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디딤돌·보금자리론 신청부터 상환까지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목차
- 들어가며 | 신청 전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 대출신청 시기 및 유의사항
- 이용 절차 | 온라인·은행 방문 신청 단계별 비교
- 제출 서류 | 소득·자산·주택 관련 서류 정리
- 상환 방식 | 거치·비거치·체증식 차이 이해하기
- 비용 안내 | 중도상환수수료·인지세·감정비
- 실거주 및 1주택 유지 의무
- 자주 묻는 질문 (FAQ)
- 상담 및 신청 채널 안내
- 마무리 | 신청 전 꼭 기억해야 할 체크리스트
🇺🇸 English Section
- Introduction | Key things to know before applying
- Application timing & important notes
- Application process | Online vs in-person steps
- Required documents | Income, asset, and housing proof
- Repayment methods | Grace, fixed, and step-up options
- Fees & costs | Prepayment, tax stamp, and appraisal
- Occupancy & single-home maintenance duty
-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 Contact & application channels
- Closing remarks | Final checklist before applying
| 들어가며
디딤돌대출이나 보금자리론은 이름은 익숙하지만, 막상 신청하려고 하면 ‘무엇부터 해야 하지?’, ‘은행 가기 전에 뭘 준비해야 하지?’ 하는 순간이 꼭 찾아옵니다.
특히 서류 종류가 많고, 온라인·오프라인 절차가 조금씩 달라서 처음 진행하시는 분들은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출 신청부터 실행까지” 하나씩 실제 순서대로 따라가며 설명드릴게요.
기금e든든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할 때와, 은행 방문으로 접수할 때의 차이점, 심사 과정에서 자주 생기는 보완 요청 사례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 1편에서 이미 ‘대출 자격·한도·금리 조건’을 확인하셨다면, 이제 2편에서는 그 조건을 실제로 내 손 안의 실행 절차로 연결해볼 차례입니다.
신청 전 준비서류, 심사기간, 자주 묻는 질문(FAQ)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그럼 지금부터, “내 집 마련 실무의 첫걸음” — 디딤돌·보금자리론 대출 신청 절차를 함께 살펴볼까요?
| Introduction (English)
You might have heard of the Didimdol Loan or the Bogeum Loan, but when it comes time to actually apply, questions often arise: “Where do I start?” or “What documents do I need before visiting the bank?”
This post will walk you step-by-step through the entire process — from preparing documents, submitting the application, to understanding how the review and approval stages work. We’ll als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online (via 기금e든든) and in-person bank applications, plus share common issues and tips.
If you’ve already read Part 1 and confirmed your eligibility, now it’s time to turn that information into action. Let’s take a closer look at how to apply for these low-interest, government-backed home purchase loans in 2025. 🏡
| 대출신청 시기 및 유의사항
디딤돌·보금자리론 신청은 “주택을 매수하기로 결정한 시점”부터 준비가 시작됩니다.
단순히 매매계약서를 쓰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소유권이전등기와 관련된 신청 가능 시기 제한이 있기 때문에 타이밍을 놓치면 대출을 다시 접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신청 가능 시기
- ① 소유권이전등기 전 — 가장 일반적인 신청 시점입니다. 매매계약을 체결한 뒤, 등기 이전 전에 접수하면 안정적으로 심사가 진행됩니다.
- ② 소유권이전등기 후 3개월 이내 — 이미 등기를 마쳤더라도 3개월 이내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등기 접수일로부터 3개월을 초과하면 접수 불가하므로 반드시 기한을 지켜야 합니다.
▪ 등기 접수일 기준이므로 “등기 완료일”과 혼동하지 마세요.
▪ 매매계약 체결 후 바로 ‘기금e든든’에서 사전조회(예비심사)를 진행해두면 서류 보완 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 전세사기피해주택 낙찰자는 특례 적용으로 3년 이내 신청도 가능하니 별도 확인 필요합니다.
✔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할 사항
- 계약 형태 확인 - 매매계약만 해당하며, 상속·증여·재산분할 등은 대출 대상이 아닙니다.
- 세대주 요건 - 신청일 기준 민법상 성년 세대주여야 하며, 만 30세 미만 단독세대주는 원칙적으로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 무주택 조건 유지 -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이어야 하며, 배우자 또는 분리된 배우자 명의의 주택이 있어도 제한됩니다.
- 중복대출 금지 - 다른 주택담보대출이나 주택도시기금 대출이 있는 경우 불가. 단, 전세자금대출은 같은 날 상환 조건부로 가능.
대출상담 시 가장 흔한 오류는 “계약일 기준이 아니라 등기일 기준으로 신청하려는 경우”입니다. 은행 시스템에서는 등기 접수일로부터 90일이 지나면 자동으로 심사 불가로 분류되니, 잔금일과 등기 접수일을 반드시 미리 확인하세요.
| Application Timing & Key Notes (English)
You can apply for the Didimdol or Bogeum loan either before transferring ownership or within three months after registration. Applications beyond this window will not be accepted.
- Before ownership transfer: Ideal timing for most applicants.
- Within 3 months after transfer: Still eligible if the registration date does not exceed 90 days from the submission date.
⚠️ Remember — the 3-month limit is based on the registration submission date, not the completion date. Always double-check your timeline before applying.
| 이용 절차 | 온라인·은행 방문 신청 단계별 비교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은 기금e든든(온라인) 또는 수탁은행 창구(오프라인) 중 원하는 방식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두 방식 모두 심사 내용은 동일하지만, 서류 제출과 처리 속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 한눈에 보는 신청 절차
| 단계 | 온라인 신청 (기금e든든) | 은행 방문 신청 (수탁은행) |
|---|---|---|
| ① 대출조건 확인 | 기금e든든 홈페이지에서 자격·소득·자산 사전 조회 | 은행 창구 방문 후 대출상담사와 자격·조건 확인 |
| ② 대출신청 | 온라인 신청서 작성 후 신분증 등 기본서류 업로드 | 신청서 수기작성 및 서류 제출 |
| ③ 서류제출 | 은행 방문 시 추가 서류 원본 제출 | 상담 시 즉시 제출 후 접수 완료 |
| ④ 심사진행 | 자격심사 → 소득심사 → 자산심사 → 담보심사 | 심사 프로세스 동일, 단 수탁은행 내부 검증 포함 |
| ⑤ 대출승인 | 기금e든든 ‘나의 신청현황’ 메뉴에서 결과 확인 | 은행에서 유선 또는 문자로 승인 결과 통보 |
| ⑥ 대출실행 | 은행 방문 후 근저당 설정 및 대출금 수령 | 서류 검토 완료 후 당일 또는 익일 실행 가능 |
▪ 온라인 신청은 심사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단, 서류 누락이 잦으므로 업로드 시 스캔 품질(가독성)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오프라인 신청은 상담사가 즉시 보완 요청을 해주기 때문에 첫 신청자에게 유리합니다.
✔ 평균 심사 기간
- 서류 접수일로부터 평균 7~15일 소요
- 보완서류 요청 시 기간 연장 가능 (은행별 상이)
- 전자계약 체결 시, 서류검증 절차 단축으로 1~2일 단축
| Application Process (English)
You can apply either online via enhuf.molit.go.kr or in person at one of the designated partner banks. The review process is the same, but the document submission differs slightly.
- Online: Submit your application and required documents through the system, then visit the bank once for verification.
- In-person: Fill out and submit all forms at the bank directly.
On average, the review process takes 7–15 business days. Using an electronic contract can reduce processing time by 1–2 days.
| 제출 서류 | 소득·자산·주택 관련 서류 정리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 신청 시에는 본인확인, 소득증빙, 자산심사, 주택 관련 서류가 모두 필요합니다. 은행마다 요구 서류가 조금 다를 수 있지만, 아래 표를 기준으로 준비하면 대부분 문제없이 접수됩니다.
✔ 기본 제출 서류
| 구분 | 서류명 | 발급처 / 유효기간 |
|---|---|---|
| 본인확인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택1 | 행정기관 / 유효기간 내 |
| 세대 확인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필요 시) | 정부24 / 발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 |
| 소득 증빙 |
▪ 근로소득자: 소득금액증명원, 원천징수영수증 ▪ 사업소득자: 소득금액증명원, 사업자등록증 ▪ 무소득자: 신고사실없음 사실증명원 |
국세청 홈택스 / 1년 이내 |
| 재직 확인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재직증명서 | 국민건강보험공단 / 3개월 이내 |
| 자산심사 | 금융자산, 부동산, 자동차 등 확인서류 | 자산심사센터 요청일 기준 |
| 주택 관련 |
▪ 매매계약서 또는 분양계약서 ▪ 등기사항전부증명서(토지/건물) ▪ 인감증명서, 건축물대장(필요 시) |
법원 등기소 / 3개월 이내 |
▪ 모든 서류는 발급일 기준 3개월 이내여야 유효합니다.
▪ PDF 형태로 발급받은 서류도 원본으로 인정되지만, 일부 은행은 인쇄본 제출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결혼예정자는 예식장 계약서나 청첩장으로 배우자 조건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외국인 배우자는 외국인등록증 또는 국내거소신고사실증명서를 준비해야 합니다.
✔ 심사 시 추가로 요구될 수 있는 서류
- 임대차 있는 경우: 임대차계약서
- 경매·공매 취득 시: 경락허가서 또는 매각결정통지서
- 소유권이전 후 신청 시: 등기권리증
- 특수형태근로자(보험설계사, 학습지교사 등): 위촉계약서 또는 수수료 명세표
자주 발생하는 보완 사례는 ‘소득금액증명원 미제출’과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누락’입니다. 특히 프리랜서·자영업자의 경우 홈택스 소득증명서가 누락되면 심사가 중단되니 반드시 준비 후 제출하세요.
| Required Documents (English)
To apply, you’ll need to submit identity, income, asset, and property-related documents. Most banks follow the same basic requirements shown below.
- Identity: Resident ID, driver’s license, or passport
- Income proof: Tax statement, withholding receipt, or business registration
- Employment verification: National Health Insurance record
- Housing documents: Sale contract, property registry, or certificate of seal impression
⚠ All documents must be issued within 3 months of submission. Digital copies (PDF) are accepted but some banks may ask for printed originals.
| 상환 방식 | 거치·비거치·체증식 차이 이해하기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은 대출기간(10년, 15년, 20년, 30년)에 따라 비거치식, 1년 거치식, 체증식(원리금 단계상환)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상환 방식에 따라 매달 내는 금액과 총 이자가 달라지므로, 자신의 소득 구조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환 방식 비교표
| 구분 | 상환 구조 | 특징 | 적합 대상 |
|---|---|---|---|
| 비거치식(원리금균등) | 대출 실행 즉시 원금+이자 동시 상환 | 총 이자 부담이 가장 적음 | 소득이 안정적인 직장인 |
| 1년 거치식 | 처음 1년은 이자만 납부 후 원금상환 시작 | 초기 부담은 줄지만 총 이자는 다소 증가 | 이사 초기 자금 여력이 적은 가구 |
| 체증식(원리금 단계상환) | 초기 상환금이 낮고 해마다 일정 비율로 증가 | 초기 부담 ↓ / 장기이자 ↑ | 소득이 점차 늘어나는 청년·신혼부부 |
✔ 예시로 보는 월 상환액 비교 (대출 2억원 기준, 금리 3.2%, 20년)
| 방식 | 1개월차 상환액 | 총이자 부담 | 비고 |
|---|---|---|---|
| 비거치식 | 약 1,120,000원 | 약 6,880만원 | 가장 경제적 |
| 1년 거치식 | 1년차 약 530,000원 (이자만) | 약 7,200만원 | 초기 부담↓, 총이자↑ |
| 체증식 | 1년차 약 890,000원 → 매년 2~3% 상승 | 약 7,500만원 | 소득 증가형 가구에 적합 |
▪ 체증식은 초반에는 부담이 적지만, 후반 상환액이 빠르게 늘기 때문에 반드시 ‘소득 증가 전망’을 감안해 선택하세요.
▪ 비거치식은 이자 절감효과가 가장 크지만 초기 부담이 있으므로, 계약 초반 자금계획(이사·인테리어 비용 등)과 병행 검토가 필요합니다.
| Repayment Options (English)
You can choose among three repayment types: equal principal & interest (non-grace), 1-year grace, or step-up (gradual increase).
- Equal payment: Start repaying both principal and interest immediately. Lowest total interest.
- 1-year grace: Interest-only for the first year, easier on early finances.
- Step-up: Lower initial payments that gradually increase each year.
Example (KRW 200M, 3.2%, 20 years): Equal: ₩1.12M/month → Step-up: ₩0.89M increasing 2–3%/year. Choose based on your income growth and stability.
| 비용 안내 | 중도상환수수료·인지세·감정비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은 일반 시중은행 대출보다 수수료가 적지만, 신청 전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주요 비용이 있습니다.
바로 중도상환수수료, 인지세, 감정비입니다. 어떤 비용이 고객 부담인지, 언제 면제되는지를 아래 표로 정리했습니다.
✔ 주요 비용 항목 요약
| 구분 | 부담 주체 | 적용 기준 | 면제 또는 감면 조건 |
|---|---|---|---|
| 중도상환수수료 | 고객 |
대출 후 3년 이내 상환 시 1.2% 한도 내 부과 (잔여기간에 따라 비례 감액) |
① 2024.8.12~2025.12.31 중 상환 시 전액 면제 ② 대출 철회 시 수수료 면제 |
| 인지세 | 은행 50% / 고객 50% |
대출금액 구간별 차등 적용 (보통 7만~15만원 수준) |
없음 (법정세금) |
| 감정비용 | 상황별 다름 |
▪ 감정가 필요 없는 경우: 면제 ▪ 가격정보 또는 공시가격 없음: 고객부담 |
기금 부담 (일부 예외 있음) |
| 근저당권 설정비 | 은행 부담 | 1순위 근저당권 필수 설정 | 은행 일괄 처리 |
✔ 중도상환수수료 계산식
중도상환수수료 = 중도상환원금 × 수수료율(1.2%) × [(3년 – 경과일수) ÷ 3년]
예시 👉 대출 실행 1년 후 1억원 조기상환 시
→ 1억 × 1.2% × (2년 ÷ 3년) = 약 80만원 부과
▪ 2024년 8월 12일~2025년 12월 31일 사이에 조기상환하면 수수료가 전액 면제됩니다.
▪ 대출 실행 후 계약을 철회할 경우에도 중도상환수수료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 일부 은행은 감정평가법인을 자체 지정하므로, 고객이 별도로 의뢰할 필요가 없습니다.
| Fees & Charges (English)
Main costs include the prepayment fee, stamp tax, and appraisal fee. Most are lower than ordinary bank mortgages.
- Prepayment fee: Up to 1.2% within 3 years, but waived until Dec 31, 2025.
- Stamp tax: Shared 50/50 between the bank and borrower.
- Appraisal fee: Paid by the borrower only if a formal appraisal is required.
💡 Tip: Loans repaid or withdrawn within the grace period are exempt from penalties.
| 실거주 및 1주택 유지 의무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은 실수요자를 위한 정책성 대출이기 때문에 ‘실거주’와 ‘1주택 유지’가 필수 조건입니다. 대출 후 일정 기간 내 전입하지 않거나, 추가로 주택을 취득하면 기한이익이 상실되어 대출금 전액 상환을 요구받을 수 있습니다.
✔ 실거주 의무
- 전입기한: 대출 실행일로부터 1개월 이내 해당 주택에 전입
- 거주기간: 최소 2년 이상 실거주 유지
- 예외유예: 기존 임차인의 퇴거지연, 수리·질병·근무지 이전 등 불가피한 사유 발생 시 최대 3년까지 실거주 유예 가능
▪ 정당한 사유 없이 1개월 내 전입하지 않거나, 2년 이상 실거주하지 않으면 대출이 ‘기한이익상실’ 상태로 분류되어 상환 요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실거주 사실은 전입신고·전기료·건보납부이력 등으로 불시점검될 수 있습니다.
✔ 1주택 유지 의무
2024년 6월 19일 이후 신규 접수분부터는 대출기간 전체 동안 1주택만 유지해야 합니다. 추가 주택을 취득하면 6개월 이내에 처분해야 하며, 기한 내 처분하지 않으면 대출금 회수 대상이 됩니다.
| 구분 | 처분기한 | 예외 인정사유 |
|---|---|---|
| 상속으로 지분 취득 | 3개월 이내 처분 | 공매 진행 중인 경우 유예 가능 |
| 상속으로 단독취득 | 6개월 이내 처분 | 불가피한 사유 입증 시 추가 연장 |
| 혼인으로 배우자 주택 합가 | 3년 이내 처분 | 혼인신고일 기준 |
| 전세사기피해주택 낙찰자 | 3년 이내 처분 | 특별법에 따른 예외 인정 |
| 분양권(입주권) 취득 | 3년 이내 처분 | 분양계약 체결일 기준 |
▪ “1주택 유지의무”는 대출자뿐 아니라 세대원·분리된 배우자·직계비속까지 포함됩니다.
▪ 대출 실행 후 자녀 명의 주택 구입도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기금대출 중복 이용자나 과거 ‘기한이익상실’ 이력이 있는 경우 재신청이 제한됩니다.
| Residency & Single-home Obligation (English)
Borrowers must live in the purchased home within 1 month of the loan date and maintain residency for at least 2 years. Failure to do so may result in early loan termination.
As of June 19, 2024, maintaining only one home during the loan period is mandatory. If you acquire another property, you must sell it within 6 months (or within 3 years for exceptions such as inheritance or marriage).
⚠ The rule applies to the borrower, household members, and separated spouses. Violations may trigger full loan repayment.
| 자주 묻는 질문 (FAQ)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 신청 과정에서 자주 받는 질문을 모았습니다. 은행·기금e든든 상담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실무형 Q&A만 정리했으니, 신청 전 꼭 한 번 확인해보세요.
Q1. 이미 전세자금대출이 있는데 신청 가능한가요?
Q2. 배우자 명의로 다른 집이 있다면 대출이 불가능한가요?
Q3. 대출 심사에는 얼마나 걸리나요?
Q4. 대출 실행 후 이사로 주소를 옮기면 문제가 되나요?
Q5. 상환 중 일부 금액만 조기상환할 수 있나요?
Q6. 소득 산정 기준은 언제 기준인가요?
Q7. 혼인신고 전인데 신혼가구 우대가 적용되나요?
▪ 심사 중 “보완요청” 문자를 받으면 즉시 은행에 확인 후 서류를 다시 제출하세요.
▪ ‘심사 지연의 80%는 서류 누락’에서 발생합니다.
▪ 기금e든든 마이페이지에서 심사 상태(접수→심사중→승인)를 수시로 확인하면 좋습니다.
| Frequently Asked Questions (English)
- Can I apply if I already have a Jeonse loan?
Yes, as long as the Jeonse loan is fully repaid on the same day as the new loan execution. - Is partial prepayment allowed?
Yes, and the fee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repaid. However, prepayment fees are waived until Dec 31, 2025. - How long does the review take?
Typically 7–15 days. Electronic contracts shorten it by 1–2 days. - What proof is needed for newlyweds?
A wedding hall contract or invitation card is acceptable proof of planned marriage.
| 상담 및 신청 채널 안내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은 주택도시기금 또는 한국주택금융공사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온라인 신청과 은행 방문 신청 모두 가능합니다. 신청 전, 본인의 소득·자산·주택 조건이 대출 요건에 부합하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 온라인 신청
| 구분 | 신청 사이트 | 이용 가능 은행 |
|---|---|---|
| 주택도시보증공사 (기금e든든) |
https://enhuf.molit.go.kr | 우리·국민·신한·농협·하나·대구·부산 |
| 한국주택금융공사 | https://www.hf.go.kr | 우리·국민·신한·농협·기업·하나·경남·부산·광주·대구·수협·전북 |
✔ 은행 방문 신청
직접 방문하여 신청할 경우, 아래의 기금 수탁은행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방문 전 전화로 “기금대출 취급 지점”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우리은행 ☎ 1599-0800
- KB국민은행 ☎ 1599-1771
- 하나은행 ☎ 1599-1111
- NH농협은행 ☎ 1588-2100
- 신한은행 ☎ 1599-8000
- 대구은행 ☎ 1588-0956
- 부산은행 ☎ 1800-1333
✔ 상담 문의
| 구분 | 문의처 | 전화번호 |
|---|---|---|
| 대출심사 문의 | 주택도시보증공사 콜센터 | 1566-9009 |
| 자산심사 문의 | 자산심사 전용 상담센터 | 1551-3119 |
| 은행별 상담 | 기금 수탁은행 지점 | 해당 지점 문의 |
▪ 온라인 신청 시 공동인증서 로그인과 본인명의 휴대폰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서류 스캔본은 PDF 또는 JPG 형식으로 제출 가능하며, 주민번호 뒷자리는 반드시 마스킹 처리해야 합니다.
▪ 기금e든든은 오전 9시~오후 10시까지만 접수됩니다(주말·공휴일 제외).
| Application & Contact Information (English)
You can apply online via:
- HUG e-Dundun: enhuf.molit.go.kr
- HF (Korea Housing Finance Corp): hf.go.kr
Or visit a partner bank such as Woori, KB Kookmin, Shinhan, NH Nonghyup, Hana, Daegu, or Busan Bank.
For inquiries:
▪ Loan screening: HUG Call Center (1566-9009)
▪ Asset verification: 1551-3119
▪ Bank-specific questions: Contact your local branch.
| 마무리하며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은 단순한 주택자금대출이 아니라, 내 집 마련의 첫 단추를 안정적으로 끼울 수 있게 돕는 국가 지원 제도입니다. 소득·자산 조건이 맞는다면, 지금이 바로 그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시점이에요.
정부는 2025년부터 이 두 제도를 하나로 통합해 더 간편하고, 더 폭넓은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금리 우대 폭이 커지고, 전자계약·청약저축 연계 혜택도 확대되면서 실수요자에게 실질적인 ‘내 집 마련 사다리’가 되고 있습니다.
▪ 소득기준: 부부합산 연 6천만원 이하 (생애최초 7천만원, 신혼 8.5천만원)
▪ 자산기준: 2025년 기준 순자산 4.88억원 이하
▪ 대출한도: 최대 3.2억원 (LTV 70%, 생애최초 80%)
▪ 금리: 연 2.85%~4.15%, 우대금리 최대 -0.7%p
▪ 실거주·1주택 유지 의무, 중도상환수수료 면제(~2025.12.31)
💬 머니로그 코멘트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의 통합은 단순히 이름이 바뀌는 것이 아닙니다.
기존 제도에서 발생하던 중복 심사, 복잡한 절차, 은행별 기준 차이를 해소하고 ‘한 번의 신청으로’ 더 넓은 대출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한 개편입니다.
소득이 낮아도, 결혼을 앞두었어도, 아이가 많아도 — 모두가 각자의 상황에 맞는 주거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오늘 글이 여러분께 ‘내 집 마련의 길’을 조금 더 분명하게 보여드렸길 바랍니다. 주택대출은 단순히 돈을 빌리는 절차가 아니라, 나와 가족의 미래를 설계하는 첫걸음이니까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에도 꼭 공유해 주세요.
여러분의 응원이 머니로그에게 큰 힘이 됩니다 💛
| Final Thoughts (English)
The Didimdol and Bogeum Loans are more than just mortgage programs — they are government-backed steps toward homeownership stability. With the 2025 integration, applications are simpler, rates are lower, and more people can qualify under expanded income and asset limits.
💡 Key Summary
• Income limit: up to ₩85M/year (for newlyweds)
• Loan limit: up to ₩320M, LTV 70–80%
• Rate: 2.85%–4.15% with multiple discounts
• Prepayment fee waived until Dec 31, 2025
• 2-year residency & single-home rule apply
If this guide helped you, please share it. Your support keeps MoneyLog buzzing 🐝 with useful insights!
📌 머니로그 추천 글 모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