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준비는 2월이 아니라 지금부터!(국세청 보도자료 원문보기 제공)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 들어가며 | 11월의 5분이 당신의 2월을 바꿉니다
-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완전 정복
- 홈택스 ‘미리보기’로 절세 계획 세우기
- 세금 줄이는 핵심 절세 항목 3가지
- 2025년 달라지는 공제 혜택 요약
- 자주 묻는 질문 (Q&A)
- 마무리 | 지금이 바로 ‘골든타임’입니다
🇺🇸 English
| 들어가며 | 11월의 5분이 당신의 2월을 바꿉니다
매년 2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연말정산 시즌’. 하지만 많은 직장인들이 “왜 환급이 이렇게 적지?” 하고 아쉬워하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세금은 준비한 자의 몫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구독하고 보고있는 유튜브 ‘두꺼비 세무사’는 이렇게 강조합니다.
“모든 절세는 예방적입니다. 연말정산은 2월이 아니라 11월에 시작해야 합니다.”
실제로 국세청‘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업로드하며, 근로자들이 지금 바로 세금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안내했습니다.
이번 서비스는 2025년 1~9월 신용·체크카드 사용액과 전년도 공제내역을 토대로 예상 환급액과 절세 가능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돕습니다.
말 그대로, 지금의 5분이 내년 2월의 세금 폭탄을 막는 시간인 셈이죠.
이번 글에서는 국세청이 공개한 핵심 절세 항목과 ‘두꺼비 세무사’가 제시한 실전 절세 팁을 함께 정리했습니다.
홈택스 미리보기부터 월세 세액공제, 연금저축, 고향사랑기부금까지— 지금 바로 따라 하면 세금 1원이라도 줄일 수 있습니다.
| Introduction | 5 Minutes in November Can Save You in February
Every February, millions of employees face Korea’s year-end tax season— often ending with disappointment over small refunds. The reason is simple: tax savings favor those who prepare early.
As the YouTube channel “Dukkeobi Tax Accountant” stresses, “All tax savings are preventive. The real year-end adjustment starts in November.” The National Tax Service (NTS) confirmed the same message, officially launching its “Year-End Tax Preview Service” on November 5, 2025 to help employees plan ahead.
Using data from January–September 2025, the preview allows you to estimate your refund and optimize your spending and savings. Just five minutes now could mean hundreds of thousands of won saved later. In this post, you’ll find verified tax-saving strategies that combine both expert advice and official NTS guidance.
|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완전 정복
국세청은 2025년 11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업로드했습니다.
약 2천만 명의 근로자가 연말정산 전 세금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 공식 서비스로, 예상 세액·환급액·공제 항목별 절세 효과를 미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전년도 신고 자료(지급명세서, 공제 항목 등)를 불러오면 올해 1~9월 카드 사용내역이 자동 반영되고, 10~12월의 지출 계획을 입력하여 세금 절감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와 현금영수증 사용 비율을 조정하면 어떤 지출 방식이 더 유리한지도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 항목 | ’24년 | ’25년 | 증감 |
|---|---|---|---|
| 총급여 | 5,000만 원 | 6,000만 원 | +1,000만 원 |
| 신용카드 사용액 | 800만 원 | 900만 원 | +100만 원 |
| 현금영수증 사용액 | 1,000만 원 | 1,300만 원 | +300만 원 |
| 소득공제 금액 | 165만 원 | 210만 원 | +45만 원 |
위 예시는 국세청 공식 보도자료에 실린 실제 사례로, 총급여 6천만 원 근로자가 연말까지 소비를 계획적으로 관리했을 때 소득공제 금액이 약 45만 원 증가한 것을 보여줍니다.
| Mastering the Year-End Tax Preview Service
The National Tax Service (NTS) launched its official “Year-End Tax Preview” service on November 5, 2025, enabling about 20 million employees to calculate their expected refunds and deductions in advance.
Hometax (www.hometax.go.kr)
➜ Allowances · Year-End Tax · Donations
➜ Easy Year-End Tax
➜ Tax Preview
After logging in, you can import last year’s deduction data and add this year’s spending from January–September. By adjusting your remaining 2025 spending, the system estimates how much tax you can save by using different payment methods.
For example, cash receipts and debit cards (30% deduction rate) offer higher benefits than credit cards (15%). Cultural, public transport, and traditional market spending can be deducted up to 40%.
| 홈택스 ‘미리보기’로 절세 계획 세우기
단순히 환급액을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소득·지출 변동에 따른 세액 변화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즉, 지금부터 남은 두 달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는 것이죠.
| 단계 | 주요 내용 | 핵심 행동 |
|---|---|---|
| 1단계 | 1~9월 신용카드 사용액 확인 및 공제 예상액 계산 | 10~12월 소비·저축 계획 수립 |
| 2단계 | 결혼·출산 등 부양가족, 총급여, 의료비·교육비 등 변경 시뮬레이션 | 예상 세액 변동 즉시 확인 |
| 3단계 | 최근 3개년 공제 추이 및 누락 항목 점검 | 주택저축·기부금 등 추가 공제항목 보완 |
또한 국세청은 맞춤형 안내를 통해 52만 명의 근로자에게 월세 세액공제·기부금·교육비·중소기업 취업자 감면 등 주요 공제 항목을 카카오톡·네이버 전자문서로 직접 안내합니다. 안내받은 항목은 홈택스에서 미리 확인하고 증빙을 준비하면 1월 이후 복잡한 서류 제출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올해 지출액을 미리 확인했는가?
□ 가족 구성·소득 변동을 반영했는가?
□ 연금저축·청약저축 납입을 마쳤는가?
□ 공제 증빙자료(기부금, 월세, 교육비 등)를 준비했는가?
이처럼 11월은 세금 조정의 황금 타이밍입니다. 12월의 소비 패턴을 조정하고, 공제 누락을 미리 보완하면 2월의 환급액 차이는 생각보다 훨씬 큽니다.
| Using Hometax ‘Preview’ to Plan Smart Tax Savings
The “Year-End Tax Preview” service doesn’t just show estimated refunds. It lets you simulate how changes in income, spending, or family members affect your final tax bill — meaning your choices in November and December matter.
| Step | Main Task | Key Action |
|---|---|---|
| 1 | Review Jan–Sep credit card spending and estimate deductions | Plan Oct–Dec saving and spending |
| 2 | Simulate family, income, education, and medical expense changes | Check real-time tax impact |
| 3 | Compare 3-year deduction trends and spot missing items | Add or adjust tax-saving items like savings or donations |
The NTS also provides tailored notifications to over 520,000 employees about eligible deductions such as rent, donations, education, and SME tax relief. These are sent directly via KakaoTalk or Naver e-documents, helping taxpayers prepare documents early and avoid missing deductions.
| 세금을 확 줄이는 핵심 절세 항목 3가지
연말정산의 핵심은 ‘큰 공제 항목부터 챙기는 것’입니다. 세액공제는 단순 소득공제보다 환급 효과가 즉각적이고 강력합니다. 국세청과 세무 전문가들이 모두 추천하는 절세효과 높은 TOP 3 항목을 살펴볼까요?
① 무주택자 필수! 월세액 세액공제
대상: 무주택 근로자 (특히 자취하는 직장인, 대리급 이하)
혜택: 연간 월세 지출액 1,000만 원까지 15% 세액공제 (최대 150만 원)
근거: 국세청 2025.11.5. 보도자료, 연말정산 맞춤형 안내 항목
“신용카드보다 월세 공제를 챙기세요.
근로자라면 이 한 항목만으로도 수십만 원의 환급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 두꺼비 세무사
② 소비 대신 저축으로! 연금·주택 마련 저축
추천 상품: 연금저축, IRP, ISA, 주택청약종합저축 등
혜택: 최대 600만 원(또는 900만 원) 납입분까지 세액공제 가능
예시: 연금저축 500만 원 납입 시 약 75만 원 세액공제
“2천만 원을 더 써서 20만 원 아끼는 건 어리석은 일입니다.
소비보다 저축이 진짜 절세입니다.”
— 두꺼비 세무사
③ 10만 원으로 13만 원 효과! 고향사랑기부제
혜택: 10만 원 기부 시 전액 세액공제 + 30% 상당 답례품 제공
절세효과: 실질적으로 10만 원 지출로 13만 원 혜택
(세액공제 10만 원 + 답례품 3만 원 상당)
추가 혜택: 특별재난지역 기부 시 공제율 30% 적용
(공제 한도 2,000만 원)
“기부도 절세입니다. 10만 원 기부로 13만 원 혜택을 받는 셈이죠.”
— 두꺼비 세무사
세무사들이 공통으로 말하는 핵심은 명확합니다. “소비로 절세하지 말고, 구조적으로 절세하라.” 월세·저축·기부를 중심으로 연말 소비 패턴을 조정하면 환급액은 놀라울 만큼 달라집니다.
| Top 3 Tax-Saving Items for 2025
To truly cut your tax bill, focus on high-impact deductions like rent, savings, and donations. These provide immediate credits rather than small income deductions.
- Rent Credit for Tenants — Up to ₩1M annual rent × 15% (max ₩1.5M credit)
- Pension or Housing Savings — Up to ₩600–900M deposit eligible for tax credits
- Hometown Donation Program — ₩100K donation = ₩100K tax credit + ₩30K gift benefit
Remember, smart saving beats overspending. Adjust your spending now, and your February refund will thank you.
| 2025년 달라지는 공제 혜택 요약
2025년부터는 연말정산 제도가 근로자 친화적으로 개선됩니다. 국세청 공식자료에 따르면, 세대주 배우자도 주택마련저축 공제 가능해지고, 자녀세액공제 금액이 인상되었으며, 고향사랑기부제 공제율과 한도도 크게 높아졌습니다.
| 구분 | 종전(2024년) | 변경(2025년) | 주요 내용 |
|---|---|---|---|
| ① 주택마련저축 | 무주택 세대주 본인만 소득공제 가능 | 배우자도 공제 대상 포함 | 소득공제 폭 확대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 |
| ② 자녀세액공제 | 1명·2명·3명 이상 15·20·30만 원 |
25·30·40만 원 | 3자녀 가구의 경우 65만 원 → 95만 원 공제 |
| ③ 고향사랑기부금 | 기부한도 500만 원 / 공제율 15% | 기부한도 2,000만 원 / 재난지역 30% | 세액공제 한도 및 비율 대폭 상향 |
이 외에도 홈택스에서는 3개년 공제 추이 그래프를 통해 항목별 증감 내역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과거 대비 공제액이 과도하게 늘어난 항목은 오적용 위험(과다공제)이 있으므로, 올해 한 번쯤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배우자 명의 청약저축도 공제 가능 (무주택 세대 한정)
✅ 3자녀 이상 가구는 세액공제 총 95만 원
✅ 재난지역 기부 시 공제율 30% 적용, 한도 4배 확대
| Updated Deductions & Benefits for 2025
Starting 2025, Korea’s tax system becomes more favorable to working families. Major updates include extended eligibility for housing savings, higher child tax credits, and increased limits for hometown donations.
- Housing Savings: Now includes spouses of homeowners (under ₩70M income cap)
- Child Tax Credit: Raised to ₩250K / ₩300K / ₩400K by number of children
- Hometown Donation: Limit up to ₩20M and 30% deduction for disaster zones
The Hometax preview also visualizes 3-year deduction trends to prevent overclaims and highlight potential missing deductions.
📑 국세청 공식자료 바로가기
본 글은 국세청 보도자료
「연말정산 꿀팁과 절세방법을 홈택스에서 미리 알아보세요」(2025.11.5.)를 참고했습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원문 PDF를 직접 확인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 (Q&A)
Q1. ‘미리보기’ 계산 결과가 곧 실제 환급액인가요?
아닙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예상 계산 서비스입니다. 작년(2024년 귀속) 자료를 기반으로 하므로, 실제 연봉·지출 변동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종 공제 여부는 2025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Q2. 일부 카드 사용내역이 조회되지 않아요. 왜 그런가요?
일부 카드사는 국세청으로 자료를 늦게 제출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서비스에는 누락될 수 있지만, 2026년 1월 개통되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는 모든 카드·보험·교육비 자료가 정상 제공됩니다.
Q3. 올해 성년이 된 자녀(2006년생)의 자료도 확인되나요?
성년이 된 자녀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자료제공 동의 절차를 거쳐야 조회됩니다.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 부모가 ‘부양가족 자료제공동의’ → ‘미성년자녀 신청’ 메뉴를 선택하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Q4. ‘맞춤형 안내’는 어디서 어떻게 받나요?
국세청은 2025년 11월 6일부터 카카오톡 1차 발송 → 미수신 시 네이버 전자문서 2차 발송으로 근로자에게 개인 맞춤형 안내를 제공합니다. 문자(SMS)나 전화로는 절대 발송하지 않으므로 국세청을 사칭한 피싱·스미싱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번 Q&A는 2025년 11월 5일 국세청 공식 보도자료에 실린 실제 질문과 답변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보의 신뢰도가 매우 높으며, 홈택스 이용 전 꼭 한 번 확인해두면 불필요한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 Frequently Asked Questions
- Is the preview result my actual refund?
No. It’s a simulation based on 2024 data. Your final refund depends on your actual 2025 income and expenses. - Why are some card transactions missing?
Some card issuers submit data later. The “Simplified Year-End Tax Service” in January 2026 will include all data. - Can I check my adult child’s data?
Yes, with consent. Parents can authorize access through Hometax or the Sontax app. - How will I receive personalized guidance?
Notifications are sent via KakaoTalk or Naver e-document only — beware of phishing or fake text messages.
| 마무리 | 지금이 바로 ‘골든타임’입니다
세금은 준비가 빠른 사람이 이깁니다. 2월이 되어야만 연말정산을 하는 게 아니라, 11월 지금이 바로 절세의 출발점입니다.
이번 글에서 살펴본 것처럼 홈택스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통해 예상 세액을 점검하고, 월세 공제·연금저축·기부금 등 고효율 항목을 챙긴다면 세금 폭탄이 아닌 ‘13월의 월급’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 홈택스 미리보기로 예상 세액 확인
✅ 남은 두 달 지출·저축 계획 점검
✅ 월세·연금저축·기부금 공제 챙기기
✅ 2025년 변경된 공제항목(자녀·배우자 청약저축) 반영
✅ 피싱 문자 주의 및 공식 사이트 이용
5분이면 충분합니다.
지금 바로 홈택스에 접속해 올해의 절세 플랜을 세워보세요.
“세금은 아는 만큼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 글이 여러분의 연말정산 준비에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직장인분들과 함께 공유해주세요.
작은 정보 나눔이 큰 절세로 이어집니다.
머니로그는 앞으로도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세금·부동산·생활 재테크 정보를 계속 전해드릴게요.
오늘도 현명한 한 걸음, 머니로그가 함께합니다 🐝
| Conclusion | Don’t Miss the ‘Golden Time’
Tax planning isn’t something you do in February — it starts in November. By using the Hometax preview, checking your deductions, and adjusting your spending and savings now, you can turn a tax burden into a real refund bonus — your very own “13th Month Salary.”
Log in to Hometax today and take 5 minutes to make your year-end tax plan. The earlier you act, the more you save. Knowledge truly pays off.
If this guide helped you, share it with colleagues and friends.
Smart tax planning is contagious — spread the savings!
📌 머니로그 추천 글 모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