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자계약, 어렵지 않아요! 중개사가 알려주는 A to Z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목차 Step 1 . 앱 설치 및 시작 Step 2 . 계약서 작성 전 Step 3 . 계약서 선택 Step 4 . 본인 인증 정보 확인 Step 5 . 본인 인증 시작 Step 6 . 약관 동의 Step 7 . 통신사 선택 및 정보 입력 Step 8 . 인증번호 입력 Step 9 . 신분증 촬영 Step 10 . 계약서 내용 확인 Step 11 . 전자서명 Step 12 . 계약 완료 마무리하며 🇺🇸 English Table of Contents Step 1 . Install the App and Get Started Step 2 . Before Creating the Contract Step 3 . Select the Contract Step 4 . Verify Identity Information Step 5 . Start Identity Verification Step 6 . Agree to Terms Step 7 . Select Carrier and Enter Info Step 8 . Enter Verification Code Step 9 . Capture Your ID Step 10 . Review Contract Details Step 11 . Electronic Signature Step 12 . Completion and Finalization Final Thoughts | 전자계약,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요즘 부동산 계약은 전자계약 으로 진행...

전세보증비율 모르면 대출이 안 나올 수 있다?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전세보증 비율이 낮아진 지금, 모르면 진짜 큰일 납니다

요즘 전세 시장을 살펴보면, ‘전세보증 비율’이란 단어가 더 이상 전문가들만 아는 용어가 아닙니다. 이 비율 하나 때문에 계약서에 도장까지 찍어 놓고도 잔금일에 거래가 멈추는 상황이 계속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전세보증 비율이 100%에서 80%까지 떨어지면서, 임차인은 갑자기 대출이 막히고, 임대인은 하루아침에 수천만 원을 더 상환해야 하는 예측 불가능한 변수가 생겼습니다.

실제로 상담 중에도 “대출이 안 나온대요”, “은행에서 추가 상환이 필요하다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같은 문의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상황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전세보증 비율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재계약 시점이든 신규 계약이든 예고 없이 계약이 파탄나는 위험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일을 미리 막을 수 있도록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정리해 드립니다.


전세보증비율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보증 한도를 강조한 안내형 썸네일 이미지

| Intro (English)

The recent drop in the Jeonse Guarantee Ratio has become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the rental market. Many tenants and landlords are facing unexpected situations where a signed lease suddenly collapses on the closing day.

As the ratio fell from 100% to 80%, tenants often find their jeonse loan blocked, while landlords are pressured to repay tens of millions of won overnight to meet the new guarantee limits.

This guide explains why these issues are happening and provides essential steps to avoid sudden lease failures.

| 전세보증 비율의 의미와 핵심 계산법

전세보증 비율(Jeonse Guarantee Ratio)은 HUG(주택도시보증공사)나 HF(한국주택금융공사) 등 보증 기관이 “이 집의 전세금을 어느 수준까지 안전하게 보증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임차인이 전세대출을 받거나, 전세금반환보증 보험에 가입하려면 이 보증 비율 안에서 전세금이 충족되어야만 합니다. 그래서 비율이 낮아지면 계약 자체가 아예 불가능해지는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 전세보증 가능 여부 핵심 공식

보증 가능 한도선순위 채권(임대인 대출) + 임차인 전세보증금

이 공식보다 초과되면, → 전세대출 불가 / 전세보증보험 불가 / 계약 파탄

■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

예를 들어, 현재 전세보증 비율이 80%이고 주택 가격이 5억 원이라면 보증기관은 최대 4억 원까지만 보증해 줄 수 있습니다.

  • 주택 가격: 5억 원
  • 보증 비율: 80%
  • 보증 한도: 5억 × 80% = 4억 원

■ 문제 상황 예시

임대인의 선순위 대출이 2억 원, 임차인의 전세금이 2억 2천만 원이면 총합은 4억 2천만 원입니다.

⚠ 보증 한도 초과 상황

보증 한도: 4억 원
실제 필요 금액: 2억(선순위) + 2억 2천(전세금) = 4억 2천만 원

→ 2천만 원 초과 → 전세대출 불가 / 보증보험 불가

이 경우 임대인이 즉시 2천만 원을 상환해 선순위 대출을 줄이지 않으면 임차인은 대출을 받을 수 없으므로, 실제 잔금일에 계약이 그대로 멈추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계약서 작성 당시에는 아무 이상이 없었는데 잔금일이 다가오는 사이 보증 기준이 변경되거나 시세가 떨어지면 예고 없이 보증 한도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는 점입니다.

| Meaning & Formula (English)

The Jeonse Guarantee Ratio is the standard used by guarantee agencies like HUG and HF to determine how much of the jeonse deposit they will safely guarantee.

Tenants must meet this ratio to receive a jeonse loan or join the deposit-return guarantee program. When the ratio decreases, many leases fail because the guaranteed amount becomes insufficient.

Formula:

Guarantee LimitSenior Loans + Tenant's Jeonse Deposit

If exceeded → Loan denied / Guarantee denied / Contract collapse

For example, if the property value is 500M KRW and the guarantee ratio is 80%, the maximum guarantee is 400M KRW.

If the landlord's outstanding mortgage is 200M and the tenant’s deposit is 220M, the total becomes 420M KRW—exceeding the limit. Without paying down the extra 20M KRW, closing cannot proceed.

| 전세보증 비율이 100% → 80%까지 떨어진 이유

전세보증 비율이 과거 100%에서 90%, 그리고 현재 80%까지 내려간 것은 단순한 제도 조정이 아닌, “보증기관의 생존 문제”와 직결된 변화입니다.

■ 핵심 원인 1. 전세사기・역전세 사고의 폭증

최근 몇 년간 집값 하락과 전세 사기 사건이 급증하면서 임대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사례가 역사상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 보증기관이 직접 갚은 금액 폭증

임대인이 돌려주지 못한 전세금을 HUG가 대신 갚아주는 ‘대위 변제’ 금액이 수조 원 규모까지 늘어나며 재무 건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핵심 원인 2. HUG의 ‘적자 누적’과 재정 악화

보증기관은 결국 보험사와 같은 구조로 운영되기 때문에 사고(전세금 미반환)가 늘어나면 막대한 손실이 발생합니다.

HUG는 최근 몇 년 동안 전세 사고 증가로 인해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고, 이 손실은 궁극적으로 국민 세금으로 메워야 할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 보증금 반환 사고 증가 → HUG 재정 악화
  • 대위변제 건수 증가 → 보증기관 적자 심화
  • 세금 부담 증가 우려 → 정부가 위험 관리 강화

■ 핵심 원인 3.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대책: ‘보증비율 인하’

정부와 보증기관이 선택한 해결책은 가장 빠르고 직접적인 방식인 보증비율 인하였습니다.

보증비율을 낮추면 전세금 전체를 보증해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보증기관의 위험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 보증비율 인하가 의미하는 것

“더 이상 높은 전세가율을 감당할 수 없으니 안전선 안쪽까지만 보증하겠다”는 공식 선언입니다.

즉, 전세보증 비율 하락은 시장 신호입니다. “전세 리스크가 매우 커졌으며, 이제는 전세보다 월세 중심으로 구조가 이동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Why the Ratio Dropped (English)

The drop from 100% to 80% is directly tied to the financial crisis faced by guarantee agencies like HUG. Massive jeonse fraud cases and falling home prices caused a surge in unpaid deposits.

HUG had to repay billions (KRW) on behalf of landlords, leading to severe financial deficits.

To reduce risk, the quickest and most effective solution was to lower the guarantee ratio. This limits the amount agencies must guarantee and prevents further financial damage.

| 보증비율 하락이 불러온 시장 변화: ‘월세화’의 가속

전세보증 비율이 낮아지면 시장에서는 두 가지 큰 변화가 나타납니다. 바로 임대인의 상환 부담 증가임차인의 월세 전환 압박입니다.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면서 전세 시장은 빠르게 ‘월세 중심 구조’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 임대인: 갑작스러운 ‘대출 상환’ 압박 증가

과거 높은 전세가율(90~100%)을 기준으로 투자·대출을 받아 둔 임대인들은 보증비율이 낮아진 현재, 신규 계약이나 재계약 시점마다 부족한 보증 금액만큼 현금을 직접 상환해야 하는 압박을 받게 됩니다.

⚠ 임대인이 겪는 실제 사례 예시

- 기존 대출 2억 원 유지 중
- 신규 세입자 전세금 2억 5천만 원
- 보증비율 80% 기준 보증한도: 4억 원
→ 총합 4억 5천만 원으로 5천만 원 초과

임대인은 잔금일까지 5천만 원을 상환해야 계약 진행 가능

이 부담으로 인해 많은 임대인이 전세를 포기하고 보증부 월세(반전세)로 전환하는 추세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 임차인: ‘월세 부담’ 증가로 실질 주거비 상승

임차인은 보증한도가 낮아지면 부족한 금액만큼 자기 자본을 더 넣거나, 전세 일부를 월세(반전세)로 전환해야 합니다.

● 반전세 전환 시 실제 월세 증가 예시

전세 4억 → 전세 3억으로 줄어든 경우

부족한 1억 원을 월세로 전환한다고 가정하면,
보편적 월세환산율 5~6% 기준:

월 약 45만 ~ 55만 원 추가 지출 발생
(연 환산 시 540만 ~ 660만 원)

따라서 전세보증비율 하락은 단순히 ‘대출이 조금 덜 나오는 문제’가 아니라 서민·청년층의 체감 주거비를 크게 올리는 직접 요인이 됩니다.

■ 시장 전체가 ‘전세 → 월세’로 이동하는 구조적 변화

  • 보증비율 하락 → 전세가율 유지 어려움
  • 임대인은 상환 부담 증가 → 전세 공급 축소
  • 임차인은 대출 부족 → 반전세·월세 전환 증가
  • 시장 전체 월세 비중 확대 → 전세 매물 감소

결국 전세보증 비율 하락은 전세 시장을 뒤흔드는 가장 강력한 변화 요인 중 하나이며,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책 변화입니다.

| Market Shifts (English)

As the guarantee ratio decreases, landlords face sudden repayment pressure, while tenants are forced to convert part of their deposit into monthly rent.

This dual pressure is pushing the entire market from a jeonse-based system toward a monthly-rent-centered structure.

Example:
A 100M KRW reduction in the guarantee limit often results in an additional 450k–550k KRW in monthly rent for tenants.

This is why the shif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actful structural changes in Korea's housing market today.

| 임차인(세입자) 필수 체크리스트

전세보증 비율이 낮아진 지금, 임차인은 계약 전에 반드시 아래 사항을 점검해야 잔금일에 갑작스러운 대출 불가보증보험 가입 거절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임차인 체크리스트 요약
  • 현재 시세 확인
  • 임대인 선순위 채권 확인
  • 은행 직접 대출 가능 여부 검증
  • 보증한도 계산 결과 확인
  • 재계약 시 ‘이전 비율’이 아닌 ‘현재 비율’ 다시 계산

■ 1. 현재 시세 확인은 필수입니다

전세보증 비율은 ‘현재 시세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1~2년 전보다 집값이 떨어진 상태라면, 과거에는 문제없던 금액도 지금은 보증 한도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계약 전 반드시 네이버 부동산, 실거래가 시스템 등으로 현재 시세 범위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2. 임대인의 선순위 채권(대출) 구조를 반드시 받아두세요

임대인에게 다음 자료를 요청해 확인합니다:

  • 등기부등본(근저당권 설정 여부)
  • 대출 잔액 증명서 또는 금융기관 확인서
⚠ 주의
등기부등본에 적힌 ‘채권최고액’은 실제 대출금이 아닙니다.
반드시 실제 잔액을 확인해야 합니다.

■ 3. 은행에 직접 문의하여 ‘전세대출 가능 여부’를 확인하세요

은행에 문의할 때 아래 3가지를 전달해야 정확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주택 시세
  2. 임대인의 선순위 채권(실제 잔액)
  3. 본인이 희망하는 전세금
💡 은행에서 해주는 핵심 검증

보증 한도 ≥ 선순위 채권 + 전세금 여부 확인
→ 충족 시: 전세대출 가능
→ 미충족 시: 대출 불가 & 계약 위험

■ 4. 재계약도 ‘초기 계약 기준’이 아닌 ‘현재 기준’으로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요즘 가장 문제 되는 사례는 재계약입니다. 2년 전에 아무 문제 없던 집도, 현재 시세가 하락하면 보증비율을 새로 적용했을 때 대출이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흔한 실수
“2년 전엔 대출 됐으니까 이번에도 문제 없겠지?” → 현재 보증 기준이 달라졌기 때문에 전혀 안전하지 않습니다.

■ 5. 계약 전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를 반드시 사전 확인하세요

전세대출이 가능해도, 보증보험 가입이 거절되면 대출 실행 자체가 중단됩니다. 특히 80% 비율 적용 이후, 보증보험 거절 사례가 훨씬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계약 전 HUG 또는 HF 보증보험 상담센터에 문의하여 보증 한도 계산 결과를 꼭 받아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 Tenant Checklist (English)

Tenants must verify the property’s market value, the landlord’s senior loans, and the total guarantee limit to avoid sudden loan denial on the closing date.

  • Check today’s market price
  • Obtain proof of the landlord’s outstanding mortgage
  • Confirm loan eligibility with the bank
  • Recalculate for renewals under the current ratio
  • Verify guarantee insurance approval

The key is confirming whether:
Guarantee Limit ≥ Senior Loan + Jeonse Deposit

| 임대인(집주인) 필수 체크리스트

전세보증 비율이 낮아진 지금, 임대인은 신규 계약이나 재계약 전에 반드시 ‘보증 한도’를 직접 계산해보고, 부족한 금액이 발생하는지 사전에 확인해야 예기치 않은 상환 압박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임대인 체크리스트 요약
  • 선순위 채권(대출 잔액) 현황 미리 확인
  • 보증비율 적용 후 보증 한도 계산
  • 부족분 발생 시 상환 계획 미리 세우기
  • 보증보험 가입 불가 상황 대비 특약 사용
  • 전세 → 보증부 월세(반전세) 전환 고려

■ 1. 선순위 채권(대출 잔액)을 계약 1~2달 전부터 반드시 확인하세요

보증비율이 낮아진 지금, 선순위 대출 잔액이 높으면 임차인의 전세금과 합산했을 때 보증 한도를 초과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 체크 이유
‘채권최고액’이 아니라 실제 대출 잔액으로 계산해야 보증 가능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2. 보증비율 적용 후 ‘보증 가능 한도’를 먼저 계산하세요

다음 공식으로 보증 가능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보증 한도 = 감정가(또는 시세) × 보증비율(80%)

보증 한도 ≥ 선순위 채권 + 임차인 전세금 이면 계약 가능

● 실제 예시

  • 주택 시세: 5억 원
  • 보증비율: 80% → 보증 한도: 4억 원
  • 선순위 대출: 2억 2천만 원
  • 희망 전세금: 2억 원

총합은 4억 2천만 원으로 보증 한도 4억 원을 초과합니다. 이 경우 임대인이 2천만 원을 상환해야 전세 계약이 가능합니다.

■ 3. 부족분이 생길 경우 ‘상환 계획’을 반드시 사전에 세우세요

실제 현장에서는 잔금일 당일에 은행에서 “보증 한도 초과로 대출이 제한됩니다”라는 연락을 받고 임대인이 바로 수천만 원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 잔금일 당일 상환은 매우 위험
자금 마련이 바로 되지 않으면 → 계약 파탄, 위약금 분쟁 발생 가능

■ 4. 보증보험 가입 불가 상황을 대비한 ‘특약’ 사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최근 대출은 가능해도 보증보험이 거절되어 계약이 중단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대비해 아래와 같은 특약을 넣어두면 분쟁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추천 특약 문구

“잔금일 기준 전세금 반환보증보험 가입이 불가능할 경우, 보증가입 가능 한도 내에서 전세금을 감액하고 부족분은 월세(보증부 월세)로 전환한다.”

이 특약은 실제 현장에서 가장 분쟁을 줄여주는 방식이며, 최근 전세보증비율 하락 이후 필수 조항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5. 무리한 전세보다 ‘보증부 월세(반전세)’로 전환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보증비율이 낮아진 상황에서 전세금이 높을수록 보증 한도 초과로 계약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커집니다.

💡 임대인에게 유리한 선택
보증부 월세(반전세)는
- 보증 한도 초과 위험 감소
- 임차인의 대출 가능성 증가
- 공실 위험 감소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세가 안 맞는 상황’을 억지로 전세로 맞추기보다는 보증부 월세로 조정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합리적입니다.

| Landlord Checklist (English)

Landlords must confirm their outstanding mortgage balance and calculate the guarantee limit before signing or renewing a lease.

  • Verify actual mortgage balance
  • Apply the guarantee ratio to calculate the limit
  • Prepare repayment plans if the limit is exceeded
  • Use a protective clause regarding guarantee insurance approval
  • Consider converting to a deposit-based monthly rent

A recommended clause:
“If guarantee insurance is not approved by the closing date, the jeonse deposit will be adjusted to the guaranteed limit and the remaining amount will be converted into monthly rent.”

| 오늘의 핵심 요약

  • 전세보증 비율이 100% → 80%로 낮아지며 계약 위험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 보증 한도는 ‘시세 × 보증비율’로 결정되며, 이를 초과하면 대출이 중단됩니다.
  • 임차인은 선순위 채권·보증 한도·은행 실확인을 반드시 선행해야 합니다.
  • 임대인은 부족분 상환 계획 및 보증보험 거절 대비 특약 작성이 필수입니다.
  • 전세보다 보증부 월세(반전세) 전환이 더 안전한 구조가 되고 있습니다.

| Q&A

Q1. 계약서 작성까지 완료했는데, 잔금일에 갑자기 대출이 안 된다고 하면 어떻게 되나요?
전세보증 비율 적용 결과 ‘보증 한도 초과’로 판단되면 대출 실행이 중단됩니다. 이 경우 임대인이 부족분을 상환하지 않으면 계약 진행이 어려워지며, 사전에 특약을 넣지 않은 경우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Q2. 재계약인데도 기존 금액 그대로 유지하면 안 되나요?
재계약도 무조건 ‘현재 시세 기준’과 ‘현재 보증비율’을 적용해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2년 전에는 가능했던 금액도 지금은 보증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Q3. 전세대출은 가능하지만, 보증보험이 거절되면 계약이 불가능한가요?
네. 전세대출은 보증보험 가입을 전제로 실행되기 때문에 보증보험이 거절되면 대출 또한 불가능해집니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실수 중 하나입니다.
Q4. 보증비율 하락이 계속되면 전세 제도 자체가 사라지나요?
전세 제도 자체가 사라지지는 않지만, 보증기관의 리스크 관리 강화로 인해 전세금이 높은 구조는 지속하기 어렵습니다. 시장은 점진적으로 월세 중심 구조로 이동하는 중입니다.
Q5. 임대인과 임차인이 모두 안전하게 계약하려면 가장 중요한 한 가지는 무엇인가요?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보증 한도(시세 × 보증비율) ≥ 선순위 채권 + 전세금 이 공식을 잔금일 기준으로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공식 하나만 지켜도 대부분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Summary & Q&A (English)

Key Summary:

  • The guarantee ratio drop significantly increases lease failure risks.
  • The guarantee limit must meet the formula: Limit ≥ Senior Loan + Deposit.
  • Tenants must verify loan eligibility before signing.
  • Landlords should set repayment plans and add protective clauses.

Q&A Highlights:

  • Loan denial at closing is common when the limit is exceeded.
  • Renewals must be recalculated under current market conditions.
  • Guarantee insurance denial blocks loan execution entirely.
  • The market is shifting toward monthly rent.

| 마무리하며

전세보증 비율 하락은 단순한 제도 변화가 아니라, 임대차 계약의 안정성이 흔들릴 수 있는 ‘직접적인 위험 신호’입니다.

보증 한도 계산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계약서에 도장까지 찍어 놓고도 잔금일에 “대출 불가 → 계약 중단 → 위약금 분쟁”이라는 가장 최악의 상황이 단번에 펼쳐질 수 있습니다.

임차인은 ‘선순위 + 보증 한도’ 구조를 반드시 이해해야 하고, 임대인은 부족분 상환 가능 여부를 사전에 계산하지 않으면 거래 자체가 성립되지 못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특히 지금은 보증비율 하락, 집값 조정, 대출 규제까지 겹쳐 전세 계약은 그 어느 때보다 치밀한 검증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이번 글에서 정리한 체크리스트와 공식만 정확히 지켜도 대부분의 사고는 피할 수 있습니다.

⚠ 꼭 기억하세요

보증 한도(시세 × 80%) ≥ 선순위 채권 + 전세금

이 공식 하나만 지켜도 전세 계약 대부분의 ‘폭탄 상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전세 계약이 안전하게 마무리되길 바랍니다. 

 오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분들과 공유해 주세요. 

 여러분의 한 번의 공유가 누군가의 피해를 막는 데 큰 힘이 됩니다.

| Closing (English)

The drop in the guarantee ratio is not a minor policy shift. It is a direct warning that a signed lease may collapse on the closing day unless the guarantee limit is checked accurately.

Always verify:
Guarantee Limit ≥ Senior Loan + Jeonse Deposit
This single rule prevents most lease failures.

If this article helped you, sharing it could protect others from unexpected financial risks.

🐝 오늘도 부지런히 돈 정보 모으는 중이에요!

Money-hunting Busy Bee, always buzzing for smart money tips! 📊🍯

※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
법률 및 세무 관련 사항은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This post is for general informational purposes only.
Please consult with a qualified professional for legal and tax matter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