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자계약, 어렵지 않아요! 중개사가 알려주는 A to Z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한국어 목차 Step 1 . 앱 설치 및 시작 Step 2 . 계약서 작성 전 Step 3 . 계약서 선택 Step 4 . 본인 인증 정보 확인 Step 5 . 본인 인증 시작 Step 6 . 약관 동의 Step 7 . 통신사 선택 및 정보 입력 Step 8 . 인증번호 입력 Step 9 . 신분증 촬영 Step 10 . 계약서 내용 확인 Step 11 . 전자서명 Step 12 . 계약 완료 마무리하며 🇺🇸 English Table of Contents Step 1 . Install the App and Get Started Step 2 . Before Creating the Contract Step 3 . Select the Contract Step 4 . Verify Identity Information Step 5 . Start Identity Verification Step 6 . Agree to Terms Step 7 . Select Carrier and Enter Info Step 8 . Enter Verification Code Step 9 . Capture Your ID Step 10 . Review Contract Details Step 11 . Electronic Signature Step 12 . Completion and Finalization Final Thoughts | 전자계약,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요즘 부동산 계약은 전자계약 으로 진행...

부모님 부양하느라 내 노후 준비 못했다면… 주택연금이 답일까?

📑 목차 | 탭하여 펼쳐보기

| 들어가며

1960년대에 태어난 분들을 두고 ‘마처세대’라는 말 들어본 적 있죠?

 부모님을 끝까지 봉양해야 했던 마지막 세대이자, 정작 본인은 자녀에게 경제적으로 의지하기 어려운 첫 번째 세대라는 의미죠.

이런 시대 변화 속에서, 정년을 지나고 보면 노후 대책이 충분히 준비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몸은 예전 같지 않은데, 물가는 계속 오르고, 노후 주거비 부담도 만만치 않습니다. 그래서일까요. 내 집 한 채만큼은 지키고 싶은 마음이 더욱 간절해집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많은 분들이 다시 한번 떠올리는 제도가 있습니다. 그동안 애써 마련한 집을 담보로 하되, 평생 거주하면서 매달 생활비처럼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 바로 주택연금입니다.

마처세대의 현실적인 고민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로 어떤 점이 좋고, 무엇이 오해인지 궁금하셨다면 오늘 글이 꼭 도움이 되실 겁니다.


노후 고민 해결을 위한 주택연금 안내 썸네일 이미지

| Introduction (English)

The term “Ma-cheo Generation” is often used to describe people born in the 1960s. They are known as the last generation who had to support their aging parents, yet the first generation who cannot expect financial support from their own children.

Because of this unique position, many reach retirement age without having secured a solid financial plan for later life. Living costs keep rising, health becomes more delicate, and housing expenses weigh heavily as the years pass.

In this reality, one option naturally comes to mind — a way to stay in your own home while receiving a stable monthly income. This is the essence of the Korean Home Pension.

If you’ve wondered whether the home pension can truly support the Ma-cheo generation, what benefits it offers, and what common misunderstandings surround it, this guide will give you clarity.

| 주택연금 기본 안내

주택연금은 고령층이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노후 현금흐름’ 문제를 안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국가(한국주택금융공사)가 보증하는 제도입니다. 집을 팔지 않아도 되고, 평생 그 집에서 거주하면서 매달 연금처럼 생활비를 받을 수 있어 특히 1960년대생 마처세대에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가입 조건부터 정산 방식, 상속 구조까지 정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 한눈에 보는 주택연금
● 평생 거주 + 평생 월지급금 수령
● 국가 보증으로 안정성 확보
● 부부 중 1인 만 55세 이상 → 가입 가능
● 공시가격 12억 원 이하(주택·주거용 오피스텔)
● 사망 후에도 배우자에게 100% 승계
● 상속 시 자녀 부담 없음 (대출 초과분 미청구)

① 가입 조건

부부 중 1명이 만 55세 이상이면 가입할 수 있으며, 공시가격 12억 원 이하의 주택 또는 주거용 오피스텔이면 가능합니다. 

② 배우자 승계

가입자가 먼저 사망해도, 남은 배우자는 감액 없이 100% 동일한 금액을 평생 지급받습니다. 

③ 정산 구조

부부 모두 사망할 경우 담보 주택을 처분하여 대출 잔액(지급된 연금 + 이자)을 상환합니다.

④ 집값이 초과되거나 남는 경우

집값 < 대출잔액 → 상속인에게 청구 없음 
집값 > 대출잔액 → 차액은 상속인에게 돌려줌 

| Home Pension: Basic Guide (English)

The Korean Home Pension is a government-guaranteed system designed to support financial stability for seniors. Homeowners can continue living in their homes for life while receiving monthly payments similar to a pension.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for the “Ma-cheo Generation,” those born in the 1960s who often have limited retirement preparation.

✔ Key Highlights
● Lifetime residence + monthly payments
● Guaranteed by the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 Eligible from age 55 (one spouse)
● Property value limit: 1.2 billion KRW (official appraisal)
● 100% payment transfer to surviving spouse
● No liability for heirs if loan balance exceeds home value

1) Eligibility

At least one spouse must be 55 or older, and the property must have an official value of 1.2 billion KRW or less.

2) Spousal Transfer

After the death of the primary beneficiary, the surviving spouse continues to receive the full monthly amount.

3) Settlement Process

After both spouses pass away, the property is sold to settle the loan balance.

4) Home Value Differences

● If the loan exceeds the home value → heirs owe nothing. ● If the home value exceeds the loan → heirs receive the remaining balance.

| 주택연금에 대한 6가지 오해와 진실

주택연금은 제도 특성상 정확한 구조를 이해하면 큰 도움이 되지만, 아직도 많은 분들이 잘못 알고 계신 부분이 적지 않습니다. 아래에서는 영상에서 다룬 6가지 오해를 근거 기반으로 하나씩 바로잡아 드립니다.

| 오해 ① 집값이 올라도 월수령액은 안 올라 손해다

✔ 진실: 월수령액은 향후 집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가정을 이미 반영해 산출됩니다.
즉, 가입 시점에 미래 집값 상승분까지 고려하여 산정하기 때문에 가입 후 집값이 오르더라도 손해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주택연금의 본질은 ‘평생 안정성’에 있고, 집값 변동에 따라 월 지급액이 줄었다 늘었다 하지 않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 Myth 1: Home values rise, but payments don't?
✔ Fact: Monthly payments are calculated assuming long-term home price growth. The expected appreciation is already built into the formula.

This ensures stability throughout retirement, which is the core purpose of the Home Pension.

| 오해 ② 월수령액 총액이 집값 대비 손해다

✔ 진실: 단순히 월수령액 총합만 비교하면 정확한 판단이 어렵습니다.
① 평생 거주 보장, ② 전월세 비용 절약, ③ 심리적 안정감, 그리고 ④ 집값이 남으면 상속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주거비 지출이 ‘0원’이라는 점은 노후 재무계획에서 매우 큰 차이를 만듭니다.

| Myth 2: Total payout is less than the home value?
✔ Fact: You must consider lifetime residence, saved rent cost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heritance benefits.

| 오해 ③ 물가 상승률이 반영되지 않아 손해다

✔ 진실: 주택연금은 집값이 꾸준히 상승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월수령액을 계산합니다. 이는 물가 상승률에 따른 자산가치 상승이 이미 지급액 산정에 반영**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연금 지급 방식 중 ‘전기증가형’을 선택하면 초기 금액은 적지만 후반부 지급액은 더 커지는 구조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 Myth 3: Inflation isn't reflected?
✔ Fact: Expected home price growth inherently reflects long-term inflation. Optional “gradually increasing payment types” are also available.

| 오해 ④ 정부가 보증료로 폭리를 취한다

✔ 진실: 보증료는 공사가 수익을 남기기 위한 비용이 아니라, ‘대출 잔액이 집값을 초과할 수 있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보험 성격의 금액입니다.
보증료를 낮추면 월수령액도 함께 줄어들기 때문에, 적정 지급액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 Myth 4: Guarantee fees are government profit?
✔ Fact: Fees exist to cover potential losses when the loan balance may exceed the home's future value.

| 오해 ⑤ 월수령액이 공시가격 기준이라 불리하다

✔ 진실: 가입 자격 판단은 공시가격 기준이지만, 월수령액 산정은 시가 기준입니다.
시가는 공시가격보다 약 30~40% 높은 경우가 많아 오히려 가입자에게 유리합니다.
| Myth 5: Payments are based on the lower “official price”?
✔ Fact: Eligibility uses the official price, but monthly payments are calculated using the market price, which is typically 30–40% higher.

| 오해 ⑥ 가입 후에는 이사를 갈 수 없다

✔ 진실: 이사 가능합니다. 다만 이사하는 집의 시가가 기존보다 높다면 초기보증료 추가 납부가 필요하고, 그만큼 월수령액도 늘어납니다.
| Myth 6: Moving is not allowed?
✔ Fact: Moving is allowed. If the new home’s market value is higher, an additional guarantee fee is charged, resulting in higher monthly payments.

| 정리하며

오늘은 주택연금에 대해 가장 흔하게 오해되는 여섯 가지 내용을 사실 기반으로 천천히 살펴봤습니다. 집을 팔지 않아도 되고, 평생 거주하면서 매달 생활비가 들어온다는 점은 특히 마처세대에게 현실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치입니다.

부모 세대를 부양해야 했던 지난 시간, 본인의 노후까지 넉넉하게 준비하기 어려웠던 흐름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 집 한 채’가 가진 의미는 단순한 부동산을 넘어 삶의 마지막 안전망이 되기도 합니다.

주택연금은 바로 그 지점을 채워주는 제도입니다. 집은 지키면서 생활비는 확보하고, 혹여 집값보다 더 오래 사시더라도 상속인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구조. 많은 분들이 주택연금을 통해 노후 설계의 새로운 선택지를 찾고 계신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오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에도 공유해 주세요. 여러분의 관심이 새로운 글을 준비하는 큰 힘이 됩니다.

| Closing Summary (English)

Today’s guide clarified six common myths about the Korean Home Pension and explained what the system truly offers. Being able to stay in your own home while receiving lifelong monthly income provides meaningful stability, especially for the Ma-cheo generation.

This generation supported their parents while preparing for their own future under rapidly changing economic conditions. As a result, many entered retirement without sufficient financial reserves. In this reality, one’s home often becomes more than property — it becomes the final safety net.

The Home Pension strengthens that safety net: keeping your home, securing monthly cash flow, and ensuring that your children will never be held responsible even if the loan balance exceeds the home value.

If this guide was helpful, feel free to share it with others. Your support encourages the creation of more valuable content.

🐝 오늘도 부지런히 돈 정보 모으는 중이에요!

Money-hunting Busy Bee, always buzzing for smart money tips! 📊🍯

※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
법률 및 세무 관련 사항은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This post is for general informational purposes only.
Please consult with a qualified professional for legal and tax matters.

댓글