신고일로부터 2년 이내라면 공제 가능합니다.

Q3. 증여자가 외조부모나 이모·삼촌이면 공제되나요?

아니요. 직계존속(부모, 계부모, 조부모 등)이 증여자여야 공제 가능합니다. 외삼촌이나 고모, 사촌은 대상이 아닙니다.

Q4. 혼인공제를 받고 나중에 이혼하면 다시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혼인 증여공제는 1회 한정으로 제공되며, 재혼하더라도 다시 받을 수 없습니다.

Q5. 증여받은 돈으로 꼭 집을 사야 하나요?

아니요. 용도 제한은 없습니다. 전세금, 예금, 차량, 생활비 등 어떤 목적으로 써도 무방합니다.

|ENGLISH Q&A Summary
  • Q1: Do I need to live with my spouse to qualify?
    → No, legal marriage registration is enough.
  • Q2: We got married in 2023. Can we still apply in 2024?
    → Yes, if it's within 2 years from the registration date.
  • Q3: Can uncles or aunts gift under this deduction?
    → No, only lineal ascendants (parents, grandparents) qualify.
  • Q4: What if I divorce? Can I use the deduction again later?
    → No, it’s a one-time deduction only.
  • Q5: Must the gift be used for a house?
    → No,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how the gift is used.

|7. 혼인 증여재산공제 요약 & 절세 꿀팁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늘 소개해드린 혼인 증여재산공제, 다시 한 번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항목 내용 요약
제도 시행일 2024년 1월 1일 이후 증여분부터 적용
공제 대상 혼인한 자녀에게 증여하는 직계존속 (부모, 조부모 등)
공제 요건 혼인신고 기준 전후 2년 이내 증여
공제 금액 혼인공제 1억 + 기본공제 5천만 원 = 최대 1억 5천만 원
적용 횟수 1회 한정 (재혼해도 재적용 불가)

💡 절세 꿀팁!

  • 혼인신고일 전후 4년(±2년)의 시기를 놓치지 마세요.
  • 증여세 신고 시 “혼인 증여재산공제” 항목을 꼭 체크하세요.
  • 증빙서류(혼인관계증명서, 입금내역 등)도 함께 준비해두시면 좋아요.

혼인 증여를 통해 자녀를 응원하고, 절세도 챙길 수 있는 기회, 놓치지 마세요.

오늘 포스트가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에도 널리 공유해 주세요!

 여러분의 공유는 저에게 더 좋은 콘텐츠를 쓸 수 있는 큰 힘이 됩니다 🙏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부동산 절세 정보로 찾아올게요.

|Final Recap in English
  • Start date: Gifts after Jan 1, 2024 only
  • Who qualifies: Married child receiving a gift from parent/grandparent
  • Time limit: Gift must be made within ±2 years of marriage registration
  • Exemption: 100M KRW (marriage) + 50M KRW (basic) = 150M total
  • One-time only: Cannot be used again even after divorce/remarriage

💡 Pro tip: Always tick the "Marriage Gift Deduction" box when filing gift tax.

We hope this guide helps you support your child — and save on taxes, too!

🐝 오늘도 부지런히 돈 정보 모으는 중이에요!

Money-hunting Busy Bee, always buzzing for smart money tips! 📊🍯

※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
법률 및 세무 관련 사항은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This post is for general informational purposes only. Please consult with a qualified professional for legal and tax matter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