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 국책상품 총정리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 | 들어가며: 정부지원 통합 저금리 구입자금대출이란?
-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금리·한도·기간·LTV/DTI)
- | 대출대상 요건 (소득·자산·세대주·무주택 조건)
- | 대상주택 요건 (면적·가격·지역별 한도)
- | 대출한도 산정 방식 및 규정 (LTV·DTI)
- | 대출금리표 (소득별·기간별) & 선택형 금리
- | 금리우대 및 추가우대 (청약저축·전자계약 등)
- | 특례 조건 (생애최초·신혼·다자녀·30세 이상 단독세대주)
- | 핵심 요약 & 실제 케이스 예시
- | 마무리 및 다음편 안내 (신청 절차편)
🇺🇸 English
- | Introduction: Unified Low-Interest Home Purchase Loan
- | Key Summary (Rates, Limits, Terms, LTV/DTI)
- | Eligibility Criteria (Income, Assets, Household, No-home)
- | Property Requirements (Area, Price, Region)
- | Loan Limit & LTV/DTI Rules
- | Interest Rate Table & Options
- | Preferential & Additional Rate Discounts
- | Special Benefits (First-time, Newlyweds, Multi-child, Single 30+)
- | Quick Recap & Real-life Example
- | Closing & Preview of Part 2
| 들어가며: 정부지원 통합 저금리 구입자금대출이란?
내 집 마련이 점점 어려워지는 요즘, 정부가 서민과 실수요자를 위해 3대 구입자금대출을 하나로 통합했습니다.
‘정부지원 통합 저금리 구입자금대출’은 기존의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 ‘내집마련대출’을 통합한 상품으로, 금리를 낮추고 조건을 단순화해 더 많은 무주택 가구가 내 집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이 대출은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가 주요 대상이며, 생애최초 구입자나 신혼부부, 2자녀 이상 가구는 연 2.85%~4.15%의 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3.2억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고, 대출기간은 10년에서 30년까지 선택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상환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대출 요건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득·자산 기준부터 주택 조건, 금리와 우대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끝까지 읽으시면, 본인이 대출 대상에 해당하는지 바로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 Introduction (English)
As housing prices continue to rise, the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a unified low-interest mortgage program to help first-time buyers and low- to middle-income families purchase their own homes. This new “Integrated Government-Supported Home Purchase Loan” combines three major housing loan programs — Didimdol, Bogeumjari, and Home Purchase Fund — into a single simplified and lower-interest system.
The program targets households with a combined annual income of 60 million KRW or less, and provides special benefits for first-time homebuyers, newlyweds, and families with two or more children. Borrowers can access up to 320 million KRW at interest rates ranging from 2.85% to 4.15%, with repayment periods of 10 to 30 years.
In this article, we’ll break down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housing conditions, and rate benefits in a simple, easy-to-understand way so you can quickly determine if you qualify for this government-backed loan.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금리 · 한도 · 기간)
먼저 전체 구조를 한눈에 볼까요? 아래 표는 이번 통합 저금리 구입자금대출의 핵심 조건을 정리한 것입니다. 소득 기준, 자산 한도, 금리 구간, 대출 한도까지 요약되어 있으니 내가 해당되는지 바로 체크해보세요.
| 구분 | 내용 |
|---|---|
| 대출대상 |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생애최초·2자녀이상·신혼가구는 최대 8,500만 원) |
| 자산요건 | 순자산가액 4.88억 원 이하 (2025년 기준) |
| 대상주택 | 전용 85㎡ 이하 (읍·면 지역 100㎡ 이하), 평가액 5억 원 이하 (신혼·2자녀 이상 가구는 6억 원 이하) |
| 대출한도 | 일반 2억 원 / 생애최초 2.4억 원 / 신혼·2자녀 이상 3.2억 원 |
| LTV·DTI | LTV 70%, DTI 60% (생애최초 LTV 80% 적용 가능) |
| 대출금리 | 연 2.85% ~ 4.15% (소득구간·기간별 차등) |
| 대출기간 | 10년 / 15년 / 20년 / 30년 (거치 1년 또는 비거치) |
| 금리우대 | 신혼·다자녀·장애인·청약저축가입·전자계약 등 최대 0.7%p까지 우대 가능 |
💡 참고로, 지방소재 주택은 금리가 0.2%p 인하되며 청약저축이나 전자계약 체결 시 추가 우대금리 적용이 가능합니다.
| Key Summary (English)
| Category | Details |
|---|---|
| Eligibility | Household income ≤ 60M KRW (up to 85M for newlyweds / 2+ children) |
| Asset Limit | Net assets ≤ 488M KRW (2025 standard) |
| Home Type | Max 85㎡ (or 100㎡ in rural areas), appraisal ≤ 500M KRW (600M for newlyweds / 2+ children) |
| Loan Limit | 200M ~ 320M KRW (varies by family type) |
| LTV / DTI | LTV 70%, DTI 60% (First-time: LTV up to 80%) |
| Interest Rate | 2.85% – 4.15% (depending on income & term) |
| Term | 10 / 15 / 20 / 30 years (with or without 1-year grace) |
| Rate Benefits | Up to 0.7%p discount (multi-child, newlywed, disabled, etc.) |
💡 Homes located outside metropolitan areas are eligible for a 0.2%p interest discount. Additional reductions are available for subscription savings holders and electronic contract users.
| 대출대상 요건 (소득 · 자산 · 세대주 · 무주택 조건)
이 대출은 단순히 ‘소득이 적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상품이 아닙니다. 정부는 실수요자 중심의 지원을 위해 소득·자산·세대 구성·주택 보유 여부 등 여러 항목을 종합적으로 심사합니다. 아래 표를 통해 기본 조건을 먼저 확인해보세요.
| 구분 | 요건 내용 |
|---|---|
| ① 세대주 요건 |
대출접수일 현재 민법상 성년 세대주만 신청 가능 ▪ 만 30세 미만 단독세대주는 원칙적으로 제외 ▪ 단, 미성년 형제·자매 또는 직계존속과 6개월 이상 합가 시 예외 인정 |
| ② 무주택 요건 |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 무주택이어야 함 (주택·분양권·입주권 보유자는 불가) |
| ③ 소득 요건 |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 생애최초·2자녀 이상 가구: 7천만 원 이하 ▪ 신혼가구: 8,500만 원 이하 |
| ④ 자산 요건 |
대출신청인 및 배우자 합산 순자산가액 4.88억 원 이하 (2025년 기준)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소득 4분위 전체가구 평균값’ 이하 |
| ⑤ 신용 요건 |
신용평가회사 기준 일정 점수 이상 ▪ 연체·대위변제·공공기록·신용회복정보 보유 시 불가 |
- 근로소득자: 소득금액증명원, 원천징수영수증, 급여명세표
- 사업소득자: 사업자등록증, 종합소득세 신고서, 소득확인증명서
- 무소득자: 사실증명원(신고사실없음)
- 자산심사 관련: 기금포털 [고객서비스]-[자산심사안내]에서 세부기준 확인
✔ 또한, 중복대출 금지 규정에 따라 이미 주택도시기금대출이나 타 은행 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한 경우에는 신청이 불가합니다. 단, 전세자금대출은 상환 조건부로 허용됩니다.
| Eligibility Criteria (English)
To ensure that support goes to genuine first-time buyers, the government applies strict eligibility criteria covering income, assets, household type, and creditworthiness.
| Category | Details |
|---|---|
| Household Head | Must be an adult head of household (under 30 excluded unless living with dependents for 6+ months) |
| No-home Requirement | All household members must own no home, pre-sale right, or occupancy right |
| Income Limit | ≤ 60M KRW / First-time or 2+ kids ≤ 70M / Newlyweds ≤ 85M |
| Asset Limit | Net assets ≤ 488M KRW (2025 standard) |
| Credit Requirement | Must have a valid credit score; records of default, delinquency, or insolvency disqualify applicants |
Applicants currently holding another government-backed or mortgage loan are not eligible, except for rental deposit loans repaid on the same day as this loan execution.
| 대상주택 요건 (면적 · 가격 · 지역)
대출 가능 여부는 주택의 전용면적과 평가액, 그리고 지역 요건을 함께 충족해야 합니다. 아래 표에서 내 집이 기준에 맞는지 먼저 체크해보세요.
| 구분 | 요건 | 비고 |
|---|---|---|
| 전용면적 | ≤ 85㎡ | 읍·면 지역은 ≤ 100㎡ |
| 담보주택 평가액 | ≤ 5억 원 | 신혼가구·2자녀 이상 가구는 ≤ 6억 원 |
| 지역 | 전국 | 지방 소재 주택은 금리 0.2%p 인하 |
| 매매 형태 | 매매·분양(경·공매 포함) | 상속·증여·재산분할 취득은 불가 |
▪ 전용면적 ≤ 60㎡ (읍·면 지역 ≤ 70㎡)
▪ 담보주택 평가액 ≤ 3억 원
▪ 호당 대출한도: 1.5억 원 (생애최초 2억 원)
□ 공부상 전용면적이 85㎡(읍·면 100㎡) 이하인가요?
□ 은행/기금 평가 기준으로 주택 평가액이 요건(5억/6억) 이내인가요?
□ 매매·분양·경매·공매 취득인가요? (상속/증여/재산분할은 불가)
□ (해당 시) 미혼 단독세대주 특례 기준(면적·가격·한도)을 충족하나요?
※ 담보평가 시점에는 은행이 가격정보 → 공시가격 → 분양가액 → 감정가액 순으로 평가 자료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담보평가 기준은 뒤 섹션(상환·담보·비용 파트)에서 다시 안내드릴게요.
| Property Requirements (English)
| Item | Requirement | Notes |
|---|---|---|
| Exclusive Area | ≤ 85㎡ | ≤ 100㎡ in rural (eup/myeon) areas |
| Appraisal Cap | ≤ 500M KRW | ≤ 600M for newlyweds / 2+ children |
| Region | Nationwide | 0.2%p rate reduction for non-metropolitan homes |
| Acquisition Type | Purchase / Pre-sale (incl. auction) | Inheritance/gift/division cases not eligible |
| 대출한도 산정 방식 및 규정 (LTV · DTI)
대출한도는 단순히 “최대 3.2억 원까지”로 끝나는 게 아닙니다. 실제 승인되는 금액은 주택가격, 담보가치, 선순위 채권, 임대보증금 등을 고려해 계산됩니다. 즉, LTV(담보인정비율)과 DTI(총부채상환비율)규정이 동시에 적용되는 구조예요.
✔ 기본 산정식
💡
대출금액 = (담보주택 평가액 × LTV) – 선순위채권 – 임대보증금(최우선변제 포함)
| 항목 | 기준 | 비고 |
|---|---|---|
| LTV (담보인정비율) | 70% 이내 | 생애최초 구입자는 최대 80% 적용 가능 (단, 수도권·규제지역은 70%) |
| DTI (총부채상환비율) | 60% 이내 | 연소득 대비 모든 부채 상환액이 60% 초과 불가 |
| 대출한도 상한 | 2억~3.2억 원 | 가구 유형별 한도 내에서 LTV/DTI로 산정 |
💬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
▪ 매매가격: 3억 원
▪ 담보평가액: 2억 8천만 원
▪ 선순위채권: 3천만 원
▪ 임대보증금(최우선변제 포함): 2천만 원
👉 계산: (2.8억 × 70%) – 0.3억 – 0.2억 = 1.46억 원 (단, DTI·가구별 상한을 초과하지 않아야 함)
- 대출금액은 매매가를 절대 초과할 수 없습니다.
- 기존 기금대출(전세자금 등)과 합산 시 매매가 초과 불가.
- 대출실행 전 반드시 은행 심사 결과에 따라 실제 승인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2025년 6월 27일 이전 체결된 계약은 예외적으로 기존 상한(일반 2.5억 / 생애최초 3억 / 신혼·2자녀이상 4억)까지 인정됩니다.
| Loan Limit & Regulation (English)
The maximum loan amount depends on the property value, senior liens, and tenant deposits. The formula below is applied under both LTV and DTI limits.
💡
Loan = (Appraisal × LTV) – Senior Debt – Tenant Deposit (incl. priority amount)
- LTV: ≤ 70% (up to 80% for first-time buyers; 70% for regulated areas)
- DTI: ≤ 60% of combined annual income
- Max loan: 200M–320M KRW, depending on household type
Example: For a 280M KRW appraised home with 30M senior debt and 20M deposit, the loan limit is (280M × 70%) – 30M – 20M = 146M KRW.
⚠ The total loan cannot exceed the purchase price, and actual approved amounts may vary by bank review results.
| 대출금리표 (소득별 · 기간별) & 선택형 금리
소득구간과 상환기간에 따라 기본 금리가 달라집니다. 아래 표에서 내 소득구간·희망기간을 먼저 확인하세요.
| 부부합산 연소득 | 10년 | 15년 | 20년 | 30년 |
|---|---|---|---|---|
| ~ 2천만 원 | 연 2.85% | 연 2.95% | 연 3.05% | 연 3.10% |
| 2천만 초과 ~ 4천만 원 | 연 3.20% | 연 3.30% | 연 3.40% | 연 3.45% |
| 4천만 초과 ~ 7천만 원 | 연 3.55% | 연 3.65% | 연 3.75% | 연 3.80% |
| 7천만 초과 ~ 8.5천만 원 | 연 3.90% | 연 4.00% | 연 4.10% | 연 4.15% |
▪ 지방 소재 주택: 기본금리에서 0.2%p 인하
▪ 금리방식 선택 (국토교통부 고시 변동금리 대비 가산)
- 5년 단위 변동금리: +0.1%p
 >- 10년 고정 후 변동: +0.2%p
 >- 순수 고정금리: +0.3%p (10년 고정 후 변동을 대출기간 10년으로 신청 시 +0.3%p)
신혼·생애최초·다자녀·장애인·한부모·청약저축·전자계약 등 조건에 따라 우대가 적용됩니다. 우대 후 최종금리가 연 1.5% 미만이면 1.5%로 적용(우대합산 상한: 기본 0.5%p, 다자녀 0.7%p). 상세 우대조건은 아래 | 금리우대 & 추가우대 섹션에서 정리합니다.
※ 실제 적용금리는 은행 서류심사 결과와 선택한 금리방식, 우대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Interest Rates & Options (English)
Base rates vary by income band and loan tenor. See the table above for details. Adjustments apply by region and rate type:
- Non-metropolitan homes: −0.2%p from base rate
- Rate type vs. MoLT fixed/floating reference:
- 5-year reset floating: +0.1%p
- 10-year fixed then floating: +0.2%p
- Fully fixed: +0.3%p (if tenor is 10y under “10-year fixed then floating,” +0.3%p)
Preferential discounts (newlyweds, first-time, multi-child, disabled, etc.) apply within caps. The final rate will not fall below 1.5% after discounts.
| 특례 조건 (생애최초 · 신혼 · 다자녀 · 30세 이상 단독세대주)
아래 네 가지 특례는 기본 자격을 충족한 뒤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유형입니다. 가구 상황에 맞는 카드를 먼저 확인하세요.
✔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 소득: 부부합산 ≤ 7,000만 원
- LTV: 최대 80% (단, 수도권·규제지역은 70%)
- 한도: 최대 2.4억 원
- 우대: 금리 -0.2%p (최대 5년)
✔ 신혼가구
- 소득: 부부합산 ≤ 8,500만 원
- 대상주택 평가액: ≤ 6억 원
- 한도: 최대 3.2억 원
- 우대: 금리 -0.2%p (최대 5년)
✔ 다자녀/2자녀 가구
- 소득: 부부합산 ≤ 7,000만 원 (다자녀 포함)
- 대상주택 평가액: ≤ 6억 원
- 한도: 최대 3.2억 원
- 우대: 자녀 수에 따라 -0.3%p / -0.5%p / -0.7%p
✔ 30세 이상 미혼 단독세대주
- 면적: 전용 ≤ 60㎡ (읍·면 ≤ 70㎡)
- 평가액: ≤ 3억 원
- 한도: 1.5억 (생애최초 시 2억)
- 기타: 세대주·무주택 요건 충족 필수
- 특례 적용 시에도 LTV·DTI·매매가 초과 금지 원칙은 동일합니다.
- 우대금리는 기본 우대(중복 불가)와 추가 우대(중복 가능) 규칙을 따르며, 최종금리 1.5% 하한이 존재합니다.
- 실제 적용 여부와 폭은 은행 서류심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Special Benefits (English)
- First-time Buyer: Income ≤ 70M; LTV up to 80% (70% in regulated areas); limit up to 240M; −0.2%p for up to 5 years.
- Newlyweds: Income ≤ 85M; property appraisal ≤ 600M; limit up to 320M; −0.2%p for up to 5 years.
- Multi-/Two-child: Income ≤ 70M; appraisal ≤ 600M; limit up to 320M; child-based rate cuts up to −0.7%p (per 5 years, max 15).
- Single 30+ Applicant: Area ≤ 60㎡ (rural ≤ 70㎡), appraisal ≤ 300M, limit 150M (200M if also first-time).
⚠ LTV/DTI rules and the purchase price cap still apply. Final approval depends on bank document review.
| 대출기간 · 상환방식 (거치 / 비거치 · 균등 / 체증)
대출기간은 10년 · 15년 · 20년 · 30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환방식에 따라 매달 상환액과 부담 시점이 달라지므로, 본인의 소득 패턴과 향후 자금계획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환방식 비교
| 구분 | 특징 | 초기 부담 | 적합 대상 |
|---|---|---|---|
| ① 원리금균등분할상환 | 매달 원금+이자 합계가 동일 | 보통 수준 | 안정적인 월급소득자 |
| ② 원금균등분할상환 | 원금을 균등 상환, 이자는 점차 감소 | 초기 부담 높음 | 소득이 꾸준히 유지되는 직장인 |
| ③ 체증식상환 | 초기에는 이자 중심, 시간이 지날수록 상환액 증가 | 초기 부담 낮음 | 초기 소득이 낮고 점진적 상승 예상되는 경우 |
💬 거치기간 선택
필요에 따라 거치 1년 또는 비거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거치기간은 이자만 내는 기간으로, 신혼가구나 소득이 안정되기 전 단계에서 선택하면 부담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단, 거치 후에는 상환액이 늘어나므로 미리 대비가 필요합니다.
▪ 원리금균등: 월 약 55만 원 수준
▪ 원금균등: 초기 약 62만 원 → 점차 감소
▪ 체증식: 초기 약 45만 원 → 말기 65만 원 수준
- 거치기간 중 원금 상환이 이뤄지지 않아, 총이자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 체증식은 중도상환 시점에 따라 상환액 편차가 크므로, 장기 거치+체증 조합은 지양하세요.
- 실제 상환 방식은 은행 상담 시 조정 가능합니다.
| Loan Term & Repayment Methods (English)
Borrowers can choose 10, 15, 20, or 30 years with or without a 1-year grace period. The repayment method significantly affects total interest and monthly cash flow.
- Equal Principal + Interest: Steady monthly payment; best for stable income earners.
- Equal Principal: Higher early payments that decline over time.
- Graduated Repayment: Starts with lower payments, increasing over time — suited for rising-income borrowers.
Example (100M KRW, 3%, 20 years): Equal P&I ≈ 550K/month; Equal Principal starts ≈ 620K; Graduated starts ≈ 450K → 650K later.
⚠ Longer grace periods increase total interest; avoid combining long grace with graduated repayment.
| 신청 시기 & 이용절차
대출은 단순히 ‘계약 후 바로 신청’하면 되는 게 아닙니다. 소유권이전등기 전 또는 이전등기 후 3개월 이내에만 신청이 가능하므로 기한을 놓치면 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온라인(기금e든든, 주택금융공사)과 은행 방문 중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신청 가능 시점
▪ 소유권이전등기 전 신청 가능
▪ 등기 후라면, 이전등기 접수일로부터 3개월 이내 신청 가능
▪ 상속·증여·재산분할로 주택을 취득한 경우는 신청 불가
✔ 이용절차 (Step-by-Step)
| 단계 | 절차 내용 | 비고 |
|---|---|---|
| ① 대출 조건 확인 | 기금포털 또는 은행상담을 통해 기본요건 확인 | 기금e든든 / 은행창구 |
| ② 대출상담 및 금액 산정 | 온라인 신청 후 서류 제출 또는 은행 현장 접수 | 소득·자산 확인 필수 |
| ③ 대출심사 | 자격·소득·자산·담보물 심사 진행 | 기금 + 은행 공동심사 |
| ④ 대출승인 | 한도 및 실행 가능 여부 통보 | SMS/전화 안내 |
| ⑤ 대출금 수령 | 은행에서 근저당 설정 후 대출 실행 | 실행 당일 잔금지급 가능 |
📅 대출 진행 타임라인 예시
▪ 3월 10일 → 계약 체결
▪ 3월 15일 → 기금e든든에서 대출신청
▪ 3월 20일 → 은행 서류제출 및 심사 개시
▪ 4월 10일 → 대출 승인 통보
▪ 4월 15일 → 잔금 및 근저당 설정, 대출 실행 완료
💡 등기접수일 기준 3개월 이내 신청해야 하며, 대출 실행 전 소유권 이전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 Application Timing & Process (English)
You must apply before the title transfer or within 3 months after the registration date. Late applications are not accepted.
- Step 1: Confirm eligibility via HUG or bank consultation.
- Step 2: Submit application (online or in-branch) with supporting documents.
- Step 3: Review of eligibility, income, assets, and collateral.
- Step 4: Receive approval notice.
- Step 5: Mortgage registration and loan execution (final payment day).
🔗 Online portals: enhuf.molit.go.kr / hf.go.kr
| 준비서류 체크리스트 (대출유형별)
대출 심사 과정에서는 신분 · 소득 · 주택 관련 서류가 필수입니다. 서류 누락 시 심사가 지연될 수 있으므로, 접수 전에 한 번 더 꼼꼼히 확인하세요.
✔ 기본 서류
| 구분 | 서류명 | 비고 |
|---|---|---|
| 신분확인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中 택1 | 본인확인용 |
| 세대확인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배우자 분리세대 시 초본 포함 |
| 결혼예정자 | 예식장 계약서 또는 청첩장 | 신혼가구 신청 시 필요 |
| 외국인 / 재외국민 | 외국인등록증 / 국내거소신고사실증명 | 외국국적 동포 포함 |
✔ 소득 확인 서류
| 구분 | 제출서류 | 비고 |
|---|---|---|
| 근로소득자 | ① 소득금액증명원 또는 원천징수영수증 ②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재직회사 확인날인 필수 |
| 사업소득자 | ① 사업자등록증(증명원) ② 소득금액증명원 / 과세표준확정신고서 |
세무사 확인서 제출 가능 |
| 연금소득자 | 연금수급권자확인서 또는 지급기관 증명서 | 연금수령액 기재 필수 |
| 기타소득자 | 소득금액증명원 | 홈택스 발급 가능 |
| 무소득자 | 신고사실없음 사실증명원 | 건강보험·국민연금 납부내역으로 소득 추정 가능 |
✔ 주택 관련 서류
| 항목 | 제출서류 | 비고 |
|---|---|---|
| 소유관계 | 토지·건물 등기사항전부증명서 | 인터넷등기소 발급 가능 |
| 매매계약 | 매매(또는 분양)계약서 사본 | 계약금 납입내역 포함 |
| 건물정보 | 건축물관리대장 | 용도 확인용 |
| 경매취득 | 경락허가서(매각결정통지서) | 공매 포함 |
| 임대차 | 임대차계약서 | 보증금 확인용 |
▪ 배우자 분리세대 시 ‘초본’ 반드시 첨부
▪ 결혼예정자는 청첩장 외 ‘예식장 계약서’ 필요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민원서비스에서 즉시 발급 가능
▪ 모든 증명서는 3개월 이내 발급분만 유효
| Required Documents Checklist (English)
Prepare all documents before applying — missing items may delay approval.
- Identity: ID card, driver’s license, or passport.
- Household: Resident registration, family relation certificate.
- Income:
- Employee – Tax certificate or withholding slip
- Self-employed – Business registration + income proof
- Pension – Pension recipient certificate
- No income – “No filing” certificate
- Property: Deed, sale contract, or auction approval.
- Others: Marriage certificate or invitation (for newlyweds), Alien registration (for foreigners).
⚠ All documents must be issued within 3 months of submission.
| 중도상환수수료 · 납입일 변경 · 실거주의무
대출 실행 이후에도 상환 시점과 거주 요건을 지키지 않으면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실거주의무를 위반하면 기한이익이 상실되어 즉시 상환을 요구받을 수 있으니, 아래 내용을 꼭 확인해 두세요.
✔ 중도상환수수료 (Early Repayment Fee)
| 구분 | 내용 | 비고 |
|---|---|---|
| 기본 요율 | 3년 이내 상환 시, 원금의 1.2% 한도 내 부과 | 경과일수에 따라 차등 적용 |
| 계산식 | 상환원금 × 1.2% × (3년−경과일수)/3년 | 실제 일수 기준 |
| 한시 면제기간 | 2024.8.12 ~ 2025.12.31 중 상환분은 전액 면제 | ※ 조기상환 계획이 있다면 이 기간 활용 권장 |
✔ 납입일 변경
▪ 예: 매월 10일 납입 → 25일로 변경 요청 가능
▪ 변경은 해당 은행 창구 또는 인터넷뱅킹으로 신청
✔ 실거주의무제도
내용: 대출일로부터 1개월 이내 전입 후, 최소 2년 이상 실거주 유지해야 함
예외:
- 기존 임차인 퇴거 지연 → 최대 2개월 연장 가능 (사유서 제출)
- 질병치료·타지역 근무 등 불가피한 사유 발생 시 → 최대 3년 유예 가능
✔ 1주택 유지의무 (2024.6.19 이후 신규접수분)
대출기간 중에는 추가 주택 취득이 금지됩니다. 단, 상속·혼인·전세피해구제 등 예외 사유로 취득한 경우에는 국토교통부 회신일로부터 정해진 기간 내에 처분하면 예외가 인정됩니다.
- 상속 지분취득: 3개월 내 처분
- 상속 단독취득: 6개월 내 처분
- 혼인으로 인한 추가주택: 3년 내 처분
- 전세사기 피해주택 낙찰: 3년 내 처분
- 분양권 취득: 3년 내 처분
대출 중 다른 주택을 추가 취득하거나, 실거주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대출금 즉시 회수 및 우대금리 취소가 될 수 있습니다. 항상 세대원 전체 주택보유현황을 점검하세요.
| Prepayment, Payment Date Change & Occupancy Rules (English)
- Prepayment fee: 1.2% within 3 years; waived for repayments made between Aug 12, 2024 and Dec 31, 2025.
- Payment date: Can be changed once per year (e.g., 10th → 25th).
- Occupancy rule: Move in within 1 month and reside for at least 2 years.
Exceptions apply for delayed tenant move-outs, illness, or relocation (up to 3 years grace). - One-home rule: No additional home purchases allowed during the loan term unless sold within the set period (3–6–36 months depending on reason).
⚠ Violations may result in loan termination and rate benefit cancellation.
| 고객부담비용 & 담보취득 (근저당 · 인지세 · 감정평가비)
대출 실행 시에는 단순히 금리만 확인해서는 안 됩니다. 근저당 설정, 인지세, 감정비용 등 부수비용이 발생하므로, 은행·기금 각각 부담 항목을 구분해 미리 예산을 계산해 두세요.
✔ 주요 비용 항목별 부담 주체
| 항목 | 부담 주체 | 비고 |
|---|---|---|
| 인지세 | 고객 50% · 은행 50% | 대출금액별 차등 (보통 7만~15만 원) |
| 근저당권 설정비 | 은행 부담 | 단, 국민주택채권 매입비용은 고객 부담 |
| 감정평가비 | 조건에 따라 기금 또는 고객 부담 | 가격정보·공시가격이 없을 경우 기금 부담 |
| 등기비용 | 고객 부담 | 소유권이전등기 및 근저당설정비용 포함 |
✔ 담보취득 및 평가 방식
대출 실행 전, 담보주택에는 반드시 제1순위 근저당권이 설정됩니다. 평가금액은 대출 접수일 기준 아래 순서로 산정됩니다.
- ① 가격정보 (KB시세 등) → ② 국토부 공시가격 → ③ 분양가액 → ④ 감정가액
▪ 시세 또는 공시가격이 존재하면 별도 감정이 생략되어 기금이 부담
▪ 개인이 직접 감정평가사를 지정할 경우, 비용은 전액 본인 부담
▪ 주택도시보증공사와 협약된 법인만 인정되므로 임의 지정 불가
- 담보물 평가금액이 LTV 기준 이하로 낮게 나오면 대출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담보는 반드시 대출실행일 이전에 제1순위로 설정되어야 하며, 선순위 채권이나 임대보증금이 있으면 공제됩니다.
| Loan-related Costs & Collateral (English)
Borrowers share certain costs when executing the loan. Below summarizes who pays what and how collateral is secured.
- Stamp Tax: Split 50/50 between borrower and bank (≈70K–150K KRW)
- Mortgage Registration Fee: Paid by bank (except housing bond cost by borrower)
- Appraisal Fee: Covered by fund if no public price or KB market data available
- Registration Fees: Borrower’s responsibility (ownership + mortgage)
The collateral must be registered as a first-priority mortgage before disbursement. Valuation order: Market data → Official price → Sale price → Appraised value.
| 상담 및 신청 채널 (은행별 안내 & 문의처)
대출 심사와 자산심사는 담당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문의 전에 “대출심사 문의”인지 “자산심사 문의”인지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온라인 신청이 불편하다면 가까운 기금 수탁은행 지점을 방문하셔도 됩니다.
✔ 주요 상담처
| 구분 | 기관명 | 문의처 | 비고 |
|---|---|---|---|
| ① 대출심사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 ☎ 1566-9009 | 대출자격, 한도, 실행 관련 문의 |
| ② 자산심사 | 자산심사 전용센터 | ☎ 1551-3119 | 자산평가, 부적격 통보 관련 문의 |
✔ 은행별 문의처
| 은행명 | 고객센터 | 비고 |
|---|---|---|
| 우리은행 | 1599-0800 | 기금대출 취급은행 |
| KB국민은행 | 1599-1771 | 기금대출 취급은행 |
| 하나은행 | 1599-1111 | 기금대출 취급은행 |
| NH농협은행 | 1588-2100 | 기금대출 취급은행 |
| 신한은행 | 1599-8000 | 기금대출 취급은행 |
| 대구은행 | 1588-0956 | 기금대출 취급은행 |
| 부산은행 | 1800-1333 | 기금대출 취급은행 |
✔ 온라인 신청 채널
▪ “자격심사” 문의는 은행, “자산심사”는 HUG 전용센터로 구분
▪ 대출 실행 전 반드시 서류 유효기간(3개월 이내)을 확인
▪ 혼합우대 조건(예: 신혼 + 다자녀)은 은행 심사 시 자동 반영
| Contact & Application Channels (English)
For inquiries, contact the appropriate agency depending on your issue:
- Loan Screening: HUG (1566-9009)
- Asset Evaluation: Asset Screening Center (1551-3119)
Main banks offering the program include Woori, KB Kookmin, Shinhan, NH Nonghyup, Hana, Daegu, and Busan. You may apply online at:
- enhuf.molit.go.kr (HUG)
- hf.go.kr (Korea Housing Finance Corp.)
⚠ Always check that your documents are issued within 3 months before visiting the bank.
| 마무리하며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서민과 실수요자에게 이번 정부지원 통합대출은 그야말로 “희망의 사다리”가 될 수 있습니다. 기존에 복잡하게 나뉘어 있던 여러 상품을 하나로 통합하고, 금리 부담은 낮추며, 실수요자 중심으로 조건을 완화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신혼가구·다자녀 가구에게는 더 낮은 금리와 높은 한도가 적용되어 그동안 ‘집을 살 수 있을까?’ 고민하던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대출은 단순히 돈을 빌리는 행위가 아니라, 삶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첫 걸음이니까요.
오늘 정리해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조건을 꼼꼼히 비교해 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유 버튼으로 주변에도 전해주세요.
여러분의 한 번의 공유가 누군가의 첫 집 마련에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
| Closing Thoughts (English)
The newly integrated government-backed mortgage program offers a true opportunity for first-time buyers and low- to middle-income households in Korea. By combining several existing schemes into one and reducing interest rates, it makes homeownership more realistic than ever for genuine end-users.
Especially for newlyweds, first-time buyers, and families with children, the lower rates and higher loan limits can make that long-awaited dream home attainable. Remember — buying a home isn’t just a financial decision; it’s about building stability for the future.
If you found this guide helpful, please share it with others who may need it. Your one small share could help someone take their first step toward owning a home. 🏡💙
💡 다음 편 예고 |
“정부지원 구입자금대출, 실제 신청부터 승인까지 전 과정 따라가기 (2편)”
👉 서류 제출, 심사 포인트, 실수 줄이는 꿀팁까지 자세히 다룹니다.
🔗 곧 공개될 2편에서 이어서 만나볼게요!
오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 댓글과 🔄 공유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응원이 머니로그의 다음 콘텐츠를 만듭니다. 🙏
📌 머니로그 추천 글 모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